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금, 우리는 철도·의료 민영화를 막지 못한다

기사펌 조회수 : 1,319
작성일 : 2013-12-19 13:16:52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50131219100811

2008년 촛불 집회 때, 책 한 권이 주목을 받았다. 클레이 셔키의 <끌리고 쏠리고 들끓다>(송연석 옮김, 갤리온 펴냄). 셔키는 사이버 세상의 변화가 '리얼 월드'의 변화를 이끌어 내리라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지식인이다. 이 책은 그의 이런 관점을 여러 예를 통해서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그런데 정작 나는 촛불 집회가 한창일 때, 이 책을 읽으며 엉뚱한 곳을 메모해 뒀었다. 유럽에서 가장 민주화가 덜 된 국가 중의 하나인 벨로루시에서 2006년에 있었던 일이다. 독재자 알렉산더 루카센코의 3선이 조작 선거로 확정되자, 1만 명이 넘는 시민이 광장으로 쏟아져 나왔다. 물론 독재자는 수백 명의 시민을 체포하고, 제1야당의 후보를 감금했다.

얼마 후, 한 사람이 광장에서 아이스크림을 먹는 '플래시 몹(flash mob)'을 제안했다. 결과는 참담했다. 경찰은 광장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아이스크림을 먹는 시민을 연행했다. 몇 개월 지난 후, 이번에는 광장에서 '서로 미소를 보이며 걷자'는 제안이 올라왔다. 역시 경찰은 웃으며 시민을 연행했다.

이런 참담한 현실을 거론하면서도 셔키는 여전히 낙관적이다. 경찰이 플래시 몹을 사전에 막을 수 없었던 것, 플래시 몹 사진과 같은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계속 유포될 수 있는 것 등이 바로 이런 낙관의 근거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갑자기 벨로루시의 얘기를 꺼내는 것은 2013년의 대한민국을 돌아보기 위해서다.

며칠 전부터 대학가에서 시작된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가 10대, 20대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으며 사이버 공간에서 적지 않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포털 사이트 '다음'의 게시판에서 진행 중인 '의료 민영화 반대' 서명에는 2013년 12월 19일 현재 8만1679명이 동참했다. 애초 1만 명의 목표치는 일찌감치 달성됐다.

이런 '들끓는' 사이버 여론은 분명히 고무적이다. 하지만 이것으로 충분한가?

혹시 우리는 유명인이 140자로 지껄여놓은 말들을 자신의 한정된 네트워크에 퍼뜨리고, 포털 사이트에서 진행하는 서명 운동에 '클릭'하는 것을 마치 대단한 실천이라도 한 양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지인이 옮겨 놓은 대자보를 보면서 '좋아요', '싫어요' 누르는 일을 사회운동에 동참한 것이라고 자기만족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장담하건대, 백날 사이버 공간에서만 들끓어봤자 의료 민영화는 막을 수 없다. 2008년 촛불 집회 때, 결국 이명박 대통령이 머리를 조아리게 만든 것은 들끓는 사이버 여론이 아니라 광장으로 나선 연인원 100만 명의 촛불이었다. 그나마 그 촛불도 여름을 넘기지 못한 탓에 결과적으로 패했다.

철도 민영화를 막고자 파업을 진행 중인 철도 노동자를 돕는 일은 포털 사이트의 서명 클릭 한 번이 아니라, 리얼 공간에서의 광범위한 연대 활동을 조직하는 일이다. 그런데 이런 리얼 공간의 연대 활동이 하도 뜸하다 보니, 이제는 일반 시민은 물론이고 시민단체도 뭘 해야 하는지 모르는 상황에 처했다. 그리고 지금 철도 노동자의 파업은 패하기 일보직전이다.

자, 세상의 진실은 이렇다.

사이버 공간에서 독재자의 목을 수차례 친들 여전히 벨로루시의 대통령은 독재자 루카센코다. 사이버 공간에서 대통령을 아무리 심하게 조롱한들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여전히 박근혜다. 사이버 공간에서 10만 명, 100만 명이 '끌리고 쏠리고 들끓어'도 그들은 컴퓨터만 끄면 그만이다.

