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본과 중국은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나요?

루비 조회수 : 4,057
작성일 : 2013-12-24 22:31:00
가끔 영화보면 손잡이가 짧은 숟가락을 간혹 봤는데‥
주로 그릇을 들고 마시는걸 많이봤습니다‥
일본여행때 한국처럼 숟가락 사용한기억 있어요‥

우리나라는 국을 손에 들고 마시지는 않고
주로 숟가락 사용하잖아요

한·중·일 식습관에 대해서 아시는분‥
82는 해박하신분들 많아서 여쭙니다‥
우리나라는 ·중·일과 좀 다른데‥
젓가락 길이도 다르고· 재질도 다르고 ·
왜? 그런 걸까요?
IP : 112.152.xxx.82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안나파체스
    '13.12.24 10:48 PM (49.143.xxx.24)

    숟가락이 없어서 일본은 밥 흘릴까봐 그릇들을 들고 먹는 거죠.
    중국은 튀김류의 음식이 많아서 긴 젓가락을 사용해서 먹고 숟가락은 국물 음식에 국물 맛보는 정도만 쓴다네요. 숟가락은 영리한 우리 조상의 발명품이라고 예전에 다큐에서 본 적이 있어요.

  • 2. 루비
    '13.12.24 10:54 PM (112.152.xxx.82)

    그렇군요‥감사드림니다 ~
    우리나라에 철이 많아서 철로 숟가락·젓가락 만든거겠죠? 숟가락·젓가락 함께 사용하는건 우리나라만의 문화인가요?

  • 3. 빵~
    '13.12.24 10:56 PM (182.229.xxx.196)

    숟가락 문화는 중국으로부터 넘어왔습니다. 명나라때까지 같이 사용을 했었죠.
    중국은 북방은 면요리, 남방은 쌀요리입니다. 당연 면은 젓가락만 있어도 되죠. 쌀요리는 쌀만으로 부족해서 채소 볶음요리 몇개, 탕으로 구성되어 숟가락을 같이 사용합니다. 오로지 탕용(탕숟가락)이죠. 그리고 중국요리는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요리라 숟가락으로 밥을 퍼먹으면 뜨겁습니다. 그래서 젓가락으로 먹었던 것이죠.
    일본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같이 사용했습니다. 나무가 발달해서 나무젓가락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그라고 오래전 부터 일본은 찰기가 있는 자포니카 계열의 쌀을 사용해서 숟가락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상도 사용하지 않아서 밥그릇을 손에 들고 사용했고요. 우리 나라는 국물음식이 발달해서 숟가락과 젓가락 동시에 발달했습니다. 세 나라가 각 나라 실정에 맞게 음식문화가 바뀌면서 그에 맞게 정착이 된 것입니다. 더 궁금하시면 주영하씨가 지은 음식인문학이라는 책에 보시면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 4. 루비
    '13.12.24 11:02 PM (112.152.xxx.82)

    드림ㅡ드립
    네~감사드립니다 ‥^^
    주영하 음식인문학 꼭보겠습니다 ‥

    우리나라는 밥그릇을 들고 먹지않잖아요 ‥
    그이유도 책에 있겠죠?
    중국·일본 제사음식도 비슷 한지 무척 궁금합니다 ‥
    제례도 중국에서 전파해온 방식인지요? ^^
    책 볼께요~감사드려요

  • 5. 딴소리
    '13.12.24 11:03 PM (117.111.xxx.133)

    중국가서 컵라면을 사고 젓가락달라고 영어로 했다가
    손짓발짓 했다가 아무리해도 없다는거예요.
    자꾸 컵라면만 가르키며 뭐라뭐라 하더니
    포기하고 호텔와서 뜯어보니 컵라면 안에 이쑤시게 수준의 젓가락이 들어있더라구요.
    좀 된 얘기라 달라졌으려나요?
    혹시나 중국가시면 참고하세요.

  • 6.
    '13.12.24 11:05 PM (59.187.xxx.56)

    중국은 수저 같이 씁니다.
    싼 로컬 음식점 가도 포장된 일회용 수저줍니다.
    그냥 쓰고 버리는 것도 많지만, 세척된 수저를 비닐포장해 주기도 하고요.

    단, 쇠숟가락은 본 적이 없습니다.
    스텐 젓가락은 드물게 봤지만요.

  • 7. 주디
    '13.12.24 11:06 PM (118.42.xxx.239)

    방금 찾아보니 7000년전 중국 허모도 유적지에서 뼈로 된 수저가 발견됐다니 우리나라에서 발명된건 아닌듯요.이원복교수의 먼나라 이웃나라 한국편에 수저관련 삼국비교가 나와요.
    읽어보세요~

  • 8. 태양의빛
    '13.12.24 11:10 PM (121.222.xxx.85)

    일본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타코라이스, 규동 등을 먹을 때 스푼을 비치해 두는 음식점들도 있습니다. 젊은 여성들이 한류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스푼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더군요. 그리고 돌솥 비빔밥 (토핑 종류가 한국보다 다양합니다.)은 한국 숫가락이 나오고, 중국식 볶음밥을 먹을 때 스푼 혹은 렌게가 나오기도 합니다. 라면, 나베 종류는 렌게라는 중국 스푼을 사용합니다. 밥 먹을 때 숫가락을 쓰지 않으니 편리하기는 하지만, 멜론이나 푸딩 등 용도에 맞는 스푼이 있어서 그럴 때는 그런 스푼으로 먹습니다.

