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금 아파트 단지들은 수십년 지난 후 어떻게 될까요?

... 조회수 : 7,517
작성일 : 2014-01-17 15:50:54

수도권에 온통 15층 이상 아파트 대단지 인데 앞으로 수십년 지나 이들 아파트 들이 다 노후화되면

그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미 충분히 고층이라 재건축 수지도 맞지않을거고 결국 자동차처럼 감가상각되어 수명이 다하면

폐기처분해야 할텐데 재건축은 고사하고 허물기만 하는데도 비용을 내야겠죠.

그렇게 대부분 사람들의 전재산인 아파트가 녹아 없어져 버리면 다 늙어서 다른 집으로 이사갈 경제력도 없을거고.

국가적으로도 전국에 널리 노후 단지를 어떤식으로 처리해야할지 답이 없을것 같네요.

제 개인적으로도 만약 지금 새 아파트를 대출 끼고 분양받는다해도 일하는 동안은 대출금 갚느라 저축도 못할거고

한 40년 지나 아파트 못쓰게 되면 그땐 어디로 가야할지 막막할것 같네요. 

눈물이 펑펑 쏟아질것 같습니다.

 

IP : 211.62.xxx.131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17 3:53 PM (124.49.xxx.19) - 삭제된댓글

    너무 멀리 내다보시네요. 당장 내일이 어찌 될지도 모르는데.. 노후 아파트가 많고 사회적 문제가 된다면
    그때는 또 다른 정책이 나오겟죠.. 괜한걸로 눈물 쏟지 마세요.

  • 2. ..
    '14.1.17 3:58 PM (58.122.xxx.54)

    저도 가끔 그런생각 해요.
    아파트 한동에 사람이 몇명이나 살까..
    20년 후면 반은 비어있지 않을까 하구요.
    일단은...가격하락은 각오하고 아파트에서 살아야 할거 같아요.

  • 3. ....
    '14.1.17 3:59 PM (125.141.xxx.167)

    재건축 못하면 내부 수리나 하면서 계속 사는거죠.
    외국보면 백년 넘은 건물들 고치면서 계속 살잖아요.

  • 4. 지금 급속히 인구감소 중
    '14.1.17 4:11 PM (211.201.xxx.160)

    갈 집은 있겠죠.;;;
    정릉 스카이 아파트 노후된 거 보니 고친다고 고쳐질 수준이 아니던데요?

  • 5. dd
    '14.1.17 4:19 PM (180.68.xxx.99)

    슬럼화.....

  • 6. 그냥
    '14.1.17 4:20 PM (118.222.xxx.177)

    몇 백년 가겠죠, 그리고 우리나라 작년에 처음으로 인구가 5 천만명 돌파 했습니다.
    아직 감소는 아니어요, 왜냐면 수명이 늘어나서 그럽니다.

  • 7.
    '14.1.17 4:22 PM (211.114.xxx.137)

    저도 가끔 그런 의문이 들기는 한데... 항상 결론은 어떻게 되겟지... 에요.

  • 8. 30년된
    '14.1.17 4:23 PM (14.32.xxx.157)

    80년도 초반에 건축된 30년된 아파트 작년에 매입, 올수리해서 살고 있습니다.
    아직 멀쩡하고 상, 하수도나 난방 배관을 교체해야한다면 동단위로 공사하든지 전체 리모델링하든지 해서 살겠죠.
    강남중층 아파트인데 10년내에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할거 같지도 않고 생각보다 수명이 깁니다.
    90년대에 지은 아파트들도 50년은 쓸수록 있을거 같아요.
    인구가 감소해도 도시인구는 아직 멀었네요.
    공기업 지방으로 이전하고 세종시 세우고, 그래도 여전히 서울집값은 비싸기만 하고요.
    외국도 30년 40년 넘은 고층 아파트들 많아요.
    특히 홍콩, 싱가폴 다들 고충건물에서 오랜기간 잘 살고 있어요

  • 9. ㅇㅇ
    '14.1.17 4:24 PM (211.209.xxx.23)

    리모델링 하겠죠.

