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주 오랫동안 계속되는 우울증도 있나요?

만성적 조회수 : 3,154
작성일 : 2013-12-25 21:53:33
마흔 먹은 아줌마인데요, 평소에도 별로 기운이 없고 잘 처지는 편입니다. 아침에 일어나기도 힘들고 잠도 아주 많이 자고요.
생각해 보니, 이런 증상이 중고등학교 때부터 시작됐던 것 같아요. 부모님 사이가 아주 안 좋았고 아버지가 늘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어요. 어머니가 차린 밥상을 내동댕이치기 일쑤였고 뭔가 기분이 조금이라도 안 좋으면 가족들에게 그 분풀이를 다 했어요. 어느 날은 뭐가 또 기분이 나빴는지, 갑자기 제 문제집을 가지고 오라고 하더군요. 안 푼 페이지가 많으니 화를 내시면서 석유를 가지고 와서 책들을 다 불지르겠다고 협박한 적도 있어요.
그것 때문인지 모르지만, 하여간 그즈음부터 뭔가 안 좋은 일만 생기면 잠을 자기 시작했어요. 잠을 잘 때만은 잊을 수 있으니까요. 오래 잔 건, 한 삼일 정도. 자다가 밥 먹을 때만 일어나서 법 먹고 또 자고 했었지요. 

그렇다고 제가 제 할 일을 모두 포기해 버리는 건 아니었어요. 머리도 좋은 편이고, 또 벼락치기를 잘해서 명문대에 들어갔고 결혼해서 애도 낳고 잘 살고 있어요. 하지만 무슨 일이 생기면 미리 걱정하고 미룰 수 있을 때까지 최대한 미루고, 항상 부정적인 생각만 합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간신히 아침을 준비합니다. 하지만 늘 몸이 너무 힘들고 뭔가 저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것 같아요. 머리도 개운치 않고 안개가 끼어 있는 것 같고요.

최근 올라오는 글들 보니, 저랑 비슷한 증상을 쓴 글들이 있더군요. 우울증 증상일 수 있다는 댓글을 보고 궁금해서요. 제 증상도 비슷한데, 저의 경우는 그런 증상이 아주 오래되었을 뿐더러 일상 생활에는 그리 큰 지장을 가져오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런 경우도 우울증일 수 있을까요? 참, 밥도 잘 안 먹는 편이에요. 평소에 별로 먹고 싶다는 욕구가 없어서... 하지만 갑자기 빵이나 과자 같이 단것들은 막 먹는 편이고요. 무엇보다 별로 어떻게 되고 싶다는 꿈도 없고, 바로 죽어도 아무 상관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만약 우울증이라면, 그래서 치료가 된다면 치료를 받고 싶습니다.
IP : 124.51.xxx.155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25 9:57 PM (121.184.xxx.219)

    만성 우울증 아닌가요. 병원에 가보시고요
    절운동도 괜찮을 거 같아요.

  • 2. ..
    '13.12.25 10:03 PM (219.241.xxx.209)

    이 글을 한번 읽어보세요.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2&cn=&num=104768&page=1&searchType=s...

  • 3. 메이
    '13.12.25 10:11 PM (61.85.xxx.176)

    우울증보다 할 일을 몰입해서 몰아서 하는 스타일이니 몸은.. 늘 비상시를 대비해서 오랜시간의 잠으로 체력을 비축해 놓는 것이겠죠. 또 갑작스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려면 단 것만큼 좋은게 없잖아요. 불편함을 느껴서 바꿔보고 싶다면 할 일을 몰아서 하지 마시고 규칙적으로 조금씩 꾸준히 나눠서 하도록 습관을 길들여보세요.

  • 4. 도우미
    '13.12.25 10:15 PM (123.215.xxx.82)

    님께 도우미가 되고 싶은 마음에 로긴했어요. 우울증을 알아본 적이 있어서요....
    우울증은 결국 본인이 강한 마음으로 치료해야 해요. 하지만, 도움을 줄 아는 사람이 있다면 정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엔 약물 소용없었구요. 약 먹었다는 사실 또한 심리적인 지지대가 될 수 도 있겠지만 정작 치료엔 아무 도움 안 되었어요.

