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특목고 보낸 엄마들에게 질문합니다. 선행학습에 관하여.

궁금이 조회수 : 3,706
작성일 : 2014-02-10 18:09:03

요즘 특목고 갈  애들은 4~5학년이면 대충 갈린다는 말이 있는데 무슨의미인지 잘 파악이 안되어요

아이와 상관없이 부모가 그때부터 준비를 한다는말인지. 아이의 싹이 그때 보인다는건지. 경험자분들 얘기좀 들려주셔요.

 

그리고 특목고에 가려면 초등부터 선행학습이 필수 인지요?

저는 아이도 아직 어리지만.  선행학습이 좋은것만은 아니다.선행보다 수업시간에 집중하고 복습 열심히 하는것이 더 중요하다   라고 생각해왔는데. 특목고의 경우 선행학습 하지않고  합격한애들은 "거의" 없다 시피하고  더욱 중요한건 특목고 가서도 선행학습은 필수이며 , 선행이 안되었을경우 살아남기 힘들다는 얘기를 오늘 들어서요.

선행없이. 특목고 보내셨거나  지금 다니고 있는 아이들 얘기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IP : 125.141.xxx.6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10 6:11 PM (1.240.xxx.105) - 삭제된댓글

    특목고에 선행이 대세이면
    그게 곧 정도가 되는거죠 뭘.
    솔직히 책 3번읽고 시험보는 것하고
    처음 한번 보고 시험보는 것하고 같을 수 있나요.

  • 2. .....
    '14.2.10 6:16 PM (112.150.xxx.35)

    특목곤 아니고 비평준화 지역 학교보내요 아직 애가 어린가보네요 4학년부터 난용이 좀 심화되니 공부할 애랑 아는애가 좀 보인단 뜻이겠죠
    아이가 이과쪽 갈거라면 수학, 과학 선행 필수죠 나름한다고 했는데 좀더 제대로 하고올걸 좀 후회돼요
    문과라면 제생각은 중2하반기 정도부터 좀 강도있게 해도 될거같아요

  • 3. ㅇㄷ
    '14.2.10 6:28 PM (203.152.xxx.219)

    선행은 초6 정도부터 시작하는게 좋아요.
    그 전에도 물론 예습정도로 다음 한학기정도껀 미리 해보고 가는 수준이면 좋구요.
    초6 여름 겨울 방학부터는 한학년 단위로 선행하면 되고요. 너무 많은 선행도 안좋아요.
    이미 다 공부한것을 학교가서 또 배우니 학교 공부는 뒷전이 될수도 있고,
    아이가 자신의 능력보다 더 어려운걸 공부하다보면 지쳐서 포기하는
    경우도 생기거든요.

  • 4. ㅇㄷ
    '14.2.10 6:31 PM (203.152.xxx.219)

    그리고 어설픈 선행보다는 심화가 훨씬 중요해요. 배운걸 확실히 아는것..
    괜히 선행에 집중해서 제대로 짚지 않고 넘어가면 선행 안하느니만 못해요.

  • 5. 친구딸
    '14.2.10 6:35 PM (202.136.xxx.72)

    어릴적부터 그렇게 공 들이더니 외고 보내고 스카이 보냈어요.
    여기서 공들인다는 게 사교육으로 무장한 건 아니고,
    초등때는 책읽기를 많이 시키고 신문을 많이 읽혔죠.(아침에 읽으라고 맨날 식탁에 신문놓고)
    그리고 수학선행도 많이 했어요. 저만 보면 수학진도 쭉쭉 뽑으라고..
    수학은 그 친구가,영어(종합영어)는 친구남편이 중학교까지 봐주고
    중3때 이은재? 학원인가 거기보냈었고...
    암튼..제 친구보니깐 선행은 필수였던 거 같고,
    친구말이 자기 딸은 머리보담 노력형이라는데 이번에 스카이 간 거 보고,
    전 오히려 책을 많이 읽혀야겠다고 생각했네요.
    사고력이 경쟁력인 거 같아요.

  • 6. 대답할 자격은 안 되지만요,
    '14.2.10 6:42 PM (114.205.xxx.114)

    보통은 한 학년 이상은 선행하지 말고 차라리 심화를 다지라고 하지만
    특목(특히 과고) 준비한다면 많이 봐두면 봐둘수록 좋은 거 아닐까요?
    저는 아직 예비중이긴 하지만 과고 준비하는 아들이 있는데요,
    과고 준비하는 주변 아이들 추세가 몇년 앞선 선행은 필수인 시대가 됐더라구요.
    저희 아들도 역시 현재 중3과정 다 끝내고 정석 하고 있습니다.
    일단은 대비 전문 학원 커리큘럼이 그렇게 진행되니 따라갈 수 밖에 없고,
    과고 보내 본 분들 얘기가, 선행 없이 어떻게든 입학한다해도 이미 선행 마치고 온 아이들에 비해
    교과 과정 따라가려면 너무 힘들다고, 선행 많이 안 뺀 걸 후회한다고 하더군요.
    특히 과학보다는 수학이 더요.
    참, 그리고 저희 아이는 저학년 때부터 담임선생님들께서
    아이가 똑똑하니 교육에 특별히 신경 좀 써 보라고 권유 많이 하신 케이스예요.
    4학년 때 선생님은 본인 아들도 특목고를 갔는데 저희 아이도 가능성이 보이니 준비시켜보라 하셨었구요.
    그런데 아이 친구들을 보니 그 전에는 눈에 안 띄다가 5,6학년 되어 확 치고 올라오는 아이들도
    있더라구요.

