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스키장 나이든 사람이 가도 되나요?

ddd 조회수 : 1,766
작성일 : 2014-02-18 11:23:34

스키장 한 번도 안 가본 사람 입니다.

그런데 인생 뭐 있나, 죽기 전에 한 번 해보자 싶어서 말로만 들었던 스키장 어떤건지

경험이나 해보려고 한 번 가보려고 해요.

근데 티비서 보면 젊은 사람만 보이던데 이거 20대 처녀 총각이나

아이 어린 젊은 부부 말고 나이든 사람도 거기 가도 안 뻘쭘 할까요?

분위기 어떤지 알려 주세요.

첨이니까 스키장비 렌탈, 강습 1회, 숙박  패키지로 하루 가보려고 해요.

식사는 꼭 거기서 사 먹어야 하나요?

 

사실 한번도 안 가봐서 지금 생각은 보기보다 재미도 없고 돈 낭비일지도 모르는데

차라리 그 돈이면 일박이일로 다른 곳 가는게 더 나은 건가 싶기도 해요.

겨울이라 자연이 안 예쁠 때라 일박이일로 어딜가도 별로일 거 같아서

한 번도 안 가본 데 가보자 해서 스키장 가는건데 스키 잘 모르니 마음이 오락가락 하네요.  

IP : 175.193.xxx.115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18 11:25 AM (175.123.xxx.81)

    나이가 무슨 상관^^ 재미있게 지내다 오세요~~~~

  • 2. ..
    '14.2.18 11:25 AM (116.121.xxx.197)

    50중반인 우리 시동생 부부도 저번주에 다녀왔어요.

  • 3. 콘도
    '14.2.18 11:28 AM (121.160.xxx.196)

    콘도일 가능성이 많은데 해 드셔도 되고 사 드셔도 되고요.
    꼭 다녀오세요.

  • 4. 가셔서
    '14.2.18 11:32 AM (121.143.xxx.17)

    무리하지 마세요. 제가 트레인받고 높은데 가서 내려오고 맛들다 더 높은데 올라갔다 너무 가파라서 옆 샛길로 빠져서 위험천만.....남편친구는 보드타고 점프하다 양발이 꼬여 떨어져서 구호팀에 들것에....그리고 병원으로...콘도는 돈만 버리고...

  • 5. ...
    '14.2.18 11:37 AM (1.241.xxx.158)

    뼈조심하세요.

  • 6.
    '14.2.18 12:01 PM (14.32.xxx.221)

    ~~ 물론 나이들어 쉽진 않겠지요. 운동신경도 많이 감퇴됐으니.. 하지만 나이들어 뭔가 새로운 도전을 한다는 것은 아름다운 것 아녜요? 한 번 가보세요. 눈위를 미끄러지듯 내려오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숙소는 거의 콘도식으로 되어있을텐데요. 사먹는 것보다 간단하게나마 준비해가셔서 직접 해 드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아니면 스키장에서 조금만 나와도 괜찮은 식당이 있을거에요. 즐거운 경험 되세요~

  • 7. 근데
    '14.2.18 12:33 PM (218.54.xxx.95)

    다치실까봐..걱정입니다요...골절많이 당합니다.

  • 8. 그게
    '14.2.18 12:46 PM (175.193.xxx.115)

    스키가 초보자가 더 쉽게 다칠수 있는 건가요? 다들 다치지 않게
    조심하라시는데 다치고 싶어서 다치는 사람은 없을테니 스키 자체가
    다칠 가능성이 많은 운동인거지요?

  • 9. 쉰훌쩍
    '14.2.18 12:52 PM (118.34.xxx.38)

    낼 모래가 60인 저 어제 대명 비발디에서
    스키3시간 타고 왔습니다. 내 인생 마지막 스키였습니다
    아이들 어릴때 워낙 많이 타서 50 넘으면서 안탔지요
    그래도 옛날 실력나오고 재미 있었습니다.
    레벨 높은코스는 안 갔습니다. 나이가 있으니 겁이 나더군요...
    가보세요 안타도 즐길거리 많습니다.

  • 10.
    '14.2.18 3:03 PM (115.136.xxx.24)

    스키타다 다치는 경우가 좀 있긴 하지만
    초보자코스에서 조심해서 살살 타시면 괜찮지 않을까요~

    초보자들이 중급 상급 코스에서 타가보니 사고가 많이 나는 거 같아요

  • 11. 진짜 조심 하셔요
    '14.2.18 3:24 PM (180.71.xxx.14)

    열정도 좋지만 조심하셔야 돼요. 40중반인데 스키는 좀 타요. 근데 보드 배워 보려다 죽을 뻔 했어요. 배움은 나이가 없지만 운동은 나이가 있더라구요.

  • 12. 아무도 신경안써요
    '14.2.18 3:59 PM (39.7.xxx.206)

    글고 스키장에서
    눈사람도 안만들고
    눈구경만 하다 오는 사람도 많아요.
    맘놓고 다녀오세요.

  • 13. 제가 이번에 느낀점
    '14.2.18 6:04 PM (110.10.xxx.253)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스키장에 갔다와서 느낀점을 나누려구요. 아직 답글 보시겠죠?

