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 공짜돈의 위력

하루정도만 조회수 : 1,966
작성일 : 2014-01-04 17:23:46

<펌>공짜 돈의 위력


470만원씩 받은 英 노숙자들 낭비 안하고 필요한 데만 써

1년 뒤 13명 중 11명 정착…“다른 복지 접근방법 제시”


 입력 2014.01.02 02:27



2009년 5월 영국 런던에서 13명의 노숙자를 대상으로 작은 실험이 시작됐다. 길게는 40년 넘게 길거리를 집 삼아 살아온 이들에게 한 자선단체가 공짜 식권이나 생필품 대신 돈을 나눠 주기로 한 것이다. 이들은 각각 4500달러(약 470만원)를 현금으로 받았다. 이 돈에는 어떤 조건도 붙지 않았고, 노숙자들은 자기가 쓰고 싶은 곳에 마음껏 쓸 수 있었다.

이런 경우 노숙자들이 돈을 흥청망청 쓰고 또다시 손을 벌릴 것이라는 선입견이 지배적일 것이다. 그런데 결과는 전혀 예상 밖이었다. 13명 중 술이나 마약, 노름에 돈을 허비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노숙자들의 구매욕은 소박했다. 그들은 전화기나 여권, 사전 등을 구입했다. 어디에 돈을 쓰는 게 자신한테 최상인지를 알고 있었다.

1년 뒤 조사해 보니 13명 중 11명이 더이상 거리를 배회하지 않았다. 대부분 장기 숙박업소(호스텔)나 노숙자 쉼터에서 살고 있었다. 다들 뭔가를 배우려고 학원에 등록하거나 요리를 배우고 있었다. 마약중독 치료를 받기 시작한 사람도 있었다.

네덜란드 언론인 루트거 브레흐만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에 기고한 '공짜 돈의 위력'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이 사례를 소개하며 가난한 사람에게 돈을 나눠 주면 무책임하게 허비할 것이라는 추측을 반박했다. 이런 근거 없는 편견 때문에 빈자(貧者)에게 돈 대신 온갖 다른 것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짜내고 관리하느라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실제로 노숙자들을 관리하려면 의료비, 법률 서비스, 치안 유지비 등으로 1인당 연간 수천 달러가 들어가는 데 반해 이들 13명에게는 조사 직원 임금까지 포함해 총 8만 2000달러밖에 들어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노숙자 실험에 관여했던 한 조사 요원은 "솔직히 실험 결과를 별로 기대하지 않았는데 뜻밖이었다"면서 "이 실험은 우리에게 복지 문제에 다르게 접근하는 법을 가르쳐 줬다"고 말했다.

브레흐만에 따르면 가난한 가정에 공짜 돈을 나눠 줬더니 범죄율, 영아 사망률, 10대 임신율, 무단결석률 등이 하락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속속 나오고 있다. 글로벌개발센터(CGD) 소속 경제학자 찰스 케니는 지난해 6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가난한 사람이 가난하게 사는 가장 큰 이유는 돈이 없기 때문"이라며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돈을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

사람을 믿는다는것이 어떤것인지

IP : 123.109.xxx.207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3237 드라마에서 한혜진은 김지수가 살아온 세월을 모르겠죠 6 벌받았으면 2014/01/15 3,562
    343236 40대~60대 여자가 볼만한 영화추천해 주세요. 5 토토로 2014/01/15 3,959
    343235 연말정산(교육비와 보험관련) 문의 드려요 3 휴지좋아요 2014/01/15 1,053
    343234 서울, 일산에서 조미료 안 쓰는 집 소개해 주세요 3 문의 2014/01/15 1,307
    343233 집 담보대출 아는법 2 아파트 2014/01/15 1,119
    343232 남편도 용서가 안되고 아이도 밉고 괴롭네요 9 2014/01/15 3,808
    343231 베일리스 아이리쉬 크림 아세요? 4 ^^ 2014/01/15 1,873
    343230 원숭이띠들이 인간관계 깊게 얽히는 거 싫어한다는데.... 24 원숭이 2014/01/15 5,035
    343229 흑화고 백화고중 어떤게 더좋아요??? 3 ^^ 2014/01/15 1,207
    343228 진상고객될까봐 미리 여쭤봐요 13 고갱 2014/01/15 3,333
    343227 가스통 할매 할배 뜻이 뭐예요? 3 몰라요 2014/01/15 6,625
    343226 장례치른후 답례인사는 어떻게 하나요? 6 스텔라 2014/01/15 36,444
    343225 휘슬러프로피 or 일반통5중 선택 도와주세요 도움 2014/01/15 1,251
    343224 ”盧 前대통령 정신나간 인물” 게이츠 회고록 논란 7 세우실 2014/01/15 2,235
    343223 냉장고 추천해주세요!!! 3 냉장고 사야.. 2014/01/15 1,397
    343222 박끄네는 어찌 그리 촌스럽고 회귀적인 스타일을 고수하는 14 비교해보면 2014/01/15 2,662
    343221 40대이신분들~ 3 bnm 2014/01/15 1,484
    343220 김진표는 아빠어디가..를 포기하지 않는군요. 6 결국 2014/01/15 3,550
    343219 다년간 해온 각종 운동 효과 비교 분석! 18 운동 2014/01/15 6,596
    343218 꽃무늬패딩 2 ? ? ? 2014/01/15 1,988
    343217 금주 금연해도 몸이 확 좋아지진 않나봐요. 1 남편 2014/01/15 1,929
    343216 용돈으로 1억모은 남편 그후.. 17 용돈잘쓰기 2014/01/15 13,846
    343215 3월 3일 부터 의사분들 파업 하시겠군요.. 잘될 수 있으려나요.. 루나틱 2014/01/15 768
    343214 훌륭한 학부모들에게서 상처를 받습니다 22 태풍 2014/01/15 4,657
    343213 시급직인데요..연말정산하는게 나을까요? 6 아로마 2014/01/15 1,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