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법원,검찰이 법을 ‘집어넣다 뺐다’ 엿장수 마음대로 이래도 돼?

호박덩쿨 조회수 : 697
작성일 : 2014-03-31 11:03:49

법원,검찰이 법을 ‘집어넣다 뺐다’ 엿장수 마음대로 이래도 돼?


법 이란게 원래 한번 정해지면 흔들림이 없어야 합니다.
그래서 '일사부재리 원칙‘ 이라는 말이 생겨난 것이지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삼권분립이 안되있어 ‘유전무죄 무죄유죄’에 따라 춤을 추거나.. 한줌도
안돼는 권세를 쥔자들에 의해서 법원,검찰이 흔들리고 좌충우돌하고 정말 가관이 아닙니다(*삼권분립이 되있다고 우기시는분들 많을것 같아 이 부분은 걍 유보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그래서 항간에서는 법이 법이 아니라 나이롱 이거나 심지어 ‘고무줄법’이라고 까지 합니다


이번 벌금 못내서 “하루 5억원 노역장 유치 사건”만 해도 한번 판결 했으며는 국민의 비난을
듣더라도 일사부재리 원칙에 따라 그대로 끝내야 했습니다. 비록 그 추한사건이 황제노역의대명사가 됐더라도 말입니다.


하지만 법원,검찰은 법을 떡 주무르듯 마음대로 적용해 노역장에 ‘집어넣다 뺐다’ 했습니다.
즉, 스스로 법 위에 선 초법기관임을 자인한 겁니다. 여기에서 알것은 법원, 검찰은 법 위에
서서 법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기관이 아니라 법의 종복 (從僕) 즉, 하수인에 불과한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않고 스스로 법 위에 서버린 꼴입니다


법원,검찰은 법을 신처럼 섬겨야 하거늘 무엄하게도 마음대로 판결을.. 그것도 며칠 못가서
마음대로 적용을 달리해 ‘집어넣다 뺐다’ 해 버린 것입니다 정말 법(神)이 대노할 일입니다


사실은 이래야 했습니다


황제노역 판결이라고 국민 비난이 쏟아지드래도 법원,검찰은 그 비난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그 적용을 바꾸지 말아야 했습니다. 설사, 그것이 법원의 판결역사에서 치욕 판결로
남을지라도 그것을 견뎌야 했습니다 그래야 한번의 수욕 즉 부끄러움으로 끝나는 것이지요


하지만 법원,검찰은 며칠사이에 두가지  잘못을 연거푸 하므로써


황제노역 판결에 이어서 '법적 안정성'까지 손상시키는 두가지 잘못을 하고 만것입니다.

http://www.nocutnews.co.kr/news/1214194

추천 : 0
IP : 61.102.xxx.19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7408 중 1 아이가 교과서에 그림을 그려요...어쩌죠? 6 고민 2014/03/31 1,282
    367407 피뽑고 나서 2주가 되어가는데.. 2 .. 2014/03/31 5,623
    367406 내일부터 국민티비 뉴스가 방송됩니다. 15 .. 2014/03/31 2,264
    367405 초등 각종 대회 수상자 결정 어떻게 하나요? 6 ... 2014/03/31 1,410
    367404 운동 좀 하는 뇨자가 본 김희애 몸매관리 87 그냥심심해서.. 2014/03/31 46,877
    367403 refferal code가 뭐죠? 5 어우 2014/03/31 2,056
    367402 워킹화 추천 해 주세요 5 운동화 2014/03/31 2,871
    367401 놀이터에 나가면 잘 노는 아이들이 예뻐요. 놀이터 2014/03/31 811
    367400 동거했던 며느리 괜찮으신가요 65 2014/03/31 16,672
    367399 대놓고 분란글 한번 올려봅니다. 127 김선생 2014/03/31 18,073
    367398 제육볶음 레시피,, 방금 해먹었어요~ 7 찜질방달걀 2014/03/31 3,570
    367397 지금 가디건사면 너무 늦었겠죠 4 ㄱㄷㅊ 2014/03/31 1,544
    367396 기초선거 공천폐지가 새정치일까 길벗1 2014/03/31 702
    367395 이지아 역할을 누가 했으면 어울렸을까? 25 세결여 2014/03/31 4,560
    367394 2인가족.. 해먹는 것이 더 비싸게 드는 듯 합니다. 20 배고파 2014/03/31 4,125
    367393 잠실이랑 일원동 고민입니다. 7 00 2014/03/31 3,638
    367392 목동 아파트.. 사도 될까요? 16 전세 or .. 2014/03/31 5,503
    367391 이혼하면 시댁과 남편관련 빚하고 상관없어 지나요?? 4 궁금이 2014/03/31 2,439
    367390 트렌치 코트의 단추 바꾸고 싶어요 2 이쁜단추 2014/03/31 1,532
    367389 영어유치원&어학원에 어떤 시설 어떤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 1 질문 2014/03/31 703
    367388 비듬때문에 식초로 헹굴때요. 그 양을 얼마나 해야하나요 2 경험자분들 2014/03/31 1,690
    367387 태양의허니블룸써보신분? 6 여인 2014/03/31 3,780
    367386 '반니' 사탕 기억하시는 분 13 그렇다이면 2014/03/31 9,244
    367385 남편과 동등한 상태로 결혼하신분들은 시댁간섭덜한가요 36 2014/03/31 7,935
    367384 검찰, '간첩증거 조작' 국정원 직원 1명만 달랑 구속 1 샬랄라 2014/03/31 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