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계 빚 1천조 시대..'한국경제 최대 뇌관'

열정과냉정 조회수 : 1,438
작성일 : 2014-01-07 15:01:54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40107120208088

가계부채의 증가는 소비 여력을 위축시켜 이제 막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려는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경제의 최대 뇌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소득 증가가 따라주지 못하면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한계에 몰린 중산층이 저소득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낳고 있다.
◇가계부채 1천조원…부동산 대책도 가속화 요인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작년 11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1천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5조원이 늘었다.

전월 4조원이 증가한 만큼 두달새 9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앞서 작년 9월말 현재 가계신용은 991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국내 가계부채의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통계로, 예금취급기관과 함께 보험사, 연기금, 대부사업자, 공적금융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과 함께 판매신용까지 포괄해 분기별로 산출된다.

예금취급기관 대출 잔액의 증가분만 더해도 이미 1천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가계부채는 가계가 쓸 돈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 가계부채는 정부의 4·1 부동산대책, 8·28 전월세 대책 등 정부 대책이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작년 6월 말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에 앞서 주택대출이 늘면서 지난 2분기 가계신용 증가액은 16조5천억원에 달했다.

작년 12월에는 4·1부동산 대책의 세제혜택 '막달효과'로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인 2조5천억원 넘게 집행되기도 했다.

◇증가 속도 가팔라…"중산층 줄어들 수도"

가계 부채의 1천조원 돌파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가계부채도 느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이 자체로 문제시할 수는 없다.

문제는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계의 소득 대비 빚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13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한국은행은 작년 6월말 기준으로는 이 수치가 137%로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이 지표는 2003년에는 107%였으나 카드 사태의 여진이 수그러들면서 2004년 103%로 떨어지고서 그 이후에는 주택담보 대출과 가처분 소득 증가의 둔화 등 요인 때문에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상승했다.

한은도 가계부채의 증가속도에 대해서는 위험수위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작년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국감 자료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웃도는 점은 안정적 거시경제 운영의 잠재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비은행 가계대출·자영업자·다중채무자 등 특정 부문은 가계부채에 특별히 취약한 상황이다.

자영업자를 보면 1인당 대출이 지난해 3월 말 평균 1억2천만원으로, 임금근로자 1인당 대출(4천만원)의 3배에 달했으며 이들의 빚 가운데 부실 위험이 있는 '잠재 위험 부채'는 60조7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부채의 6%를 넘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당수가 중산층인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개선되지 않아 연체에 몰리게 되면 중산층 몰락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 1월 중 가계부채 대책 발표…전문가 "쉽지 않을 듯"

정부는 1월 중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마련해 리스크에 대응할 계획이다.

주택금융공사·국민주택기금의 장기모기지 공급을 29조원으로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 구조의 장기·분할상환 방식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제2금융권 대출건전성 규제를 정비하는 등의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가계부채에 대한 관리를 세게 하면 내수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다소 의견이 엇갈린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이제는 가계부채를 최소한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며 "단기적으로 내수 진작의 필요성이 있더라도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가 늘면 소비를 제약하기 마련"이라며 과감한 성장 정책 등을 통해 가계 스스로 빚을 갚을 수 있는 자생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협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대책은 어차피 중장기적인 접근이 될 수밖에 없다"며 "해결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가계부채의 증가는 소비 여력을 위축시켜 이제 막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려는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경제의 최대 뇌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소득 증가가 따라주지 못하면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한계에 몰린 중산층이 저소득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낳고 있다.

◇가계부채 1천조원…부동산 대책도 가속화 요인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작년 11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1천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5조원이 늘었다.

전월 4조원이 증가한 만큼 두달새 9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앞서 작년 9월말 현재 가계신용은 991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국내 가계부채의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통계로, 예금취급기관과 함께 보험사, 연기금, 대부사업자, 공적금융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과 함께 판매신용까지 포괄해 분기별로 산출된다.

