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전세 or 매매 중에 뭐가 나을까요

애엄마 조회수 : 1,784
작성일 : 2014-04-03 09:58:23

자금이 같다는 조건 아래 2개 선택사항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실런지요?

 

식구 3명, (유치원생 아이1명)  

 

1.     이미 기반 자리잡힌 곳 (학군, 교통)에 재건축 예정인 20평대 낡은 아파트 (방2칸/화장실 1개) 매매, (자가소유-대출 필요)

2.     새로 개발 예정지라,  신규 브랜드 아파트 38평에 전세로 싼 가격에 살 수 있음 (방 4칸/화장실 2개); 그러나 주변 인프라 거의 없음. 전세 (->2년 후 전세가 마니 올라갈 것 같음)

 

자가가 가장 좋겠지만, 제가 원하는 것은 1번 대출 받고 매매하는 것이구요.

자금이 부족하다보니 신랑이 2번을 말하네요.  

 

굳이 세사람 사는데 38평까지는 필요없지만, 저희 어머니가 저희 아이를 저녁에 돌봐주세요. 그런데 친정이랑 거리가 멀어서, 집이 크면 오시면 주무실 방도 있고 새아파트 한번 살아보고픈 마음도 있네요..^^;;

새 아파트라 전세가가 싼거고 2년 후에는 비싸져서 이사해야 할지도 모르는데, 쾌적한 주거환경은 장점이고, 만약 집이 커져서 이것 저것 가구 사게되면, 나중에 집 줄여서

가기 힘들 겠다는 생각도 들어요..;;

 

저는 계속 좁은 집에만 살아봐서, 젊을 때 돈 모으느라 안 좋은 집에서 사는 것 괜찮거든요…1번 선호..(애만 주변 30평대 친구들만 비교 안하면 되는데..)

 

어느것이 나을까요? 의견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IP : 193.18.xxx.16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번은..
    '14.4.3 10:14 AM (203.233.xxx.130)

    2년마다..(한번 아니고 2년마다) 전세금 올려줄 각오하고 들어가셔야 해요..
    새아파트 입주때 전세가격 낮을때 들어왔다가 2년마다 큰 금액 올리지 못해서 또 이사가는 집들
    은근히 많아요..그럼 또 이사비용 들고 아이 학교 들어가게 됨 또 전학 시켜야 되고 힘들더라구요..

  • 2. 어디든
    '14.4.3 10:41 AM (112.173.xxx.72)

    아이가 있으니 자꾸 옮기지 않는 곳으로 해야 해요.
    옮기더라도 그 동네서 옮겨 애가 친구들이랑 헤어지지 않게..
    외동이라 더 친구가 중요해요.
    외동 아니라도 초등 가니 이사 갈때 울고.. 보기 넘 짠해요.

  • 3. 0 0
    '14.4.3 10:45 AM (211.209.xxx.23)

    1이죠. 인프라른 무시 못 하고 재건축이라면 지분이 얼만지 확인.

  • 4. 오드리햇밤
    '14.4.3 11:05 AM (116.121.xxx.25) - 삭제된댓글

    저 지금 2번으로 선택해서 사는데요..후회되요.
    인프라 없는곳에서 2년살려니 죽을맛이고 어렸을때 좀 여유있게 살자싶어 왔는데..
    계약끝나면 1번으로 이사가려구요..

  • 5. 1번이예요.
    '14.4.3 11:12 AM (211.36.xxx.248)

    저도 오드리햇밤님처럼 2번으로 사는데 후회했고
    계약 만료되서 5월에 이사해요.
    인프라없는곳에 살려니 정말 집순이로 살았어요.
    뭐하나 사먹을만한데도 없공..병원한번 가기도 힘들고..약국도...장볼만한곳도..ㅜㅜ
    그래도 2년사이에 기본적으로 있어야할것들이 대충 생기긴 했지만..결정적으로 전세가 너무 올랐어요.
    2억4천에 들어왔는데, 3억 8천 되었으니까요.
    1번으로 하시는게 후회없고 좋을듯합니다

  • 6. 원글
    '14.4.7 1:19 PM (223.62.xxx.112)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집 값이 비싸서 자력으로는 참 집 사기 힘든 세상이네요.. 새아파트 살고 싶지만 인프라가 좀 단점이라 그래서 가격이 착한 거겠죠..^^;; 조언 주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2764 지금 하고 있는 것들을 처음부터 했더라면... 4 후회와 슬픔.. 2014/04/23 910
372763 가디언, 박근혜에 직격탄 ‘서구에선 대통령직 무사하기 힘들어’ 3 light7.. 2014/04/23 1,678
372762 무도랑 유재석 무슨일 있나요? 6 .. 2014/04/23 4,719
372761 변희재 ”손석희, 지식 부족해 대화 안돼” 원색 비난 38 세우실 2014/04/23 3,845
372760 요즘 82 이상한 거 맞으니까 인정할 건 인정합시다 15 ㅎㄷㄷ 2014/04/23 1,630
372759 성격 급한 민족이....왜 ㅠㅠㅠㅠ 2014/04/23 886
372758 세월호 외국에 알리고 있어요. 핀터레스트 (사진,유투브) .... 2014/04/23 1,403
372757 박그네 하야 서명해주세요 15 1470만 2014/04/23 1,577
372756 사망-실종자만 챙기지말고 잠수부,119분들도 신경써주시길.. 10 .. 2014/04/23 1,198
372755 2일 연속 헌혈 장려 문자가 날아왔어요. sono99.. 2014/04/23 703
372754 의도가 좋다고 범법행위 저지르면 안된다는 사례 13 나비스 2014/04/23 1,371
372753 이와중에.. 무도멤버 길 음주운전으로 면허취소됐네요 13 ... 2014/04/23 4,396
372752 허튼소리에 댓글 달지맙시다 8 닥쳐 2014/04/23 642
372751 세월호 사고 이후.. 4 어쩔수가없네.. 2014/04/23 863
372750 [펌] 평범한 고3이 분노한 다른 분들께 기적을바라며.. 2014/04/23 1,350
372749 아무리 생각해도 한명도 구조 못했다는 게... 6 개nom 2014/04/23 1,623
372748 공중파에선 정부책임론을 말하지 않아요 6 .. 2014/04/23 759
372747 도대체 위기관리 메뉴얼이 없다는게 3 2014/04/23 822
372746 배침몰 직전에 이미.. 1 .. 2014/04/23 2,152
372745 "배 떨림 너무 심하다" 문제 제기.. 회사측.. 5 탱자 2014/04/23 1,341
372744 쓰레기집단 일베의 일베리본 주의보 7 ㅇㅇㅇ 2014/04/23 2,576
372743 잃어버린 10년 연대교수의 증언 - 정관용입니다. 8 ㅇㅇㅇ 2014/04/23 2,153
372742 정봉주의 전국구 제12회 - 이게 나라냐! lowsim.. 2014/04/23 1,100
372741 어제 부산대 미대 건물이 이렇게..... 10 ..... 2014/04/23 4,598
372740 김혜경씨, 사이트 관리좀 부탁합니다. 193 점입가경 2014/04/23 14,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