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재산을 자식에게만 주고 싶은데요

사망시 조회수 : 4,190
작성일 : 2014-01-06 22:04:45

 

제 명의 재산을 사망시에 애들한테만 주고 싶어요

변호사 사무실 찿아가서 유언장쓰고 공증 받고 하면 되나요?

비용은 얼마나 들지 가기전에 어느 정도 알고 싶어요

 

IP : 112.171.xxx.15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ㄷ
    '14.1.6 10:07 PM (203.152.xxx.219)

    남편에게 나눠주고 싶지 않다는거죠?
    그럴거면 이혼하시는게 훨씬 안전한 방법입니다.
    자녀가 미성년자인경우 자녀에게만 남긴다 해도 친권은 아빠에게 있으므로 남편 마음대로
    처분할수 있으며, 자녀가 성년인 경우에도 남편이 얼마든지 유류분 청구할수도 있습니다.
    아예 법적으로 갈라서는게 가장 확실한 안전장치예요.
    물론 유서상으로 자녀에게만 상속한다고 하고 변호사사무실 가서 공증받으면 법적 효력은 있지만,
    유루분과 친권 문제때문에 법적 배우자가 있는한 원글님뜻대로 하긴 힘들어요.

  • 2. 이혼은 어렵고요
    '14.1.6 10:13 PM (112.171.xxx.151)

    애들은 둘다 초등학생인데
    어디에 신탁했다가 20세되면 주는 방법은 없나요?
    그전엔 아무도 손 못대게하구요
    20세까지 양육비는 제 돈 없어도 전혀 문제되지 않는 환경입니다

  • 3. //
    '14.1.6 10:18 PM (222.97.xxx.74)

    저라면 보험회사에 알아 볼것같아요.
    보험은 사망시 보험금수령자를 지정할 수 있어요.중간에 바꿀수도있고요,

  • 4. 그럴순
    '14.1.6 10:21 PM (219.251.xxx.5)

    없을 겁니다..

  • 5. ㅇㄷ
    '14.1.6 10:38 PM (203.152.xxx.219)

    예전에 최진실이 사망한 후에 조성민이 아이들의 친권자가 되면서 최진실법인가 하는게 만들어졌잖아요.
    최진실이 이혼하면서 친권 양육권 다 받아왔었는데도,
    사망하니 다시 친권이 아이 아빠에게 부활하는 요상한 상황이 됐었죠.
    그래서 최진실의 엄청난 유산이 아이들에게 상속되면서 그 관리는 친권자인 조성민한테 갔었고요.
    최진실측 친정에서 소송을 통해 최진실의 재산을 신탁하게 했었죠..
    이걸 계기로 생긴 법이 최진실법인데..
    이혼한 부부중 친권자로 지정된 일방이 사망한 경우 생존하는 부 또는 모에게 당연히 부활되던 친권이 이제는 가정법원의 판단을 거쳐야 하게 되어있습니다.

    원글님 경우는 아이들 20세 이전에 사망해서는 절대 안되고, 남편과 이혼후 아이들 20세 이후에 사망하면
    원글님 원하시는대로 될겁니다.

  • 6. 진홍주
    '14.1.6 10:42 PM (218.148.xxx.240)

    거의 없을듯 ...미성년자면 친권이 아버지한테 가요...보험금 수령이
    자식으로 되있어도 친권자 권한으로 아버지가 맘대로 해요

    거기다 상속법 바뀐다는 기사를 며칠전 봤거든요
    배우자한테 더욱 유리하게...일단 50%를 먼저 받고...나머지 50%는
    자식들하고 나눠 가진다고...그럼 배우자 유류분도 더 증가하겠죠

    방법은 성년이 될때까지 악착같이 살아남아서 자식들한테 넘겨주면
    가능할듯 싶네요...그리고 좀 더 자세히 상속법에 대해 알아볼려면
    여기보다는 법률구조공단에 물어보세요

  • 7. 최선은
    '14.1.6 11:30 PM (61.73.xxx.129)

    아이들이 성년이 될 때까지 원글님이 살아있는 것입니다.

    몸관리 잘하시고 조심조심 하면서 사세요.

  • 8.
    '14.1.7 12:50 AM (61.43.xxx.232)

    혹시 작년에도 비슷한 내용 글 올리신 분 아니신지요..
    제발 나쁜 생각 하지 마시고 어린 애들 생각해서 사셔야합니다
    님 글 읽고 가슴이 쿵 내려 앉았어요..