예금취급기관 대출 잔액의 증가분만 더해도 이미 1천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가계부채는 가계가 쓸 돈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 가계부채는 정부의 4·1 부동산대책, 8·28 전월세 대책 등 정부 대책이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작년 6월 말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에 앞서 주택대출이 늘면서 지난 2분기 가계신용 증가액은 16조5천억원에 달했다.

작년 12월에는 4·1부동산 대책의 세제혜택 '막달효과'로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인 2조5천억원 넘게 집행되기도 했다.

◇증가 속도 가팔라…"중산층 줄어들 수도"

가계 부채의 1천조원 돌파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가계부채도 느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이 자체로 문제시할 수는 없다.

문제는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계의 소득 대비 빚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13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한국은행은 작년 6월말 기준으로는 이 수치가 137%로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이 지표는 2003년에는 107%였으나 카드 사태의 여진이 수그러들면서 2004년 103%로 떨어지고서 그 이후에는 주택담보 대출과 가처분 소득 증가의 둔화 등 요인 때문에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상승했다.

한은도 가계부채의 증가속도에 대해서는 위험수위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작년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국감 자료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웃도는 점은 안정적 거시경제 운영의 잠재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비은행 가계대출·자영업자·다중채무자 등 특정 부문은 가계부채에 특별히 취약한 상황이다.

자영업자를 보면 1인당 대출이 지난해 3월 말 평균 1억2천만원으로, 임금근로자 1인당 대출(4천만원)의 3배에 달했으며 이들의 빚 가운데 부실 위험이 있는 '잠재 위험 부채'는 60조7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부채의 6%를 넘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당수가 중산층인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개선되지 않아 연체에 몰리게 되면 중산층 몰락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 1월 중 가계부채 대책 발표…전문가 "쉽지 않을 듯"

정부는 1월 중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마련해 리스크에 대응할 계획이다.

주택금융공사·국민주택기금의 장기모기지 공급을 29조원으로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 구조의 장기·분할상환 방식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제2금융권 대출건전성 규제를 정비하는 등의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가계부채에 대한 관리를 세게 하면 내수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다소 의견이 엇갈린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이제는 가계부채를 최소한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며 "단기적으로 내수 진작의 필요성이 있더라도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가 늘면 소비를 제약하기 마련"이라며 과감한 성장 정책 등을 통해 가계 스스로 빚을 갚을 수 있는 자생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협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대책은 어차피 중장기적인 접근이 될 수밖에 없다"며 "해결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IP : 222.97.xxx.7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7 3:11 PM (222.97.xxx.74)

    가계빚으로 나라 경제를 떠받치고 있군요.

  • 2. 6년새에
    '14.1.7 3:17 PM (124.50.xxx.131)

    보수정권이 바뀌면서 나라가 주안층이 거덜 나는군요.
    이걸 감추고 박은 4만불운운하고 ...
    그들이 뇌까리는 잃어버린 10년이 그립네요.
    이걸 또 뭘로 감축로 감출까요?? 언젠간 도 꽝 터지겠지만..
    경재 콘트롤타워도 없고 현오석도 뭔가 모르는 눈치던데.. 능력은 더더욱 없고...
    법인카드로 개인용돈으로 쓴 위인이 뭘 할까마는...
    이게 나만 빚없고 살만하다고 괜찮은 문제가 아닌데..기업들 쓰러지고 소비 감소 하고
    일저리 줄어들고 실업늘고...또한번의 위기가 닥칠 예정인가요??
    이지 많은 일자리를 보유했었던 업종인 건설이 무너지고 있어서 실업률은
    엄청 늘어나고 있는데..정확한 통계발표는 안하죠.

