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국물 낼 때 재료는 왜 크게 잘라 넣나요?

.. 조회수 : 2,215
작성일 : 2014-02-12 17:57:58
육수나 국물을 따로  낼 때 넣는 재료들은 보통 먹을만하게 썰지 않고
그냥 통째로 넣거나 아니면 큼직하게 넣는데 이유가 뭔가요?
고기, 말린 어류, 무, 양파, 대파 등을 넣는데 보통 한두번만 자르거나 해서 거의 큼직하게 넣잖아요.
근데 오래 전에 여기서 같은 질문을 한번 한 적 있었는데요, 
댓글이 거의 '국물을 맑게 하기 위해서' 일 거라고 했었거든요. 
그런데 무나 양파 같은 거 딱히 부스러기가 나오거나 그렇진 않잖아요. 
그리고 통째로 넣으면 시간과 가스도 더 소모되고 그 재료들 쓸 경우엔 
뜨거운 거 다시 꺼내 잘라야 하고 아주 더 번거로운 것 같은데요.
저는 좀 막입이라 그런지 차이를 모르겠어서 보통 그냥 잘라 넣고 끓이거든요.
근데 단지 국물을 맑게 하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뭔가 맛이나 다른 면에서 또 다른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우연히 최요비 예전 자료에서 쇠고기국을 보는데, 물에 쇠고기를 큼직하게 썰어 넣고 끓여서 우려낸 다음, 
고기를 꺼내 잘게 썰어서 다시 넣어 국을 끓이더라구요. 여튼 그래서 생각이 나 또 좀 질문 올려 봅니다.
IP : 175.252.xxx.2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건져내기
    '14.2.12 5:59 PM (121.169.xxx.246)

    귀찮잖아요

  • 2. 너무
    '14.2.12 6:03 PM (121.164.xxx.192)

    잘게 썰면 너무 금방 익어서?

  • 3. 엥?
    '14.2.12 6:03 PM (112.152.xxx.173)

    안부스러져요?
    엊그제도 쇠고기국하는데 무를 작은토막으로 넣었더니만
    푸욱 끓인다고 끓이다가 간장넣고 저었더니 부슬부슬 뭉그러지고 난리더만
    큰 무니까 안부서지는거죠
    양파역시 잘게 잘라 끓이다보면 하늘하늘 조각이 돌아다닙니다

  • 4. ㅇㄹ
    '14.2.12 6:11 PM (203.152.xxx.219)

    잘게 썰어서 국물내보면 국물이 뿌옇습니다 ..
    맛있는 성분뿐 아니고 그 재료가 부셔져서 국물에 섞이는거죠.
    그래서 통째로 넣는거예요. 액기스를 뽑아내려고.. 재료가 부셔져서 국물이 탁해지는것 방지하고요.

  • 5. ..
    '14.2.12 6:41 PM (175.252.xxx.27)

    흠 그런가요? 전 그걸 다시 꺼내 썰거나 하는 게 더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국물 낸 재료들도 보통 거의 다시 쓰니까요. 그래서 그냥 처음부터 썰어서 넣고 건져내야 할 경우엔 체를 쓰거나 했거든요.
    그리고 그 육수로 찌개나 국을 하더라도 일부러 맑은 국을 끓여야 할 경우가 아니면
    된장이나 다진마늘이나 김치나 고춧가루 등을 넣으면서 더 맑고 뿌옇고 차이도 모르겠고 해서요.
    큰 덩어리로 더 오래 끓이면 뭔가 더 깊은 맛이 난다거나 그런 게 있나 생각했네요. 답변들 감사합니다.

  • 6. ...
    '14.2.12 6:43 PM (211.36.xxx.90)

    원글님 이건 자스민님께 배운 팁인데요.
    육수 너무 오래 끓이지마시고 어느 정도 끓은 후엔 시원한
    베란다에 그냥 내다두세요.
    하룻밤 지나면 더 진하고 맛있는 육수가 되어있어요.
    깊은 맛이나요.

  • 7. ..
    '14.2.12 7:14 PM (175.252.xxx.27)

    아 그렇군요. 그냥 오래 끓이면 좋다고만 생각했는데;..
    유용한 팁이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 8. ..
    '14.2.12 7:22 PM (211.197.xxx.180)

    난 지금 까지 썰기 귀찮아서 그냥 통채로 넣었는데 ㅎㅎㅎ
    어허~ 난 지금까지 뭐하고 산건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2428 목동 뒷단지 나물 안짜게 맛있게 무치는 반찬집 없나요? 1 .. 2014/02/13 933
352427 [원전]"방사능...일본 음식 희망이 없다" .. 참맛 2014/02/13 1,686
352426 선생님 선물스타벅스 카드 어때요? 13 선물 2014/02/13 6,046
352425 생리때도 운동하세요? 6 ㅇㅇ 2014/02/13 3,114
352424 오곡밥할때 찹쌀 꼭 불려야 하나요? 3 보름 2014/02/13 2,126
352423 광화문에서 운동하기 좋은 곳 추천 부탁드려요. 1 추천부탁 2014/02/13 1,225
352422 물 하루에 몇 잔 드세요? 4 ㅡㅡㅡㅡ 2014/02/13 1,542
352421 전세 나갈 때 4 전세집 2014/02/13 1,249
352420 25일에속초가는데 괜찮을까요? 1 하늘꽃 2014/02/13 838
352419 애교살필러 해보신분 있나요? 3 .. 2014/02/13 8,683
352418 은퇴연령 보통 몇으로 잡고 계세요? 3 은퇴 2014/02/13 1,889
352417 마이너스통장 9 00 2014/02/13 3,280
352416 '변호인'의 부림사건, 33년만에 무죄판결 3 샬랄라 2014/02/13 1,070
352415 영창 피아노 1499384 몇년도 제작일까요? 5 ㅇㅇ 2014/02/13 1,269
352414 부산날씨는 어떤가요? 7 도외주세요 2014/02/13 938
352413 그거 아셨어요? 빙신연맹 회장이 쁘띠거늬 둘째 사위라는거요 4 뭥미 2014/02/13 3,434
352412 보름음식은 언제 먹나요 1 보름 2014/02/13 3,346
352411 학교문의 6 조언구함 2014/02/13 1,318
352410 학원빠지고 친구랑 논다는 아이 허용범위 있을까요? 1 중딩 2014/02/13 979
352409 교회나 성당아이들 반 5 2014/02/13 1,131
352408 복도식 아파트 복도에 오토바이 대도 되나요??? 13 hhhhha.. 2014/02/13 2,184
352407 웨지운동화 신어보신분~ 발편안한가요? 8 2014/02/13 1,967
352406 남자 쇼트트랙 1500M 안현수 동메달 획득, 러시아 반응 4 안현수 2014/02/13 3,905
352405 40후반인데 어깨약간 내려오는 머리에요. 자르면 나이들어보인다.. 5 나이에 맞게.. 2014/02/13 2,179
352404 아이들 어떻게 해멱여야할지 모르겠어요.성조숙증 ? 1 식단 2014/02/13 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