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해외 직구가 더 싼 이유가 뭐죠?

카레라이스 조회수 : 8,283
작성일 : 2014-02-09 10:04:31
정말 돌직구로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 옷이 중국생산이면 중국 공장 도매가는 얼마...
미국 온라인 샵에서는 얼마... 한국 수입업체는 얼마...
유통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란 말씀 말고 진짜 예를 들어 가격 단계가 궁금합니다.
2배씩이나 차이나니... 도데체 이해가 안갑니다.
그리고 FTA 자유무역이 되면 좋다 나쁘고 말도 많은데
해외직구 이런건 정부에서 권장해야 할 일이 아닌가요?^^
개인도 자유무역하자고요.
IP : 125.185.xxx.7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9 10:12 AM (182.213.xxx.22)

    우리나라 국민들을 호구로 보고 가격을 뻥 튀기니 그런거죠 뭐
    심지어 우리나라 제품도 해외직구가 더 싼 경우도 있으니..

  • 2. 본인이
    '14.2.9 10:28 AM (183.100.xxx.240)

    수입 업자가 됬다고 가정해 보세요.
    원가에 2배는 붙여야 이윤이 남아요.
    직구가 가능하니까 저도 직구를 할수 있는건 하지만
    수입업자가 2배 정도만 붙였다면 상식선에서 한거예요.

  • 3. 본인이
    '14.2.9 10:34 AM (183.100.xxx.240)

    저도 소비자지만 공장 도매가 말하는건 참.
    당장 물건 하나 사면서 국내 공장에 도매가로 달라고 해보세요.
    서로 상생을 생각하자구요.

  • 4. ㅇㅇ
    '14.2.9 10:41 AM (211.209.xxx.23)

    반값 이상 쌀 때도 있는거 보면 수입하면서 업자가 붙이는거 소매상이 붙이는거 어마어마한거죠.

  • 5.
    '14.2.9 10:52 AM (14.39.xxx.23)

    저도 소비자지만 공장 도매가 말하는건 참.
    당장 물건 하나 사면서 국내 공장에 도매가로 달라고 해보세요.
    서로 상생을 생각하자구요.2222222222222

    소비자가 거져 먹겠다는 심보네요..
    본인이 생산해서 판매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우리나라 수입업자가 마진을 많이 보는 이유는 같은 값에 들여와서 그에 따른 부대 비용이 많이 드니깐요

  • 6. ...
    '14.2.9 11:01 AM (118.221.xxx.32)

    거기도 정가로 사면 비싸고요 할인할때 사는거죠

  • 7. 우리나라가
    '14.2.9 11:02 AM (116.39.xxx.87)

    미국보다 부대비용이 많이 드나요?
    임대료, 인건비 한국이 미국보다 비싸요?
    하다못해 세금이 미국보다 확 비싼거에요?
    유류가 비싸서 미국에서 날아오는 비용 전가 하는라 비싼가요?

  • 8. 시장크기, 제품유통주기 등등
    '14.2.9 11:17 AM (116.39.xxx.156)

    시장크기 - 미국과는 비교도 안 되고 일본의 1/3이에요. 시장이 작으면 비싸요.

    제품유행주기 - 우리나라는 제품의 유행주기가 너무 짧아요. 주기가 짧을 수록 비싸요.



    시장크기가 작고 유행주기가 짧아서
    제품 한 개당 단가가 훨씬 비싸져요.

    마진구조때문이기도 하지만
    국내 시장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예요.

    게다가...
    물건 자체를 보는 게 아니고
    브랜드나 유명세나 유행만 보고 사는 사람들 천지니
    뭐하러 고생고생하면서 가격 낮게 받겠어요.


    소비자도 높은 가격에 일조하는 구조죠.

