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폐지 줍던 노부모에 장애인 자녀 돌보라는 나라

의무부양제문제 조회수 : 1,345
작성일 : 2014-04-10 14:03:51
http://m.media.daum.net/m/media/society/newsview/20140410033208457

1급 뇌병변 장애를 가진 하상윤(41)씨는 30여년 연락을 끊고 산 아버지 때문에 수급권을 거부당했다. 하씨는 어릴 적부터 살던 장애인 생활시설의 비리를 폭로한 뒤 현재는 체험홈(장애인 자립을 돕기 위한 가정 형태의 소규모 거주시설)에 머물고 있다. 체험홈 최대 거주기간은 2년이다. 이 기간이 끝나는 올해 12월 하씨는 당장 갈 곳이 없다. 일을 하지 못하는 하씨가 홀로 설 방법은 한 가지, 기초생활수급권자가 되는 길밖에 없었다. 하지만 하씨 역시 부양 의무자인 아버지의 존재가 걸림돌이다. 하씨는 "도와준 적도 없고 연락도 안 하는 아버지에게 무슨 부양을 받느냐"며 답답해했다. 정민구 노들장애인야학 교사는 "시설 거주 장애인 중 상당수는 가족과 연락이 끊긴 채 몇 십년을 지낸다"며 "막상 시설을 나갈 때는 가족 때문에 수급권을 못 받고 좌절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기초생활보장제의 부양 의무 조항은 지난 몇 년간 무수한 희생자를 낳았다. 수십 년 전 연락이 끊긴 가족, 이혼한 배우자의 자녀, 고령의 부모 등 법적 의무는 있으나 부양 능력도 의지도 없는 가족 때문에 빈곤의 사각지대에 빠진 이들이 줄줄이 목숨을 끊었다. 정부가 공식 인정하는 사각지대가 무려 117만명이다. 국회에 계류 중인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안을 놓고 설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문가들과 야당,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일단 "노인과 장애인부터 부양의무제를 폐지하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노인은 부양 의무를 면제해주고 장애인의 수급 자격을 따질 때는 부양 의무자의 존재 자체를 고려하지 말자는 것이다.
IP : 211.52.xxx.24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구들은
    '14.4.10 2:14 PM (211.194.xxx.54)

    복지제도를 가져다가 흔적만 남겨놓고 있는데, 한계상황에 처한 사람들은 늘어만 가고...

  • 2. 에휴
    '14.4.10 2:41 PM (182.210.xxx.57)

    이 지랄하면서 세금은 꼬박꼬박
    국개의원한테 쳐 들고... ㅉㅉ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692 순자 전남편은 얼마나 힘들었을까? 1 00:27:22 328
1772691 이를 어째요. 수능날 차 많이 막히나요? 00:22:29 279
1772690 민희진 내용에 카카오엔터,돌고래 내용 궁금 00:07:01 481
1772689 나솔이 아빠는? 16 엉? 00:05:07 1,419
1772688 서울 집값 관련해서 홧병날 것 같아요 7 .. 00:02:24 941
1772687 옥순이 이쁜걸 모르겠어요 6 솔직히 00:01:05 1,058
1772686 오늘 나솔 28기 라방 하는건가요? 3 ? 2025/11/12 1,006
1772685 옥순은 볼수록 별로네요 iasdfz.. 2025/11/12 769
1772684 검찰이 항소를 포기해 살려준 국민의힘 정치인들 .. 2025/11/12 251
1772683 국민연금 추납하지 말고 일찍 수령 1 예상 2025/11/12 816
1772682 상철씨 그 강을 건너지마오.. 10 ㅇㅇ 2025/11/12 1,744
1772681 뉴진스는 학폭 가해자 같은 느낌이네요 1 얼척없는 애.. 2025/11/12 530
1772680 에리히 프롬 책 읽는데 3 asdgw 2025/11/12 460
1772679 의협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제도 개편 강행 시 검사.. 1 ... 2025/11/12 569
1772678 환율 무섭긴 하네요 9 런런 2025/11/12 1,181
1772677 웹툰 많이 보시나요? 1 .. 2025/11/12 189
1772676 끼리끼리는 과학이라는데요. 그렇다면 2 2025/11/12 650
1772675 수능 도시락 6 ㅡㅡ 2025/11/12 344
1772674 순자 진짜 모지라보여요. 17 나솔 2025/11/12 1,892
1772673 순자는 금쪽이인 듯 8 ... 2025/11/12 1,296
1772672 내일 수능 도시락에 반찬으로 낱개 김 .. 2025/11/12 243
1772671 30대 초반 직장인 남자 벨트로 어떤게 좋을까요~? 1 딸기줌마 2025/11/12 79
1772670 대학 결과 나올 때까지 미역국 안먹었던 이야기 12 입시 2025/11/12 529
1772669 수능날 맛있는거 줄거라고 새벽에 도시락 싸지 마세요 6 제발 2025/11/12 1,238
1772668 볼수록 28영수 8 456 2025/11/12 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