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예전에 82에서 이슈?였던 설거지할때 큰 냄비에 물 끓여서 하는 방법에서요?

멋쟁이호빵 조회수 : 2,521
작성일 : 2014-02-08 12:20:53
저는 식기세척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땐 별 관심이 없었는데 요즘 조금씩 손설거지를 하려고 하다보니 그 방법이 생각이 나서요

검색해보았는데 큰 냄비에 물을 끓여서 거기에 그릇을 담궜다 씻으라고 하시는데 그럼 그릇들을 그 냄비에 넣어서 불리라는거여요? 아님 그냥 한개씩 담궜다 빼서 세제칠하라는 거여요?

그냥 살짝 담궜다만 빼도 기름기가 제거되나요?

요즘 82덕에 점차 진짜 주부로 진화되고 있는 느낌이어요^^



IP : 123.215.xxx.6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 글은 못 봤지만
    '14.2.8 12:44 PM (175.214.xxx.70)

    제가 가끔 쓰는 방법은 냄비 말고 김치 담을때 쓰는 스텐으로 된 볼(?)을 써요. 플라스틱류는 환경호르몬때문에 빼두고요. 수저랑 그릇들 물에 담가 가스에 올려놓고 다른 일들 정리하다보면 펄펄 끓을 정도는 아니라도 아주 뜨거워지면
    면장갑 고무장갑 끼고 설거지 해요.
    귀찮을땐 전기 주전자에 물끓여서 할때도 있어요.

    70넘으신 제 친정 엄마는 일반적인 설거지 마친 깨끗한 그릇들 가끔씩 스텐볼이 수저와 그릇들 몽창 담고 삶아요.

  • 2. ~~
    '14.2.8 1:11 PM (121.88.xxx.131)

    저도 그 글은 못 봤는데요
    일단 기름기있는 그릇은 어디에 담그지 않아요. 그릇 겉면까지 기름기가 번지면 일이 더 많아져서요.
    우선 기름기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나누고
    없는 건 그냥 흐르는 물에 세제 없이 수세미로만 닦아요.
    기름기는 키친타올로 닦고
    이 때 다 없어지지 않는 건
    따뜻한 물 부어 좀 놔둔 후
    물 버리고 키친타올로 닦으면
    기름기 거의 없어져요.
    사실 여기서 흐르는 물로 헹구면 되긴 하는데
    혹시나 해서 세제 약간 뭍혀서 한 번 닦아요.
    세제는 정말 조금, 병아리 눈물만큼만 써요.
    그릇에 거품이 보일락 말락 할 정도로 하면
    기름기는 확실히 없어지고 세제 헹구는 것도 쉬워지죠.
    이 방법의 단점은 키친타올 많이 쓴다는 건데
    하다보면 요령이 생겨서 한 끼에 몇 장이면 되고요
    물과 시간 절약하고
    기름과 세제로 인한 오염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서 그렇게 해요.
    그리고 물 담아서 잠깐 놔둘 때
    옆으로 죽 늘어놓게 되긴 하는데
    그야말로 잠깐이면 되고요
    그릇 겉면 헹구는 시간이 절약되어서
    결국 설거지가 빨리 끝나네요.

  • 3. 세재사용 필수
    '14.2.8 1:36 PM (14.63.xxx.51)

    한국 음식엔 마늘을 비롯해 냄새가 강한 여러 양념이 사용되기 때문에 냄새가 그릇에 오랫동안 뱁니다.
    세재로 닦아내야 냄새가 안나요. 그릇에서 특히 물 마실 때 컵에서 냄새나는 집은 두 번 다시 가기 싫어요.

  • 4.
    '14.2.8 4:28 PM (121.147.xxx.125)

    저도 기름기 없는 건 따끈한 물로 세재없이 그냥 세척해요.

    기름기 있는 것만 신문지나 키친타올로 기름기 제거하고

    폐식용유 비누 사용~~

    냄새 나는 플라스틱용기들은

    도마와함께햇볕 좋은 날 반나절 말리면 냄새 날라가요.


    그리고 밀가루는 사용하지않는게 좋다고 하네요.

    한 동안 기름끼 있는 그릇들 밀가루로 기름끼 묻혀내고 닦았는데

    밀가루 희석시키려면 엄청난 양의 물이 필요하다는 거 알고난 후 사용하지않게 됐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6796 별에서 온 그대 21회 감독판 에필로그랍니다. 4 집 좋군요 2014/03/04 2,475
356795 김연아 교정은 발치 한걸까요?아닐까요? 14 교정 2014/03/04 19,505
356794 수급자 탈락시킬 땐 언제고…잇단 동반자살에 뒷북 조사 外 3 세우실 2014/03/04 1,047
356793 볼륨조절되는 이어폰 질문이요... 댓글절실.... 2014/03/04 270
356792 저는 아무리 잘해줘도 뒤에서 딴말하는 사람하고느 2014/03/04 623
356791 동호회하세요? 3 dma 2014/03/04 1,218
356790 대학생 자녀들 일주일에 집밥 얼마나 먹나요? 8 대학생 2014/03/04 1,697
356789 곱슬머리.. 싸우기를 포기하니까 신세계네요. 6 곱슬머리 2014/03/04 8,499
356788 전북은행 예금 3.1, 적금3.7 13 ㅇㅇ 2014/03/04 3,673
356787 귀가 (바깥쪽) 따끔거리고 아파요 2 귀 통증 2014/03/04 3,857
356786 드라마-사랑해서 남주나 ,궁금한 점이 있어요. 5 감자탕집 2014/03/04 885
356785 김연아 경기 시디를 구입할곳 좀 알려 주세요 2 피겨 2014/03/04 700
356784 한국만 얼굴에 점이나 잡티 같은거 신경 많이 쓰나요? 10 잡티 2014/03/04 3,245
356783 특별한 시간 갱스브르 2014/03/04 230
356782 위암초기증상은 어떤가요? 9 2014/03/04 4,934
356781 봄 처녀~연아 좀 보고 가세요^^ 21 ,,, 2014/03/04 3,617
356780 확장형24평이면 12자 장롱이 들어가나요? 6 궁금 2014/03/04 4,310
356779 이혼 플래너, 사립탐정, 디지털 장의사는 직업이 문제가 아니라 2 ... 2014/03/04 1,252
356778 나쁜 술버릇 남편 어쩜 좋을까요? 2 나쁜 술버릇.. 2014/03/04 1,338
356777 잘키운 딸하나 질문요.. 4 ,. 2014/03/04 1,164
356776 딸 아이가 유치원에서 상처받은 것 같아요 18 투딸 2014/03/04 2,913
356775 고등학교 1학년 자퇴 8 2014/03/04 2,982
356774 kbs에서 했던 프론데 기억이 안나서 ㅜ 1 회화나무 2014/03/04 342
356773 20년 뒤에, 내 딸이 자기 아이 키워달라고 하면... 45 ghhh 2014/03/04 3,686
356772 말랐다는 말도 기분 안 좋아요 3 ㅠㅠ 2014/03/04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