  • 9. 윗분 설명대로라면
    '14.2.9 11:24 AM (116.39.xxx.87)

    전국민이 직구하는게 경제적이네요
    시장이 작아서 소비자가 비싸게 사느니 개별적으로 직구해서 싸게 사는게 소비자에게 무조건 이익이네요

  • 10. 독점수입
    '14.2.9 12:06 PM (1.229.xxx.97)

    고가 브랜드 수입업체들은 독점수입이라 부르는게 값 입니다.
    직구하면 배송비 내고도 반값에 구매할 수 있는게 허다한데
    호갱님에서 직구로 돌아서니 배송대행업체가 수입을 얻게되죠.
    이에 정부에서는 독점수입에서 병행수입으로 바꾼다고..
    정부는 항상 뒷북이죠.
    삼성 LG TV을 해외직구하면 반값이라니
    국민이 호갱이었던거죠

  • 11. ./..
    '14.2.9 12:32 PM (14.39.xxx.23)

    미국보다 부대비용이 많이 드나요?
    임대료, 인건비 한국이 미국보다 비싸요?
    하다못해 세금이 미국보다 확 비싼거에요?
    유류가 비싸서 미국에서 날아오는 비용 전가 하는라 비싼가요?

    우리나라님..

    미국에서(원가..부데 비용 등등..)최종 판매가 에서
    우리나라 수입업자의 판매가가 다시 정해지다 보니 가격이 올라가는거죠..

    미국 최종 판매가=우리나라 판매시 제품원가

  • 12. 품목에 따라
    '14.2.9 1:48 PM (106.245.xxx.131)

    품목에 따라 달라요.
    해외에서 생산 판매하는 제품을 수입하는 경우와 글로벌하게 생산 및 판매되는 경우가 다르고, 품목에 따라 관세 및 유통과정이 다르지요.

    국내에서도 생산 판매되는 자동차나 가전제품을 국내에서 더 비싸게 파는 것은 고객을 호갱으로 보는거지요.

    하지만 해외에서 생산판매되는 제품을 해외가격의 2배정도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은 판매업자도 많이 남기는게 아닙니다.
    예를들어 의류의 경우 관세율이 13%입니다. 하지만 관세청에서는 여기에 다시 부가세를 부과합니다. 그러면 대략 23%가 올라가는거죠. 의류라면 시즌마다 선주문하여 수입한 후에 판매를 할텐데, 시즌이 끝나고 재고가 남으면 그순간 X값이 되는거죠. 재고가 20%만 남아도 전체 원가비용이 다시 20%가 상승하는게 되죠.
    그리고, 결정적으로 국내시장이 작기때문에 마케팅비용이 더들어갑니다. 총비용은 낮겠지만 상품당 비용은 더 증가하는거죠. 그러면 대략 해외판매가의 2배정도가격이 적당해집니다. 물론 백화점에서는 2.5~3배정도로 받는것 같습니다만.

    국내에서도 많이 판매될 수 있는 제품이나, 글로벌하게 생산되는 제품은 여기에서 벗어나죠.

    직구가격을 비교할때 흔히들 관세+부가세 비용이나 A/S, 반품비용 등을 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죠.
    실제 직구해보면 처음에는 엄청 싸게 산 것 같지만, 오래 하다보면 결국은 손해가 될 경우가 많아요.
    직구가 좋은 경우는 확실하게 제품의 스펙을 알기 때문에 반품하지 않을 제품, 그리고, A/S가 문제없는 제품들의 경우입니다. 그리고, 세일정보를 빠삭하게 잘 알고있고, 수입 및 통관 또는 반품등을 잘 처리할 수 있는 능력자+시간있는 경우이죠.
    안 그런 분들은 그냥 국내 아울렛이나 할인매장, 온라인쇼핑 등을 활용하는게 낫습니다.

    국내에서도 동네옷가게보다 동대문시장이 훨씬 싸지만 동네옷가게도 장사가 되죠. 그게 다 그런 수고를 동네옷가게에서 하고 마진을 가져가는 거겠죠.

