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금치데치는법좀 알려주세요

나물이어려워 조회수 : 1,553
작성일 : 2014-02-24 18:36:08
푹죽거나 생생살거나 그래요 ㅜㅜ
시금치나물 어떻게데치나요
넘초보적인거라 부끄러운데 팁좀주세요 매번실패요ㅜㅜ
IP : 203.128.xxx.7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24 6:38 PM (211.36.xxx.108)

    전에 홍신애씨였나
    데칠때 노래부른다고 했어요.
    곰세마리였던것 같은데
    아시는분~~~

  • 2. ㅇㅇ
    '14.2.24 6:41 PM (39.119.xxx.125)

    아, 곰세마리 노래 부른다니 너무 웃기고 귀엽네요 ㅋㅋ
    저도 늘 브로콜리, 시금치, 콩나물 등등 데치는 시간때문에 고민해요
    사실 요리에 자신없는 사람은 남들한테 기본적인 것처럼 보이는 이런 문제가
    진짜 큰 문제 잖아요? ~
    제가 알기론 시금치는 뿌리 쪽부터 담구면서
    거의 넣엏다 빼는 수준으로 바로 건지라고 하던데...
    그래야 안물러진다구요.
    근데 곰세마리 부르려면 그건보단 더 있어야 할 것같기도 하네요 ^^

  • 3. 시금치
    '14.2.24 6:45 PM (221.144.xxx.98)

    물이 팔팔 끓으면 데칠시금치양을 나누지말고 한꺼번에 넣고 아 굵은소금 먼저 넣고요 수저로 한번뒤집으면서 바로불끄고 한번더 골고루뒤집고 찬물에 헹구기요.

  • 4. 이런건
    '14.2.24 7:04 PM (121.147.xxx.125)

    정말 자신의 경험으로 해야해요.

    왜냐면 시금치 데칠때 시금치 양과 물의 양이 얼마큼이냐에 따라 시간이 달라지거든요.

    곰세마리는 아닌 듯한데요.

    제 경우엔 살짝 데친 후에 뜨거운 물에 좀 담궈놔요.

    그러면서 좀 더 익은듯하면 그 때 찬물에 헹궈줍니다.

    그러니까 뜨거운 물에 담궈놓으면 시금치에 들어 있는 수산도 좀 빠져나가고

    따뜻한 물에서 천천히 좀 더 익으며 맛이 달큰한 시금치 나물이 되는 거 같아요.

    시금치는 생으로도 먹을 수 있으니까 너무 오래 데칠 필요가 없는 듯해요.

  • 5. .....
    '14.2.24 7:08 PM (110.70.xxx.40)

    펄펄 끓는 물에 넣고 뒤적거리다 뺍니다.
    그러니까 데치는건 가장자리만 뽀글할정도죠. 삶는건 전체가 부블부글 하는거고요.

  • 6. 시금치는
    '14.2.24 7:10 PM (115.137.xxx.109)

    넣었다가 한번 휘~젓고 그냥 빼야해요.
    안그러면 곤죽되요.

  • 7. ㅡㅡㅡㅡ
    '14.2.24 7:11 PM (58.122.xxx.201) - 삭제된댓글

    물이 퐁당 넉넉하다는조건하에 팔팔끓을때 소금한술넣고 시금치
    뿌리부분부터넣고 40초정도면됩니다

    시금치는 겉저리도하는거니까 푹삶을필요는 없지요.

  • 8.
    '14.2.24 7:23 PM (14.52.xxx.59)

    전기주전자에 물 끓여서 부어요
    물 식기전에 꺼내면 되요
    물 붓기전에 씻지도 않아요
    꺼내서 헹구면서 씻습니다
    모든 야채를 (콩나물 정도 빼고) 다 저 방법으로 데쳐요

  • 9. ....
    '14.2.24 9:46 PM (180.228.xxx.9)

    하이고~
    며칠 전에 큰 봉투로 가득 시금치를 얻어 와서 다섯번 해 먹으면서 한번도 제대로 못 삶고 곤죽 만들어
    먹으면서 어찌나 약 오르던지요.
    펄펄 끓는 물에, 첫날은 5분 삶고 ,두번째부터는 3분 30초, 3분..이렇게 팍팍 삶았으니..
    82에 물어 보고 할 껄...

  • 10. ..........
    '14.2.25 10:26 AM (118.219.xxx.72)

    끓는 물에 넣고 15초 넣다 빼세요 15번 숫자 세면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6276 엄마가 읽을만한 책 추천요~ 1 핫팩 2014/02/25 964
356275 라면 뺏어먹은 아빠 글 14 맑은공기 2014/02/25 2,382
356274 전월세 임대소득자 세금을 물린다면 10 .... 2014/02/25 1,639
356273 애기가 2살때 나가서 초등3학년때 한국들어오게되었어요 교육 조언.. 4 걱정 2014/02/25 741
356272 中 갔다온 <한겨레> 기자 “이인철 국정원 영사 만났.. 현장 지휘책.. 2014/02/25 847
356271 만 두돌, 3세 아이에게 간단한 영어노출 해야할까요? 8 .... 2014/02/25 1,450
356270 몇년 전 기억도 또렷이 기억한다며 3 .. 2014/02/25 653
356269 연말정산을 아예 안하면 어떻게 되나요 8 무식 2014/02/25 14,961
356268 日헌법해석 주무장관 ”총리 방침따라 할일 할 것” 세우실 2014/02/25 586
356267 대추차 만든후 대추씨요. 3 호빵맨 2014/02/25 1,536
356266 우리나라 사람들은 미세먼지에 큰 관심이 없네요 10 ㅇㅇ 2014/02/25 2,375
356265 [기획-朴대통령 취임 1주년 ‘패션 통치학’] 칼라와 컬러로 ‘.. 3 벙어리 2014/02/25 756
356264 이케아에 팔았던 개구리 왕자 인형(입에 수납가능한..) 3 약 8년전... 2014/02/25 1,208
356263 이번에 초등학교 신입생 엄마에요. 1 조언을~ 2014/02/25 680
356262 집 내놓기전에 도배하고싶은데 같은 벽지를 구할수없네요.....ㅜ.. 1 ... 2014/02/25 972
356261 토지이용계획확인원 2 점순이 2014/02/25 1,382
356260 카톡 2 ,, 2014/02/25 862
356259 부모님께 물려 받은 좋은 습관 공유해 봐요 39 습관 2014/02/25 5,270
356258 학용품 기증할 곳 아세요? 5 정리하자 2014/02/25 1,429
356257 크로스백 코치랑 루이까또즈 어떤게 나을까요? 2 가방 2014/02/25 2,958
356256 최근 돌반지 얼마인가요? 싸게사려면..? 4 돌반지 2014/02/25 1,593
356255 외국사는 친구와의 카톡 문의... 3 연락 2014/02/25 1,643
356254 중2되는 남자애, 집에서 자고 있는데 아직 안깨우는 엄마에요 12 .... 2014/02/25 3,530
356253 서른. 연애를 시작했습니다. 2 사랑 2014/02/25 1,587
356252 북경계시는분 날씨좀 지금 2014/02/25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