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금치데치는법좀 알려주세요

나물이어려워 조회수 : 1,554
작성일 : 2014-02-24 18:36:08
푹죽거나 생생살거나 그래요 ㅜㅜ
시금치나물 어떻게데치나요
넘초보적인거라 부끄러운데 팁좀주세요 매번실패요ㅜㅜ
IP : 203.128.xxx.7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24 6:38 PM (211.36.xxx.108)

    전에 홍신애씨였나
    데칠때 노래부른다고 했어요.
    곰세마리였던것 같은데
    아시는분~~~

  • 2. ㅇㅇ
    '14.2.24 6:41 PM (39.119.xxx.125)

    아, 곰세마리 노래 부른다니 너무 웃기고 귀엽네요 ㅋㅋ
    저도 늘 브로콜리, 시금치, 콩나물 등등 데치는 시간때문에 고민해요
    사실 요리에 자신없는 사람은 남들한테 기본적인 것처럼 보이는 이런 문제가
    진짜 큰 문제 잖아요? ~
    제가 알기론 시금치는 뿌리 쪽부터 담구면서
    거의 넣엏다 빼는 수준으로 바로 건지라고 하던데...
    그래야 안물러진다구요.
    근데 곰세마리 부르려면 그건보단 더 있어야 할 것같기도 하네요 ^^

  • 3. 시금치
    '14.2.24 6:45 PM (221.144.xxx.98)

    물이 팔팔 끓으면 데칠시금치양을 나누지말고 한꺼번에 넣고 아 굵은소금 먼저 넣고요 수저로 한번뒤집으면서 바로불끄고 한번더 골고루뒤집고 찬물에 헹구기요.

  • 4. 이런건
    '14.2.24 7:04 PM (121.147.xxx.125)

    정말 자신의 경험으로 해야해요.

    왜냐면 시금치 데칠때 시금치 양과 물의 양이 얼마큼이냐에 따라 시간이 달라지거든요.

    곰세마리는 아닌 듯한데요.

    제 경우엔 살짝 데친 후에 뜨거운 물에 좀 담궈놔요.

    그러면서 좀 더 익은듯하면 그 때 찬물에 헹궈줍니다.

    그러니까 뜨거운 물에 담궈놓으면 시금치에 들어 있는 수산도 좀 빠져나가고

    따뜻한 물에서 천천히 좀 더 익으며 맛이 달큰한 시금치 나물이 되는 거 같아요.

    시금치는 생으로도 먹을 수 있으니까 너무 오래 데칠 필요가 없는 듯해요.

  • 5. .....
    '14.2.24 7:08 PM (110.70.xxx.40)

    펄펄 끓는 물에 넣고 뒤적거리다 뺍니다.
    그러니까 데치는건 가장자리만 뽀글할정도죠. 삶는건 전체가 부블부글 하는거고요.

  • 6. 시금치는
    '14.2.24 7:10 PM (115.137.xxx.109)

    넣었다가 한번 휘~젓고 그냥 빼야해요.
    안그러면 곤죽되요.

  • 7. ㅡㅡㅡㅡ
    '14.2.24 7:11 PM (58.122.xxx.201) - 삭제된댓글

    물이 퐁당 넉넉하다는조건하에 팔팔끓을때 소금한술넣고 시금치
    뿌리부분부터넣고 40초정도면됩니다

    시금치는 겉저리도하는거니까 푹삶을필요는 없지요.

  • 8.
    '14.2.24 7:23 PM (14.52.xxx.59)

    전기주전자에 물 끓여서 부어요
    물 식기전에 꺼내면 되요
    물 붓기전에 씻지도 않아요
    꺼내서 헹구면서 씻습니다
    모든 야채를 (콩나물 정도 빼고) 다 저 방법으로 데쳐요

  • 9. ....
    '14.2.24 9:46 PM (180.228.xxx.9)

    하이고~
    며칠 전에 큰 봉투로 가득 시금치를 얻어 와서 다섯번 해 먹으면서 한번도 제대로 못 삶고 곤죽 만들어
    먹으면서 어찌나 약 오르던지요.
    펄펄 끓는 물에, 첫날은 5분 삶고 ,두번째부터는 3분 30초, 3분..이렇게 팍팍 삶았으니..
    82에 물어 보고 할 껄...

  • 10. ..........
    '14.2.25 10:26 AM (118.219.xxx.72)

    끓는 물에 넣고 15초 넣다 빼세요 15번 숫자 세면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6703 이 시간에는 아이가 달려도 내버려 두시나요? 35 층간소음 2014/02/26 2,964
356702 분당,판교에 에 맛있는 칼국수집,짬뽕집 어디있나요 4 분당 2014/02/26 1,971
356701 집 안 사고 8, 9억 고액 전세 사는 건 왜 그럴까요? 13 음. 2014/02/26 5,903
356700 타나실리 14 백진희 2014/02/26 4,077
356699 향수 좀 뿌려줬으면 9 딴이야기 2014/02/26 2,978
356698 마테차의 맛은 어떠한가요? 10 마테차 2014/02/26 1,819
356697 수백향 왕은 단벌 기황후는 계속 화려한 옷들로 바뀜 2 처음부터 2014/02/26 1,503
356696 휴대폰 사는데 전산수납..아시는분 계신가요? 7 ... 2014/02/26 1,632
356695 수백향에서 진무공이 이재룡 아들이라는데 어떻게 된건가요? 12 아 수백향... 2014/02/26 2,369
356694 아고라에서 본 여탕...설마... 67 -_- 2014/02/26 20,356
356693 아파트 제곱미터로 하니 하나도 구분이 안가요. 8 2014/02/26 2,103
356692 티벳버섯 구입하려구요 1 ^^ 2014/02/26 2,222
356691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컴플레인) 2 aaa 2014/02/26 1,517
356690 러시아, 러시안 욕은 개뿔..고도의 한국 까인거 모를줄 알고 1 ... 2014/02/26 1,069
356689 성신여대 근처 화상전문 병원있나요? 3 ㅇㅇㅇ 2014/02/26 1,407
356688 남동생 결혼식때 누나한복입어야하나요? 24 한복 2014/02/26 10,737
356687 대기업이나 금융권에 합격하는 친구들은? 5 요즘 2014/02/26 2,646
356686 상속시 실거래가 신고 해야되나요? 3 상속 2014/02/26 1,335
356685 부분교정은 가격이 얼마나 하나요? 1 치아교정 2014/02/26 1,459
356684 아기이름 좀 지어주세요~~ 13 막달 2014/02/26 1,493
356683 [전문]朴대통령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담화문 外 2 세우실 2014/02/26 858
356682 책을 손주에게 물려주기도 하나요? 19 2014/02/26 1,825
356681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 취득하신 분 계신가요? 2 미니모이 2014/02/26 4,107
356680 [원전]핵발전소 '펑', 해운대 30분-부산시 90분이면 초토화.. 12 참맛 2014/02/26 1,828
356679 통장 안 만들고 통장개설하고 싶은데요 11 .. 2014/02/26 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