    결국 나의 생각의 틀을 자꾸 바꿀 기회를 갖는 거에요.
    나의 생각을 기쁘게 전환시키는 사고 구조, 인식의 틀을 바꾸는 거죠.
    인생은 결국 과거도 미래도 아닌 오늘 하루가 중요한 거죠. 정말 화살처럼 지나가는 인생에, 오늘 하루 기쁜 마음으로 살지 않으면 억울해요.
    기뻐하는 것은 기쁜 일이 있어서 기뻐하는 것과 별개에요. 기쁘지 않은 일 투성이 속의 인생 속에서도 기뻐 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답니다.
    기뻐하기를 선택하기!
    또 하나는 중요한 할 일을 절대 미루지 말기! 이게 중요한 우울증 치료 포인트에요. 미루는 것이 우울증을 악화시킨답니다. 이것을 상담심리학 용어로 '지연'이라고 해요.
    그 다음 중요한 것은 걷기입니다. 햇볕 속에서 걷는 것.... 이것은 우리 몸에 세로토닌을 줘요. 부작용 절대없고 우리를 튼튼하고 건강하게 하는 우울증약이 햇볕 속에 걷기 입니다. 팔도 흔들고. 약간의 땀 날 정도로 보폭도 크게....

    님에게 주어진 오늘 하루는 기적이고 축복이며 감사입니다
    사랑하고 축복해요.

    제 경우는 살아계신 하나님을 더욱 가까이 만난 것이 우울증 치료의 가장 강력한 치료제였어요.
    정말 치유의 하나님이더라구요. 매번의 예배가 제게는 눈물의 도가니였고 그 시간을 통해 치유와 회복이 놀랍게 일어났습니다.

  • 5. 단풍
    '13.12.25 10:35 PM (203.210.xxx.208)

    님. 증상. 전부가. 우울증에. 전형적인. 증상이에요. 약물치료든 상담이든. 빨리 시작. 하세요.

  • 6. 원글
    '13.12.25 10:39 PM (124.51.xxx.155)

    짧은 시간에 답변들 감사합니다. 일단, 내일이라도 병원에 한 번 가 봐야겠어요. 그리고 여러분들이 알려주신 다른 좋은 방법들도 실천해 보겠습니다.

  • 7. ㅇㅇ
    '13.12.25 11:03 PM (211.186.xxx.7)

    도우미님 얘기 공감요
    1할일 미루지않기
    2걷기
    꼭 실천하세요!!

  • 8.
    '13.12.25 11:17 PM (58.148.xxx.103)

    우울증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 9. 원글
    '13.12.25 11:27 PM (124.51.xxx.155)

    네, 걷기도 당장 해 보려고 해요. 하루에 한 시간 정도 걸으면 도움이 될까요? 그리고 도우미님, 일부러 로그인까지 해 주시고, 감사합니다. 저도 신앙이 있긴 해요. 대학 들어오면서 믿었으니 꽤 되었어요. 그런데 교회 예배 시간에 가면 졸음이 밀려 오고, 큐티도 하려고 마음 먹는데 잘 안 돼요. 조금 하다가 큐티 역시 미루고, 그만두고... 한답니다. 영적으로 제게 문제가 있는 것 같아요. ㅠ.ㅠ

  • 10. 도우미님 글에 덧붙여서
    '13.12.25 11:44 PM (124.52.xxx.195)

    도우미님 글이 많이 도움 될 것 같아요.

    도우미님 적으신 거 해보시면 어떨까요?


    덧붙여

    감사노트를 적어보시면 어떨까요?

    매일 사소한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사실은 무지 감사한 거잖아요....

    감사한 일도 적으시고 ...자신을 칭찬도 해주시고...

    처음에는 어색하시지만 하시다보면 정말 마음이 바뀌는 것 같더라구요.

    맛있는 밥 먹는 것, 커피 한 잔 마실 수 있는 것, 무사히 하루 일 마치고 집에 돌아온 것, 누구랑 싸우지 않은

    것, 등등 감사하다보면 감사할 일의 숫자도 늘어나고

    감사할 일이 많아지고...생각도 긍정적으로 바뀌고

    긍정적인 에너지로 전한되는 것 같아요.

    우리가 하루에 선택할 수 있는 무수한 감정이 있는데

    인간은 유전자적으로 부정적이고 불안한 감정 선택에 익숙하답니다.

    좋은 감정, 긍정적인 감정을 의지적으로 선택하는 습관도 훈련이 필요하대요.


