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문학열풍 어떻게 보시나요?

.. 조회수 : 4,157
작성일 : 2014-03-22 19:05:22
인문학이라는게 결국
우리 국어시간에 배우던 문학과
역사시간에 배우던 국사 세계사
뭐 이런거에서
인생의 가르침을 좀 얻어보자 이건데

심리학은 뭐 영어용어 써가야 심리학인가요
눈치보고 니맘다알겠다하면 심리학박사구

신학은 교회가서 목사 당신 공부제대로하냐..싶으면 신학박사된거구

박완서작가도 그 어머니가 삼국지를 어렸을때 얘기로 다 들려줬다잖아요

사마천 사기나 일본 전국시대도 재밌긴한데

뭐.. 남자들도 삼국지1권 안읽은사람들 많잖아요
그사람들 나름대로 인생산전수전 겪으며 거기나오는 패턴 다 학습합니다
물론 책으로 먼저 읽으면 시행착오 비용이 훨씬 감소하고 유식하단 소리도 듣겠지만
현대사회가 워낙 전문화되다보니
판검사 애들도 영 인문학에 꽝이고
의사치과에서도 인문학 강사들 초빙하는거보면

앞으로 물질이 흔해질수록
인문학수준으로 좀 클래스가 나뉘긴 하겠어요
왜 재벌들도 모이면 고전이 어쩌고 한다잖아요
IP : 211.107.xxx.191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3.22 7:18 PM (175.114.xxx.39)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결국 콘텐츠가 없으면 껍데기죠. 애플 vs 삼성의 싸움처럼.. 그래서 인문학이 중요한 겁니다. 상상력 없이 기술은 가치가 없어요.

  • 2. ..
    '14.3.22 7:20 PM (175.114.xxx.39)

    임원급과 CEO들이 여기에 목을 매는 이유가 이겁니다. 그들이 가장 필요한 것이 상상력과 인문학적 소양이고 이걸 갖춰야 양반이며 귀족이 되는 건데 이런 소양이 없기 때문에 바쁜 시간 쪼개서 배우고 회사에서 지원해 주는거죠.

  • 3. 인문학이란
    '14.3.22 7:25 PM (49.144.xxx.236)

    인간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문이죠.
    일련의 인간 정신과 지적 탐구 영역인데
    공학적 기술이 발달할수록 인본주의와 창의력이 크게 대두되고
    그러다보니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이 요즘 화두가 되고 ㅇ았는거 같아요.
    고인이된 스티브 잡스도 제품 개발에 인문학을 강조했었죠.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고 인간을 위한 제품을 개발하자가 그의 지론이었으니까요.

  • 4. roo
    '14.3.22 7:33 PM (112.155.xxx.178)

    노숙자나 감옥에 있는 분들을 위한
    인문학 강의를 해주는 경우도 있지요
    삶에 대한 용기와 자신에 대한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도 인문학은 필요할 겁니다

  • 5. 샬랄라
    '14.3.22 7:36 PM (121.124.xxx.140)

    예술과 인문학은 인간답게 그리고 즐겁게 살려면 누구나 어느 정도는 해야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자식들에게 재산을 남겨주는 것보다 이런 분야에 제대로 노출 시켜주는 것이
    부모의 큰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뮤지컬표가 생겨 오후에 보았는데 재미도 있고 스트레스도 좀 풀린 것 같네요.
    여기 게시판에 종종 사는게 재미없다고 하는 글이 올라오는데 쉽지 않은 분도 계시겠지만
    이쪽방면으로 눈을 한 번 돌려보세요.

  • 6. ...
    '14.3.22 7:37 PM (110.15.xxx.54)

    윤리를 포함한 철학 꼭 필요한 것 같아요. 옳고 그름, 공공선에 대한 고민없는 과학기술이 핵발전소를 짓고 결국 3.11 일본 핵발전소 폭발 후 이지경까지 온 것 아닌가 싶네요. 우리나라의 밀양도 그렇고요.

  • 7. ---
    '14.3.22 7:45 PM (217.84.xxx.16)

    윤리와 인문학을 전제로 기술이 발달해야죠. 일본 후쿠시마도 대표적인 예.

