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냉 전기료

봄맞이 조회수 : 1,172
작성일 : 2014-03-22 11:11:04

어휴,

댓글 수정했는데, 원글이 다 날라갔네요.

14년전에 산 김냉 땜에 전기료가 3만원이나 더 나왔단 글입니다.

IP : 129.254.xxx.6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3.22 11:15 AM (211.253.xxx.235)

    김냉이 많이 먹는게 아니라 오래된 가전제품이 많이 먹어요.

  • 2. ..
    '14.3.22 11:20 AM (121.157.xxx.75)

    전 알뜰하지 못해서인가 전기세 이것저것 세심하게 관리 못하는 사람인데요
    냉동고 하나를 안쓸 상황이 되고보니 전기세가 확.. 줄더군요
    저 지금 냉동고 구입을 다시 해야하나 말아야하나를 놓고 고민중입니다
    필요하긴한데 참.. ㅋ

  • 3.
    '14.3.22 11:21 AM (14.45.xxx.30)

    전기요금이 그동안 얼마나 나왓는데 3만원이나 줄어들었나요
    우리나라는 누진세가 있어서 그럴거에요
    저도 10년이상된 김냉새로바꾸었는데 별차이없어요
    몇천원 줄어든것이 전부에요
    저희는 전기요금이 3만원이상 나오지않거든요

  • 4. 딸랑셋맘
    '14.3.22 11:23 AM (175.223.xxx.164)

    10년된 꼬맹이 김냉 치우고 스텐드형샀더니 전기료 만몇천원 줄었더라구요.
    오래된 가전이 확실히 전기먹는 하마구나...했어요.

  • 5. ..
    '14.3.22 11:34 AM (116.121.xxx.197)

    평소에 전기료를 얼마 내시길래 김냉 하나 줄었다고 전기료가 3만원이나 줄어요?
    저는 이번 달 303 kwh을 써서 그 3때문에 속이 쓰리네요 ㅋㅋ

  • 6. 원글
    '14.3.22 11:41 AM (180.229.xxx.67)

    1월 401 2월 310 이네요.
    김냉 끈거 외엔 달라질게 없어요.

  • 7. 원글
    '14.3.22 11:43 AM (180.229.xxx.67)

    그러고보니 14년 됐네요.
    첨 샀을땐 이렇게 전기 많이 먹지 않았는데...

  • 8. 소비전력이 몇KW이길래..
    '14.3.22 11:50 AM (118.223.xxx.185)

    전기요금 차이가 엄청나네요.
    김냉 소비전력이 얼마나 되나요?

  • 9. 원글
    '14.3.22 11:57 AM (180.229.xxx.67)

    월 22 로 써 있고 1등급이네요.

  • 10. ..
    '14.3.22 12:04 PM (118.221.xxx.32)

    그 정도 줄진 않을텐데..
    다른것도 덜 쓴거 아닐까요

  • 11. 뚜껑식
    '14.3.22 12:05 PM (121.132.xxx.65)

    김냉 큰거 두개 버리고 스탠드 한개로
    바꾼 저는 전기료 별 차이 없는데
    저는 뭐여요?ㅎㅎ
    4개월째인데요.

  • 12. 구름
    '14.3.22 1:51 PM (1.233.xxx.69)

    가전제품 중 김냉이 전력소모가 적은 편이에요.
    저희집 경우엔 김냉이 있으나 없으나 차이가 없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1145 답답하네요 야구팬 2014/04/18 711
371144 대체 미군군함, 크레인들은 언제 오는건가요? 12 대체 2014/04/18 1,386
371143 정말 더는 더이상은 울지 않으려고 했는데........ 6 oops 2014/04/18 1,062
371142 철판 두드리면 물속에서 소리들립니다 21 알바는 가라.. 2014/04/18 3,176
371141 "뛰어내려라, 마지막 안내 방송 고(故) 박지영씨가 스스로 판단.. 6 m 2014/04/18 3,442
371140 박근혜 대통령님 꼭 보세요. 18 아..놔 2014/04/18 1,889
371139 민간잠수부 홍가혜님 현장인터뷰 입니다. 17 수박 2014/04/18 3,104
371138 배가 이상이 있을때 선실에 있는게 더 안전할때도 있나요? 7 궁금 2014/04/18 1,679
371137 검찰 해운회사 압수수색-지금 9 ... 2014/04/18 866
371136 어제도 뜬눈으로 밤을 새고 1 제발 2014/04/18 894
371135 배끝부분이라도 살짝 올리는것도 도저히 불가능한가요? 4 궁금해서 2014/04/18 786
371134 홍가혜씨가 인터뷰한 내용 봤는데요 8 조작국가 2014/04/18 2,171
371133 안전사고 없었음... 오늘이 돌아오는 날이죠? 1 제발 2014/04/18 712
371132 현장학습 수학여행 교육청에서 의무적으로 지시하는 건가요? 8 기적 2014/04/18 1,036
371131 지금 계속 공중파 보고 계시는 분 계세요? 10 답답 2014/04/18 2,379
371130 안전 불감)지금 아파트 단지안에서 인테리어 하고 샤시 올리는데... 8 ㅜㅜ 2014/04/18 3,370
371129 김문수님 보세요. 21 아..놔 2014/04/18 2,873
371128 이 사건은 선장의 잘못 해경의 초기대응늑장이 다 살릴 목숨을 15 고양이2 2014/04/18 1,764
371127 사고후 낮 11시17분에도 단톡방에 안부글 올리던 담임샘 1 ㅇㅇ 2014/04/18 2,134
371126 배가 왜 갑자기 가라앉는거죠? 6 11 2014/04/18 1,591
371125 배 여행 해봤는데요...배에 이상이 있으면 무조건 갑판으로..... 8 크루즈 2014/04/18 3,052
371124 아이들아 미안해 케이트 2014/04/18 849
371123 지금 TV조선 좀웃끼지만 맞는말은하네요 20 지금 2014/04/18 4,495
371122 선장은 선원법위반으로 5년이하 처벌 받을수 있다는데.. 3 .. 2014/04/18 709
371121 유속이 세다면서 시신은 근처서 발견? 10 2014/04/18 2,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