  • 10. ㅇㅇ
    '14.1.17 4:29 PM (116.39.xxx.32)

    외국도 30년 40년 넘은 고층 아파트들 많아요.
    특히 홍콩, 싱가폴 다들 고충건물에서 오랜기간 잘 살고 있어요 222
    리모델링도 할수있는거구요.

  • 11. ..
    '14.1.17 4:40 PM (175.209.xxx.55)

    외국은 아파트형 주거지는 거의 개인 소유가 아니라
    프로퍼티 부동산 회사들 소유라 리모델링을 할 수 있고
    관리 또한 잘되죠.
    한국하곤 많이 달라요.

  • 12. 전에
    '14.1.17 4:41 PM (211.223.xxx.44)

    잠시 살던 아파트가 지은 지 30년이 넘었고 지금은 40년이 넘었을 거예요.
    그래도 워낙 근처에 시설도 많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이라 그런지 지금도 멀쩡히 잘 살아요.
    제가 살때만 해도 30년 넘었다지만 문제 없이 잘 살았고요.
    오히려 30년전에 지을 때 더 튼튼히 지었다고 하더군요. 시멘트 함유량이 높은지 못질을 해도 못이 잘 안 들어갈 정도였어요. 그런데 집 보러 다닐 때 보니 외곽에 지은 아파트들은 30년도 못 됐는데도 뭔가 슬럼가같은 느낌이 들더라고요. 교통도 너무 외곽이다보니 여전히 거기서 거기고요. 횡하달까.
    그것보고 아파트 노후를 떠나 위치가 더 중요하구나 했습니다.
    외곽은 집도 빨리 안 나가서 그런지 관리도 소홀히 하고 그러다보니 유지할 때 신경도 덜 썼는지 아파트 상태가 심란하더라고요.

  • 13. ㅇㅇ
    '14.1.17 4:53 PM (180.68.xxx.99)

    예전 잠실 저층 아파트 윗님 말대로 못이 드릴로도 안박혔어요 .드릴날이 뭉개질정도..

    튼튼하게 정석으로 지었다면 뭐 50년 백년이 문제일까요
    안에만 고치고 수도관이나 고치고 살아도 되겠지만
    요즘 아파트들 시멘트도 저급이고 다 하청 줘서 여기저기서 빼먹고 공사비 부풀리고 이러는거 유명하잖아요
    아파트 수명은 예전 아파트보다 요즘것들이 짧을겁니다..

  • 14. 오호
    '14.1.17 6:37 PM (211.111.xxx.36)

    스카이 아파트 저거 몇년된거래요? 을씨년스러운 분위기하며 영화 찍는데 써도 될꺼같은데 유지할 가치가 있을듯해요

  • 15. ..
    '14.1.17 9:18 PM (211.213.xxx.5)

    저도 방금 지도로 스카이아파트 봤는데 ..정말 영화 촬영지 해도 되겠어요 물론 입주민 떠난뒤에
    저기도 예전엔 있는사람들이 살았을껀데 참 씁쓸하네요 확실히 아파트는 오래되어도 위치 좋은곳에
    있으면 계속 사는사람들이 많은거 같아요 위치가 참 중요한듯 물론 돈있는사람들은 여기저기 옮기겠지만요

  • 16.  
    '14.1.17 9:46 PM (118.219.xxx.163)

    아파트 100년 못 가요. 회사에서 지은 건 개인 건물이랑 달라서 잘 지었다 해도 부실해요.
    못 안 들어갈 만큼 100년 갈 만큼 튼튼하게 잘 지었으면 층간소음이 있을 리가 없죠.

    우리나라 아파트들 오래 못 가요. 콘크리트 외벽이라, 벽돌로 마감한 개인주택이나
    회칠로 마감하는 그런 개인주택과 비교하면 안 되요.