  • 3. 지나가다
    '14.1.7 3:21 PM (218.50.xxx.134)

    개인적으로 지금 전세가나 매매가가 고공행진을 할 수 없으리라 보는 이유 중 하나죠.
    가계부채만 1000조 자영업자 대출 500조에... 기업이며 지자체며 다 빚 투성인데...
    거기에 해마다 갚아야할 이자는 늘어나고...
    사람들이 부동산에 돈을 너무 많이 가져다 부어서
    다른 데 쓸 돈이 거의 없어서 지금의 불황이 생긴건데
    거기다가 대고 계속 집 사라 부채질 하고 있으니
    어떻게 보면 정부가 불황을 더 가속화 하고 있죠.
    파티 끝날 시간은 다가오는데 아직도 정신 못차리고 즐겨라 하고 앉아 있으니...
    자기 임기내에만 안 터지면 된다고 방관하고...
    아주 무책임하고 무능한 정부입니다.

  • 4. 변호인
    '14.1.7 3:24 PM (211.171.xxx.129)

    여성 대통령시대 제 2의 IMF가 아니 더 큰 Perfect Storm 이 오고 있죠, 가계빚 남편들이 철야해서 벌어도 왜 1천조를 넘을까요? 누가 그 빚을 갚을수 있나요? 누군가 더 벌어 그 빚을 줄일 생각을 왜 안하는 걸까요?
    오늘도 김진표만 씹고 있으면 가정에 돈이 벌어지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1460 (기사링크)30년 사교육에 얻은 건 '백수'…답없는 '에듀푸어'.. 1 에듀푸어 2014/01/09 1,801
341459 온천은 처음이라서 2 2014/01/09 1,333
341458 집에서 만드는요구르트 순심이 2014/01/09 1,085
341457 위키드 캐스팅 관련 문의 3 ... 2014/01/09 1,093
341456 토니모리 건성용 클오 어떤가요?? .. 2014/01/09 629
341455 양념한 불고기감으로 떡국 끓여도 될까요? 12 궁금이 2014/01/09 2,531
341454 장미란 선수가 영남제분 회장 탄원서명 철회서 제출했다네요. 9 맘고생 했겠.. 2014/01/09 2,660
341453 대학병원과 의원 피부과 다른 점이 뭐에요? 7 피부과 2014/01/09 6,373
341452 부실검정 논란 이어 외압조사 '빈 손'…혼란 키운 교육부 세우실 2014/01/09 772
341451 저 나쁜딸이에요 14 엄마 2014/01/09 3,065
341450 아파트 화장실 환풍기 중요한가요? 3 ^^* 2014/01/09 2,735
341449 이불을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3 궁금 2014/01/09 1,580
341448 컴맹수준인데 컴활1급수업은 무리겠죠?? 4 .. 2014/01/09 2,270
341447 일양약품의 브레인300이란 약 아세요? 2 브레인300.. 2014/01/09 20,685
341446 765kV 송전탑 아래선 전기가 없어도 불이 들어온다 4 mmm 2014/01/09 1,274
341445 술집여자의 안부문자 11 가지가지 2014/01/09 4,521
341444 역사학자 전우용 "변희재와 고기도둑은 정치깡패의 부활 .. 16 무명씨 2014/01/09 2,577
341443 커피 맛있는 커피머신 렌탈업체 소개해 주세요 커피 2014/01/09 927
341442 노트북 새로 샀는데 인터넷뱅킹 이용할려면 새로 은행가서 받아와야.. 5 .... 2014/01/09 1,347
341441 키플링 베이비 가방 이거 어떤가요? kumduc.. 2014/01/09 1,126
341440 명란젓 구입처 좀 부탁드려요. 3 생신선물 2014/01/09 1,874
341439 (이런 질문을 하게 될줄이야)외국인 초대상 메뉴 좀 봐주세요. 28 상차림 2014/01/09 2,361
341438 애견 동물등록제 모두 하셨나요? 9 대부분 2014/01/09 1,804
341437 언니들~ 돼지목살 조금 있는데 뭐해먹을까요? 6 신통방통 2014/01/09 1,551
341436 저는 아직 잊지 못했는데 말이죠... 20 ... 2014/01/09 4,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