    원글님...힘내세요. ^^

  • 11. 햇살
    '13.12.26 1:31 AM (218.153.xxx.40)

    저도 갱년기우울증이 생겨서 이글보니 많이 도움되네요 걷기,미루지않기,감사하기 좋은말씀이세요 실천해야겠어요 정말감사드려요

  • 12. 정신의 감기
    '13.12.26 9:34 AM (118.42.xxx.60)

    1.할일 미루지 않기 2.걷기 ..도움되는 글 감사합니다~

  • 13. 눈물의힘
    '13.12.26 10:09 AM (122.32.xxx.131)

    이라는 강선영씨가 쓴 책을
    인터넷에서 주문해 읽어보세요

    어린아이들은 감정에 솔직해서
    슬프거나 놀라거나 화나거나 하면 엉엉
    울고 금방 돌아서서 또 웃잖아요

    우리가 놀라거나 화나거나
    상처받으면 뇌에서 독소호르몬이 나오는데
    눈물을 흘리고 엉엉 울면 눈물속에
    그 독소가 같이 나와 몸과 마음이 정화된다네요

    근데 우리는 어느순간부터 울지않아요
    감정을 누르고 참죠
    몸안에 그렇게 눈물이 쌓여가요
    그러면서 몸안에 독소도 그대로 쌓여져요
    이것이 혈액순환을 방해해요
    이게 님 몸을 무겁고 무기력하게 만들어요

    심리치유는 어린시절부터 더듬어서
    울어야했는데 울지 못했던 시기를
    다 찾아내서 그 기억속으로
    들어가 그때의 대상들에게 하고 싶은말 다하게하고
    억눌렸던감정을 다 풀게해요
    그리고 그때의 모든상황 사람들과 화해하고 용서하게해요
    내면치유하다보면 내안에 얼마나 많은 상처가 있는지
    그걸 안고 이렇게 살아온게 얼마나 놀라운일인지 알게되요

    이 과정이 힘들어요
    기억을 찾아내는것도 힘들고
    감정을 풀어내는것도 힘들어요
    하지만 좋은 전문가를 만나
    제대로 하고나면 건강과 행복을 얻게되요
    예전삶과는 다르게 살게되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7038 은행직원 친절함에 빵 터졌어요 8 ... 2014/01/27 3,729
347037 비비크림은 어떤게 좋을까요? 1 회색하늘 2014/01/27 952
347036 제주 중문의 식당 문의드려요. 5 운전자 없는.. 2014/01/27 2,245
347035 롱샴 가방 이상하게 싸게 파는 쇼핑몰이 있어요. 7 롱샴 가방... 2014/01/27 3,889
347034 현관문옆 짜장면 그릇이 없어졌어요. 2 황당 2014/01/27 1,746
347033 CGV, 영화 '변호인' LA 상영 취소 ”이미 불법 유출된 영.. 1 세우실 2014/01/27 1,224
347032 보관이 쉬운 라텍스매트 추천 부탁드려요.. 질문 2014/01/27 981
347031 '응사' 김성균 "도희와 키스신, 혀쓰면 죽인다고&qu.. 1 재밌네 2014/01/27 3,207
347030 [원전]고이데 "도쿄 일부 피폭…일본 여행 자제를&qu.. 참맛 2014/01/27 1,810
347029 저렴하지만 좋은 스텐냄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3중? 5중.. 2014/01/27 7,630
347028 왕가네 대본 보고 게거품 물었음 ㅠㅠ 31 이로 2014/01/27 11,308
347027 골목길주차된 제차가 긁혔을때 저도 보험접수해야해요? 1 땅지맘 2014/01/27 2,283
347026 집착 갱스브르 2014/01/27 764
347025 장애인증명서 5 .. 2014/01/27 1,341
347024 건강을 위해 실내에서 운동화를 신으세요. 11 현수기 2014/01/27 4,487
347023 명절에 푹.. 빠져서 읽을 책들 좀 추천해주세요. 1 2014/01/27 941
347022 무선 공유기에 대해서 여쭤 봅니다. 2 .. 2014/01/27 1,148
347021 11번가 얘네 웃기네요 6 기도안차 2014/01/27 2,212
347020 잊히지 않는다.. 이런 표현 원래 있었나요? 4 국어 2014/01/27 3,053
347019 영화 올란도를 봤는데, 뭐를 말하고 싶어하는지 모르겠어요.. 8 어제 2014/01/27 2,130
347018 시모 용돈에 대한 답글들 보고 놀랬네요 49 믿을 건 나.. 2014/01/27 9,244
347017 시댁에 가져갈 요리 뭐가 좋을까요? 6 2014/01/27 1,621
347016 위안부 피해 황금자 할머니 별세..생존자 55명 1 세우실 2014/01/27 1,157
347015 전지현도 얼굴살이 하나도 없네요 13 전지현 2014/01/27 7,432
347014 대학병원에서 진료기록을 떼면 담당의사가 알게되나요? 4 ㅜㅜ 2014/01/27 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