    글로벌하게 유통/판매되는 자동차나 가전 등은 별개입니다. 국내의 관세정책과 폐쇄적인 시장운영의 결과로 해외상품이 들어오기 어렵고 국내 소비자들이 해외정보에 어두운 틈을 타서 추가 마진을 가져가죠.
    하지만 그래도 언론에서 국내제품 밀어주면 국내 소비자들은 비싸고 좋지 않아도 경쟁적으로 산답니다.

  • 13. 돌직구
    '14.2.9 3:14 PM (119.202.xxx.205)

    단순하게 소비자입장에서 고려해야 할 점.
    1. 사려고 하는 물건이 현지에서 정상가/할인가 차이가 얼마?
    그 물건 우리나라에서 정상가/할인가 얼마?
    2. 현지구입시 추가 세금 ? 배송비? 환율? ... 폴로 아이들 셔츠 할인가격 $19.99 에 막 담았는데,
    나중에 계산해보면 두 배 가까이 되는 경우 적지않음.
    3. 배송오류시 처리할 능력?.... 문제 생겨서 매일 보내고 국내 카드사에 전화하는데 의사소통 잘 안되고
    유럽국가의 경우, 영어 잘 안되는 집도 꽤 있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7290 미국사시는 엄마들 네 살 아이 생일파티 팁 좀 주세요 2 모카라떼 2014/03/05 846
357289 비행기에서 만난 진상 39 123 2014/03/05 19,049
357288 청담어학원 중학생 레벨은 어떻게 되어 있나요? 2 집밥 2014/03/05 4,523
357287 서른둘.. 당뇨병 가르쳐 주세요. 23 .. 2014/03/05 4,878
357286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안가는 남편아 2 남편아 남편.. 2014/03/05 1,186
357285 딸아이가 육류를 전혀 안먹어 걱정입니다 8 504 2014/03/05 1,440
357284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지도부 동수구성하기로 3 ... 2014/03/05 712
357283 조카가 넘 짠해요 50 ........ 2014/03/05 16,896
357282 내 자신이 너무 싫어져요. 2 강물 2014/03/05 993
357281 해지시킨 카드에서 계속 몇십만원씩 결제되고있으면 이게 카드사 문.. 10 카드사잘못없.. 2014/03/05 2,653
357280 아이패드에서 ebs vod 동영상은 못보나요? ebs초등 2014/03/05 765
357279 시어머님께 어찌 대해드려야할지 어렵습니다. 2 이상한며느리.. 2014/03/05 1,446
357278 오늘 반찬은 닭도리탕이에요. 다들 뭐드세요? 3 vna 2014/03/05 913
357277 해마다 반장을 해왔던 아이...오늘은 무슨일 15 여우누이 2014/03/05 4,635
357276 중고프린트기 사도될까요 2 어디서 2014/03/05 702
357275 외국인 두명 통역 안내, 하루 얼마정도 받으면 될까요? 3 의견환영 2014/03/05 1,300
357274 스맛폰이 1 82cook.. 2014/03/05 360
357273 중학생때 엄청 졸려하나요? 4 <&l.. 2014/03/05 956
357272 미술학원에서 저희애한테 심부름을 시켰는데요, 25 그래도 2014/03/05 4,226
357271 얼굴전체에 오돌도돌한 빨간 반점이 생겼어요 3 어흑 2014/03/05 1,697
357270 돌잔치 때문에 시어머니 화나셨다는데 어떡하죠..? 50 . 2014/03/05 15,807
357269 노암 촘스키 교수도 동참한 노란봉투 운동 1 dbrud 2014/03/05 894
357268 중 1 문제집을 사야 할까요? 자습서를 사야 할까요? 4 중학교 2014/03/05 1,263
357267 등갈비 어찌해요 2 김치넣은 2014/03/05 822
357266 홍콩제 명품 이미테이션 사보신분 계세요? 5 아른아른 2014/03/05 2,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