  • 8. ---
    '14.3.22 7:46 PM (217.84.xxx.16)

    음악 미술 춤 개그없는 사회..오직 돈만 외쳐대는 사회 정말 삭막하구요. 사는 낙이 없죠.

  • 9. 인문학은
    '14.3.22 7:49 PM (202.136.xxx.15)

    인간을 위한 학문이죠 정작 더욱 강화해야 할 대학에선 점점 추방추세고 밖에선 잘 팔리는 중입니다 학교도 기업이 되가는 중이라.

  • 10. 인문학
    '14.3.22 7:50 PM (116.125.xxx.252)

    49.144. .236 님의 인문학 해석이 맞는 겁니다.

  • 11. ,.
    '14.3.22 8:10 PM (1.226.xxx.132)

    오늘 기사에 나온 전 카이스트 교수님(인터넷 세계 두 번째로 만드신..)이 인터넷 성공 후
    공대생은 "성공하니 좋다''고
    부인인 사회학자 조한혜정 교수님은 "사회에 이로운 것이냐", "너무 빨리 만든 건 아니냐" 질문했다고..(항상 부인에게 고맙다고..)
    인문학이 그런 거죠.. 근본적인 질문을 하게 하니까요..

  • 12. ...
    '14.3.22 8:21 PM (211.178.xxx.65)

    경제학 공학 등이 집의 평수, 견고함 편리함 등 골격에 비유하자면
    인문학 예술등은 집의 내부 같을거 같아요.
    어느때 부터 책을 멀리해서 책읽기 쉽지 않았는데
    인문학 팟캐스트 들으니 좋더군요
    메마른 가슴이 촉촉해 지는거 같아요

  • 13. ...
    '14.3.22 8:28 PM (110.15.xxx.54)

    그리고 후쿠시마 사태 이후 동경전력이랑 일본정부의 사태수습 과정을 지켜보면 인문학이 경제인들(자본주의)와 정치인들에도 꼭 필요할 것 같아요.

  • 14. ..
    '14.3.22 9:22 PM (1.226.xxx.132)

    자본주의가 어느 정도 발전하면 가장 중요시되는 건 양심, 도덕성일 것 같아요..
    기업에서도 도덕성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게 되죠..
    그래도 인문학은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돌아보게 하니까요..

  • 15. 나무
    '14.3.22 9:29 PM (121.169.xxx.139)

    지금 인문학 열풍의 주역은 상인, 기업들이라네요.
    생계에 가장 촉이 발달된 상인은
    앞으로의 기업 방향은 인문학에 있다는 걸 알게 됐다는 거죠

    서강대 철학과 교수 최진석이 방송 강연에서
    여러번 얘기했어요

  • 16. ..
    '14.3.22 9:34 PM (1.229.xxx.187) - 삭제된댓글

    사람에 대한 도의가 결핍되고 있는것에 대한 반향이 아닐까 합니다

  • 17. 음악을 예를 들면
    '14.3.22 9:48 PM (121.162.xxx.155)

    윗님 말씀대로,
    콘텐츠..의 중요성.
    아무리 최첨단 음을 최고로 재생할 수 있는 엠피쓰리 기술이 나와도
    사람들이 대중가요나 음악에 하나도 관심이 없다면
    지금처럼 성공할 수 있었겠어요?
    그냥 녹취기록장치에나 쓰이고 있을듯.

  • 18. ...
    '14.3.22 9:50 PM (211.36.xxx.135)

    더불어사는상생까지생각하게하니
    결국엔살아감을말하는것아닌가요

  • 19. ..
    '14.3.22 9:56 PM (210.126.xxx.103)

    옛사람들과 글을 나누는게 얼마나 즐거운지 모릅니다
    그 사람들이 아직 살아있는듯요..
    말투도 괜히 따라하게되고
    영화도 요즘 cg 만 좋아졌지 내용없잖아요
    옛날영화보면서 향수를 느낍니다

  • 20.
    '14.3.22 11:37 PM (223.62.xxx.120)

    인터넷 강의 추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1. ..
    '14.3.23 12:41 AM (210.126.xxx.103)

    일단 박완서나 정이현 단편집으로 시작해보세요
    그다음 작가수도 늘려가시고 역사쪽으로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도 만화로 돼서 입문하기 좋죠

  • 22. 저는
    '14.3.23 8:49 PM (112.149.xxx.31)

    유아 교사인데요 어쩌다 예전에 배우던 교육 철학자나 여러 이론들을 읽어보면 마음이 따뜻해지고 현장에서 힘들었던 마음을 다시 다잡는 계기가 되요.