  • 7. 특목강사
    '14.2.10 6:47 PM (220.72.xxx.236) - 삭제된댓글

    특목 화학으로 강사생활 오래한 사람인데요.
    솔직히..정말 까놓고 말하면 특목(영재학교,과학고-외고제외)갈만한 애들은 3~4학년이면 보여요.
    이런 애들은 사실 초등에서는 복습이 별로 필요가 없어요.
    복습 안하더라도 정말 직관으로 이해하는 놈들이거든요.
    복습하면 오히려 반복한다고 집중력도 떨어지고 안좋아요.
    이런 친구들은 초등 졸업하면서 중등수학과학 다 끝내고 중등 들어가면서 고등수학,과학 하게 되구요.
    영재학교나 과학고에서 요구하는 문제의 수준이 선행을 안하면 전혀 풀수가 없는 수준이여서 선행을 안할수는 없어요. 그렇다고 심화를 소흘히 할 수도 없고..
    그러니 공부의 능력치?가 되는 놈들만 데리고 선행과 심화를 반복해서 돌리게 되요.
    그저 공부 좀 잘한다고 보낼 수 있는 학교가 아니에요.
    수학, 과학을 아주아주아주아주 잘해야 갈 수 있거든요.

  • 8. 필수라기 보다
    '14.2.10 6:48 PM (14.52.xxx.59)

    선행을 따라갈 아이들이면 당연히 상위권이겠죠
    상위권 애들끼리 모인 특목고에서 다른 아이들은 선행이 되어있는데
    다른 아이는 난생 처음 보는거면 당연히 못따라가기 쉽겠죠
    물론 선행도 안해도 잘 하는 아이들이 있긴 있지만 그건 아주 극소수구요
    선행이란게 시킨다고 되는게 아니란건 시켜보신 분들은 알아요

  • 9. 특목
    '14.2.10 7:16 PM (115.136.xxx.147)

    그런 선행하는 아이들은 영재학교나 과고 학생들입니다.
    아들이 과고 조졸했는데요.
    과고는 선행 안하면 안되는 구조입니다.
    1학년성적과 2학년 1학기 성적으로 대학을 갑니다.
    일반고처럼 3년을 배우는게 아니라 1년 6개월 배우고 대학원서 쓰거든요.
    입학하면 선생님들께서 먼저 말합니다..고등과정 다 떼고온걸로알고 수업한다구요.

  • 10. ㅁㅁ
    '14.2.10 11:10 PM (211.246.xxx.133) - 삭제된댓글

    특목고 아니더라도
    수학선행은 필수인듯.
    공부머리 보이는 녀석일수록
    수학선행 필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7978 중등 시험 수행이 40%나 되네요 5 ... 2014/03/07 1,462
357977 일년의 길이는 정확히 365.2422일이라네요.!!! 이문동대림 2014/03/07 1,462
357976 글래머라고 주위에서 그러는데요.. 31 저는소위.... 2014/03/07 6,243
357975 전기압력밥솥 내솥의 코팅이 벗겨진것 그냥 쓰면 안되죠? 4 오일 2014/03/07 10,435
357974 중1 영어단어를 쓰지않고 외우는거 어떻게 고쳐야 할까요? 22 영어단어를 2014/03/07 2,782
357973 반영구아이라인 리터치 꼭 해줘야하나요?? 3 아이라 2014/03/07 28,962
357972 영어단어 좀 부탁드려요~ 2 영어 2014/03/07 322
357971 담임께 교육비지원 추천부탁? 6 초등맘 2014/03/07 1,522
357970 핏플랍~~발 볼 넓은 사람이 신음 별로인가요? 9 ^^ 2014/03/07 2,880
357969 스마트폰 구입 도와주세요 5 기기선택 재.. 2014/03/07 726
357968 이제 -다 갑구 이제 적금좀 들려구 하는데요 1 저금 2014/03/07 613
357967 g2 어디서 10만원으로 행사하나요?일반 대리점은 아니죠? 7 서장금 2014/03/07 1,146
357966 베스트의 같은 여자로서 너무 싫은 행동 글 읽고서... 3 ㅁㅁ 2014/03/07 1,519
357965 문맹녀가 카카오톡 여쭈어요 12 알송 2014/03/07 2,275
357964 실내자전거 은성꺼 구매하신분들 계신가요??? 1 ... 2014/03/07 3,042
357963 전세집엔 못 함부로 박으면 안되나요?? 27 .. 2014/03/07 35,438
357962 연상되는 영어 단어 좀 알려주세요. 2 0000 2014/03/07 382
357961 코스트코 천혜향 맛이 어떤가요? 2 ... 2014/03/07 1,289
357960 요즘 파는 암꽃게로 꽃게무침 하면 어떤가요? 1 꽃게 2014/03/07 800
357959 양키캔들 몸에 안좋나요? 14 ... 2014/03/07 21,543
357958 어린이집 교사 중에 조선족이 있나요? 14 - - 2014/03/07 2,896
357957 소형 재건축아파트 매매해도 괜찮을까요? 7 조언부탁 2014/03/07 2,427
357956 아이스하키 선수들이... 38 hello 2014/03/07 14,792
357955 옆집 피아노 소리에 대한 대처방법 알려주세요 12 소음공해 2014/03/07 2,677
357954 도시가스 호스와밸브 교체 해보신분.. 4 불안.. 2014/03/07 2,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