  • 9. .....
    '13.12.24 11:20 PM (1.251.xxx.92)

    일본에서 카레라이스 먹을때 유일하게 렝게(짧은 국물용 숟가락) 쓴다고 들은것 같아요.

  • 10. 태양의빛
    '13.12.24 11:29 PM (121.222.xxx.85)

    글과 관련 없는 뻘글이지만 태어나서 처음으로 김장김치 2포기 담가보았습니다. 한국식품 사이트에 수입되는 한국 직수입 김치도 있지만, 그것도 제 입맛에는 별로라서요. 겨우 2포기 담그는 것도 힘들더군요. 50포기, 100포기 담그시는 분들 존경합니다. 세상의 모든 어머니들, 음식을 만들어주시는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합니다. 뿌듯하기도 하지만, 김치가 이렇게 귀중 한 지 처음 알았습니다.

  • 11. 이름은 같아도
    '13.12.24 11:48 PM (112.118.xxx.238)

    중국은 숟가락의 용도가 달라요.

    음식에서 입근처로 옮기는 역할.. 즉, 입안까지는 안들어가게 크고 우묵하구요
    우리나라는 입안까지 집어넣는 용도로 쓰느라 작고 납작하게 생겼지요

  • 12. ....
    '13.12.25 8:55 AM (118.44.xxx.196)

    개나 바닥에 놓고 먹는다는 말에 헉!!!

  • 13.
    '13.12.25 9:52 AM (175.213.xxx.61)

    일본은 전골 많이 끓여먹던데 그럼 전골도 건더기만 건져먹는건지 궁금하네요 ㅎㅎ

  • 14. ..
    '13.12.25 11:10 AM (58.141.xxx.212)

    개나 바닥에 놓고 먹는다는 말에 헉!!! 22222

    우리나란 천한 신분이 식사할때 그릇을 들고 먹는다고 하지 않나요?
    tv에서 보면 부엌떼기, 거지는 늘 그릇 들고 먹잖아요.
    일본인처럼 입에다 쓸어 넣으면서 먹는...

  • 15. ..
    '13.12.25 11:10 AM (58.141.xxx.212)

    문화란게 참...어렵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1364 드라마에서 한혜진은 김지수가 살아온 세월을 모르겠죠 6 벌받았으면 2014/01/15 3,398
341363 40대~60대 여자가 볼만한 영화추천해 주세요. 5 토토로 2014/01/15 3,784
341362 연말정산(교육비와 보험관련) 문의 드려요 3 휴지좋아요 2014/01/15 923
341361 서울, 일산에서 조미료 안 쓰는 집 소개해 주세요 3 문의 2014/01/15 1,167
341360 집 담보대출 아는법 2 아파트 2014/01/15 1,002
341359 남편도 용서가 안되고 아이도 밉고 괴롭네요 9 2014/01/15 3,674
341358 베일리스 아이리쉬 크림 아세요? 4 ^^ 2014/01/15 1,746
341357 원숭이띠들이 인간관계 깊게 얽히는 거 싫어한다는데.... 24 원숭이 2014/01/15 4,887
341356 흑화고 백화고중 어떤게 더좋아요??? 3 ^^ 2014/01/15 1,076
341355 진상고객될까봐 미리 여쭤봐요 13 고갱 2014/01/15 3,215
341354 가스통 할매 할배 뜻이 뭐예요? 3 몰라요 2014/01/15 6,284
341353 장례치른후 답례인사는 어떻게 하나요? 6 스텔라 2014/01/15 35,736
341352 휘슬러프로피 or 일반통5중 선택 도와주세요 도움 2014/01/15 1,130
341351 ”盧 前대통령 정신나간 인물” 게이츠 회고록 논란 7 세우실 2014/01/15 2,103
341350 냉장고 추천해주세요!!! 3 냉장고 사야.. 2014/01/15 1,247
341349 박끄네는 어찌 그리 촌스럽고 회귀적인 스타일을 고수하는 14 비교해보면 2014/01/15 2,523
341348 40대이신분들~ 3 bnm 2014/01/15 1,347
341347 김진표는 아빠어디가..를 포기하지 않는군요. 6 결국 2014/01/15 3,404
341346 다년간 해온 각종 운동 효과 비교 분석! 18 운동 2014/01/15 6,406
341345 꽃무늬패딩 2 ? ? ? 2014/01/15 1,832
341344 금주 금연해도 몸이 확 좋아지진 않나봐요. 1 남편 2014/01/15 1,765
341343 용돈으로 1억모은 남편 그후.. 17 용돈잘쓰기 2014/01/15 13,682
341342 3월 3일 부터 의사분들 파업 하시겠군요.. 잘될 수 있으려나요.. 루나틱 2014/01/15 600
341341 훌륭한 학부모들에게서 상처를 받습니다 22 태풍 2014/01/15 4,477
341340 시급직인데요..연말정산하는게 나을까요? 6 아로마 2014/01/15 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