  • 9. ///
    '14.1.7 2:01 AM (14.138.xxx.228)

    미성년자면 법적으로 절대로 아이들에게만 상속이 될 수가 없어요.
    아무리 아이들 앞으로 상속 되어도 그 재산을 관리하는 사람은 친권자가 됩니다.
    말이 관리지 그 유산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어요
    님 재산이 공증이나 유언장에 의해 100% 자식에게만 물려줄 수 있는 방법은
    자식들이 성년이 된 뒤에나 가능합니다.

    아버지가 친권포기하면 또 다른친권자가 그 돈을 관리하게 됩니다.
    큰아버지, 삼촌, 고모, 이모, 외삼촌, 조부모, 외조부모 중에서 친권자가 정해지겠죠.
    그 돈을 아이들에게 줄지 자라기전에 다 써버릴지 그들 마음이죠.
    이런 문제로 부모 유산을 친척들이 다 차지하고 친척집에서 온갖 구박 다 받고
    고생한 아이들 문제를 다룬 다큐나 고발 프로 많이 방송했는데
    아직 달라진 것은 없어요

    너희들 키우고 너희들 부모가 생전에 진 빚 갚느라고
    그 돈 다썼다고 우기니 재판해도 못 받아내었어요

  • 10. 돈은 돈대로
    '14.1.7 2:22 AM (58.143.xxx.49)

    조카는 성폭행까지 당하고 살아온 경우도
    있었죠. 무조건 울타리가 필수죠.

  • 11. ..
    '14.1.7 9:57 AM (112.186.xxx.113)

    아이들이 성년이 될 때까지 원글님이 살아있는 것입니다.몸관리 잘하시고 조심조심 하면서 사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0794 후쿠시마 지역 자활 운운하는 거 말도 안 됩니다. 7 ... 2014/01/06 1,788
340793 초3학년 남자아이 감성을 키울수있는 추천도서 부탁드립니다 2 초3남아엄마.. 2014/01/06 1,286
340792 누가 집정리를 해준다면.....;; 13 어휴정말 2014/01/06 4,898
340791 성인수두에 걸려 한달입원후 꼼보피부 어째요ㅠㅠ 2 오마이갓 2014/01/06 3,088
340790 일리 캡슙머신 가장 싸게 구입하는 방법 2 ..... 2014/01/06 2,052
340789 약의 원료가 일본산이네요...ㅠㅠ 2 연고 2014/01/06 2,047
340788 월터의상상은현실이된다 봤어요 14 하늘 2014/01/06 3,638
340787 친구가 애낳고서 피부가 완전 좋아졌어요. 다들 어땠나요? 11 진짜신기 2014/01/06 2,676
340786 투움바파스타 유래 3 궁금 2014/01/06 16,614
340785 이거 수상한 전화 맞죠? 1 이거 2014/01/06 1,364
340784 안철수 차기대선지지도 그리고 안신당 지지율(리얼미터) 5 탱자 2014/01/06 1,743
340783 보험사는 제 병력을 어떤 식으로 알아보나요? 7 궁금해요 2014/01/06 2,198
340782 이사갈지역좀추천해주세요. 아파트고민 2014/01/06 1,119
340781 지니어스 보시는 82님들 없나요? 7 지니어스 2014/01/06 1,717
340780 필기 글씨를 못 씁니다. 어떻해야 하나요? ㅠㅠ 5 777 2014/01/06 2,081
340779 천주교수원교구 "이명박 구속하고, 박근혜정권 회개하라&.. 20 이명박특검 2014/01/06 2,070
340778 루이비통 스트랩 구입 할까 아님 팔까요? 8 고민 2014/01/06 2,958
340777 오랜만에 화장품쇼핑! SK2 리미티드 제품구매~ㅎㅎ 6 초록입술 2014/01/06 1,819
340776 압류 4 집주인 2014/01/06 1,582
340775 은핸에 50일 정도 돈을 둔다면...? 7 궁금 2014/01/06 1,705
340774 월급 작은곳으로 옮기면 일하기 쉬울까요? 7 이직할때 연.. 2014/01/06 2,491
340773 대박이라는 말이 박근혜를 뜻한다는 것을 아는가! 손전등 2014/01/06 1,360
340772 시판 순두부찌개 양념팩 활용법~ 공유해 보아요. 5 나눠 보아요.. 2014/01/06 4,474
340771 14년만에 이사를 하다보니... 3 ... 2014/01/06 2,702
340770 고모라고 쓰고 쓰레기라고 읽겠습니다. 32 .. 2014/01/06 15,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