    보수 교육이 필요한 이유인것 같아요.

  • 23. ......
    '14.3.23 9:42 PM (183.98.xxx.16)

    인문학에 관해서 잘 읽었습니다.

  • 24. 최진석교수님이..
    '14.3.24 12:45 AM (110.4.xxx.154)

    댓글에 최진석교수님 말씀 하셨는데..저도 기억 나는게 있어요..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이 왜 인문학을 먼저 공부 하느냐라고 화두를 던졌고..
    또 나라가 처음에 발전하게 되는 단계가 경영 경제학->인문학, 철학-> 사학, 역사 이런 방면으로 발전 하다고 하셨어요..
    오래전에 들었던 이야기라 좀 가물가물 하기도 합니다

  • 25.
    '14.4.25 12:48 AM (175.209.xxx.22)

    인문학에 대한 글 저도 잘 읽었습니다

  • 26. 인문학의 중요성
    '17.8.6 4:27 AM (123.254.xxx.203)

    인문학의 중요성 . 저장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8594 집에서 만드는 요플레 용기 어디 제품을 쓰시나요..? 7 요플레 2014/04/10 2,214
368593 김용판 측 "1심 무죄 판결 지극히 당연" 주.. 샬랄라 2014/04/10 332
368592 광주광역시 개인회생 상담 잘 해주는곳 소개 좀.. 2 소개 2014/04/10 918
368591 디너쇼 1 어버이날 2014/04/10 540
368590 예정일 직전인데 애가 내려올 생각을 안하네요 ㅠㅠ 20 나라냥 2014/04/10 2,794
368589 강수연 25 .. 2014/04/10 16,550
368588 동사무소기간제로 일해보신 분 계세요... 4 ^^ 2014/04/10 2,820
368587 워싱턴(도시)dc가 무슨뜻인가요 1 쭈니 2014/04/10 4,897
368586 천상여자 지금 윤소이 ㅋㅋ 6 보라매공원 2014/04/10 7,652
368585 허벅지통 있는 바지 찾다보니 배기바지가 있는데요. 7 ㄸ ㅗㅇ 싼.. 2014/04/10 1,457
368584 폐지 줍던 노부모에 장애인 자녀 돌보라는 나라 2 의무부양제문.. 2014/04/10 1,176
368583 임테기 관계 후 언제부터 6 어쩌나 2014/04/10 18,612
368582 로벤타 청소기 유럽에선 어느정도의 인지도있나요? 2 무선 2014/04/10 942
368581 여러분이라면 어디에 살겠어요 6 .... 2014/04/10 1,117
368580 신고리 5.6호기 핵발전소건설 취소소송 함께 해주세요 2 녹색 2014/04/10 428
368579 이병헌은 그 캐나다 여자 사건만 없었다면 완벽한 연예인이 되었을.. 43 흠흠 2014/04/10 27,976
368578 키자니아 가면 스피커에서 나오는 노래 제목 뭘까요? 키자니아 2014/04/10 653
368577 새벽세시, 바람이 부나요.. 책추천받고 24 책추천감사 2014/04/10 6,558
368576 분노조절 약이란게 있나요? 효과가 있는건가요? 10 답답해 2014/04/10 10,887
368575 조카가 식중독이래요. 6 나루미루 2014/04/10 1,518
368574 원피스가. 유행안타려면 4 붐날 2014/04/10 1,772
368573 HTL가죽소파,사신 분~ 5 코스트코 가.. 2014/04/10 4,571
368572 '타요 버스' 전국서 본다..서울시 캐릭터 사용 허가 8 샬랄라 2014/04/10 1,178
368571 머리 펌하고 말릴때 드라이기로 하시나요? 2 . 2014/04/10 1,430
368570 밀회에서 다미와 선재*(밀회싫으신분 패스요망합니다^ 6 밀회 2014/04/10 3,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