    전 초보는 뗀 상태이고 언니는 초등학교때 타고 첨타보는 사람이었어요. 제가 제대로 배우자고 졸라서 강습포함된 해외리조트까지 갔구요.

    결론은 언니가 넘어져서 다쳤어요.
    ...하지만 다음에 다시 가려구요. 가족이 같이 공감하며 또 혼자만의 시간을 갖으면서 하는 점이 저는 정말 좋거든요.
    저희는 30대 중후반이구요. 중급으로 올라간 저희반에는 50대 자매도 있었어요.

    배우고자하는 욕심도 있는게 비슷하고 재미지게 타다가 부상당한 사람으로 조언을 드리면
    1 강습을 받으세요
    2 강습을 받으시면 재미도 있고 자신감도 생깁니다
    그상태에서 절대로 혼자 새로운 길을 개발하지 마세요. 혼자서 안가본 코스 리프트 타지 마시구요
    (저희는 강습 30분전에 우리끼리 연습한다고 안타본리프트 탔다가 넘어져서 다쳤어요)
    잘타는 사람들도 일단 잘 모르는 코스는 가이드를 받고 지형을 익히더라구요.
    3. 일단 옆으로 멈춰서는 패러랠 턴이 가능하실때까지 꾸준히 강습을 받으세요. 매번 받는다기보다는 차근차근 강습받은대로 같은 코스서 연습하시다가 잘되시면 다시 강습받고 하시면 되실꺼에요. A자로 속도조절만 하시는 수준이 혼자 속도조절을 못해서 넘어지시기 쉬워요.
    3 사람 많은 시기는 피하세요. 원글님이 못타시는게 문제가 아니라 속도조절을 못하는 초보가 원글님을 받거나 앞에 쓰러져있어서 사고나기 쉬워요.

    제가 본 50대 일본인 자매는 자기가 감당할수 있는 수준으로 강습잘 받으시며 힘들면 중간ㅇ

  • 14. 제가 이번에 느낀점
    '14.2.18 6:08 PM (110.10.xxx.253)

    끊겨서
    중간에 먼져 들어가시면서 조절하시면서 타시고 헬멧까지 장비를 잘 갖추면서 타셨어요.

    그리고 어디서 레슨받으시는지 모르겠지만 강습신청하실때 강사자격증이 있는 경력있는 분한테 배우고 싶다고 확인 하시구요. (저도 여기서 검색하다 안건데 체대생 데려다 몇시가 포인트만 집어주고 강습시키는데도 있데요)

    저는 꼭 다녀오셨으면 좋겠어요! 마음에 하고 싶은 마음이 있고 열정이 있을때 그 마음을 소중히 여기고 키워나가는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많이드는 요즘이에요. 안전하게 자 타다오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4004 가끔 전업주부 용돈 얼마나 쓰냐는 글에 헉스런 댓글이 달리던데요.. 43 aa 2014/02/18 12,514
354003 친정 아빠 용돈 얼마 정도면 적당할까요? 1 2014/02/18 1,261
354002 박근혜 대통령은 'YTN의 성역'입니까? 1 참맛 2014/02/18 999
354001 오늘 감사한 일 있었나요? 5 그 중 2014/02/18 848
354000 국물없는 라면은 먹지 말아야ㅠㅠ 8 .. 2014/02/18 4,167
353999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 장하네요. 그런데 두 가지 궁금점... 5 ..... 2014/02/18 2,876
353998 왜 우리 나라 선수는 5명 인가요 6 여자계주 2014/02/18 2,612
353997 메달은 모두 여자선수 몫 4 아무래도 2014/02/18 1,752
353996 덕수궁 무료입장인가요? 4 미즈박 2014/02/18 1,121
353995 심석희가 해내는군요~!! 2 .. 2014/02/18 1,756
353994 금메달 8 쇼트트랙 2014/02/18 1,585
353993 아이가 취직할수있을까요? 4 걱정 2014/02/18 1,861
353992 화이팅~!! 3 만세 2014/02/18 596
353991 할머니께서 119에 실려가셨어요 3 불효손녀 2014/02/18 1,773
353990 학습돌보미직 구하려면 어디서 알아봐야할까요? 2 학습돌보미문.. 2014/02/18 986
353989 친정언니랑 오빠문제로 싸웠는데 6 어휴진짜 2014/02/18 2,715
353988 양상치 가능한 오랬동안 보관할수 있는 방법좀.. 4 2014/02/18 1,606
353987 증거조작해서 생사람 잡은거여 만겨? 아마미마인 2014/02/18 487
353986 얼린걸 해동했다가 다시 얼려도 괜찮을까요? .. 2014/02/18 1,065
353985 오늘 쇼트랙 남자 500미터 결승 하나요? 오늘 2014/02/18 592
353984 소심한 성격은 어떻게 고칠까요? 3 .. 2014/02/18 1,555
353983 건강검진 타지역에서 받을 수도 있나요? 1 미즈박 2014/02/18 2,637
353982 야채 다지기의 최고는 어떤 제품일까요? 17 야채 다지기.. 2014/02/18 5,372
353981 애견 키우시는분들께 질문드려요...(KTX탑승시) 10 강아지좋아 2014/02/18 3,187
353980 생중계 - 고 이남종 열사 49재 국정원시국회의 추모제- 서울.. lowsim.. 2014/02/18 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