  • 17.  
    '14.1.17 9:46 PM (118.219.xxx.163)

    제가 아는 사람들 중 정말 돈 많은 부자들은 아파트 안 살더군요.
    정릉, 성북동, 돈암동, 아니면 광주, 벽제 전원주택단지에 살죠.

  • 18. 안녕사랑
    '14.1.18 12:42 AM (211.210.xxx.199)

    리모델링 하죠 저희동네도 리모델링 발대식

  • 19. ooo
    '14.1.22 11:27 AM (27.119.xxx.43)

    지방에 오래전에살았든아파트 그땐 이뿌게꾸미고싶어 못을칠려는데 못이않들어가서 화가났더랬어요..
    겉에서보면 조금낡았지만 단단하게지었다는소문, 입지는 지하철 5분 이고요.... 30년은 되었을거네요..
    팔기가 아까워서 세를놓고있네요.. 저는 경기도로 이사왔고요..
    그 오래된아파트가 단한번도 집값이떨어진적이 없었어요.. 그런데 오르는거는 굉장히 더디게오르더라구요.. 다른아파트는 오를때 팍 오르고 내릴때도 좀내리고하는데.. 이건 표도않나게 쬐금씩올라서 조금 그렇긴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4510 연말정산 인적 공제 여부 조회 가능한가요? 4 새봄 2014/01/19 2,786
344509 못믿을 세상 4 기막혀 2014/01/19 1,720
344508 입 닥쳐, 찢어버린다, X년, 학생 협박하는데 교육청은 구경만 2 교육청 2014/01/19 1,842
344507 pud..이 색깔이 무슨 색인가요? 1 dma 2014/01/19 1,374
344506 겨울철, 없어서는 안될것들, 공유해보아요~ 26 너없인못살아.. 2014/01/19 5,898
344505 재산은 무조건 아들것이라네요. 84 ㅇㅇ 2014/01/18 17,385
344504 갑상선 기능 저하인것 같은데.. 병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1 ddja 2014/01/18 1,210
344503 아파트구입시 취득세 부과가 1 고맙습니다 2014/01/18 1,062
344502 엘시스테인 기미에 효과있나요?? 1 .. 2014/01/18 7,078
344501 프린터 선택 기준 - 레이져? 잉크젯? 9 36세 2014/01/18 3,417
344500 키가 크는 비법 82 퍼옴 2014/01/18 11,019
344499 혹시 발크기 250mm이상이신 분? 2 Eusebi.. 2014/01/18 1,387
344498 다른분껜 죄송한데220.118.xxx.14님 7 ㅇㄷ 2014/01/18 1,396
344497 재봉틀로 원피스의 잔 주름 어떻게 만드나요? 4 재봉틀 2014/01/18 1,729
344496 82쿡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집전화기 사려는데 뭐가 좋을까요? 2 꽃보다생등심.. 2014/01/18 1,427
344495 예전 학습지 선생님 찾기.. 힘들겠죠? 4 ... 2014/01/18 1,338
344494 초등 남아 타잔과 겨울왕국중에 어떤 게 나을까요? 6 하루 2014/01/18 1,264
344493 차앤박 선크림 괜찮나요? 선크림 추천 부탁해요. 1 팜므파탈 2014/01/18 3,349
344492 집안에 개스불 켜놓고 멀리 싸돌아 다니는 여자 4 손전등 2014/01/18 2,058
344491 골다공증 및 다이어트에 “코코아-요구르트” 요법 23 퍼옴 2014/01/18 4,546
344490 숭례문 부실 조사하던 충북대 교수 목매 숨져 42 무슨 압박 .. 2014/01/18 15,165
344489 초코칩쿠키를 이밤에 만들어 봤어요~~ 3 베이킹초보 2014/01/18 942
344488 오늘 슬기 외가가서 우는 신보고 눈물이 와락 쏟아졌네요... 5 세번결혼하는.. 2014/01/18 3,084
344487 친자확인 방법문의 6 궁금한 이 2014/01/18 3,154
344486 검버섯 수술후 사용할 썬크림 추천 부탁드려요~ 1 썬크림 2014/01/18 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