<끌리고 쏠리고 들끓다>의 한국어 판 부제는 '새로운 사회와 대중의 탄생'이다. 새로운 사회는 오지 않았다. 대중도 과거와 다르지 않다. 액정 화면에서 백날 손가락을 놀려봤자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 피와 살이 튀는 현실의 전쟁터를 외면한다면, 세상은 백날 그들이 지배하는 그 모양 그 꼴일 것이다.


/강양구 기자
IP : 122.34.xxx.4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2222222222222
    '13.12.19 1:21 PM (211.186.xxx.178)

    혹시 우리는 유명인이 140자로 지껄여놓은 말들을 자신의 한정된 네트워크에 퍼뜨리고, 포털 사이트에서 진행하는 서명 운동에 '클릭'하는 것을 마치 대단한 실천이라도 한 양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지인이 옮겨 놓은 대자보를 보면서 '좋아요', '싫어요' 누르는 일을 사회운동에 동참한 것이라고 자기만족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2222222222222222222

  • 2. 눈팅코팅
    '13.12.19 1:28 PM (175.116.xxx.241)

    온에서 조직하고 오프에서 행동하자.

  • 3. 마이쭌
    '13.12.19 1:42 PM (223.62.xxx.4)

    맞아요 맞습니다!!!!!!!!!
    이제는 행동할때 입니다 더이상 못 살겠어요....
    오늘을 기점으로 다들 행동하셔야 해요 제발!!!!!!!!!
    무조건 서울광장 갑니다!!!!!!
    지금 아니면 미래는 없을꺼같아요.......

  • 4. 설마...라고
    '13.12.19 1:56 PM (124.50.xxx.131)

    말하는 장년층들이 피부로 깨들을려면 얼마만큼의 시간이 필요 한가요??
    일단 집안에 박그네빠인 구성원들한테 설명을 해야해요.
    경제위기 피해자들은 일부분일수 있으나 민영화는 온국민이 다 당하는 겁니다.
    재벌들만 살판나는거고.. 조 중동 기자들도 일개 월급쟁이일뿐인데 왜 눈치를 보는건지..
    정치쌈도 안고 생존 싸움이에요. 무식한 박그내가 가신들한테 휩싸여 사고치는겁니다.
    빼도 박도 못하는 4대강 보다 몇만배 더 위험한 놀이를 벌이고 있는겁니다.

  • 5. 그렇죠
    '13.12.19 3:47 PM (118.44.xxx.4)

    촛불집회에 모인 사람들이 많아져야 하는 게 우리같은 보통 사람의 일차 과제이겠군요.
    각자의 힘을 믿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다수가 되면 그 양만큼 힘이 된다는 사실.

  • 6. 카페라테
    '13.12.19 5:59 PM (101.119.xxx.13)

    참 피곤하게 삽니다.
    지난 대통령 선거때 잘 찍으면 그걸로 끝일텐데.

    이정희가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나왔다고
    사가지 없다고
    오히려 박근혜 대통령 되라고 찍은 사람도 많았다는데.

    TV토론 보면서 생각 못했나?
    새누리 당 집권 하면 어떤 사태가 올지,
    박근혜 대통령의 지적 수준 다 보이더만

  • 7. 카페라테
    '13.12.19 6:33 PM (101.119.xxx.13)

    선거는 소리 없는 개혁 입니다.
    선거 심사숙고 해서 골라야 합니다.
    국회의원 새누리 과반 입니다.
    이 유권자가 한국을 움직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8695 질문 갈비찜 오래 끓일수록 부드러워지나요? 8 mm 2014/01/07 8,066
338694 밥 몇번 차리세요? 3 방학이다 2014/01/07 1,589
338693 한국에선 女’ 절반 “재취업 의사 없다”… 6 선진국비교,.. 2014/01/07 2,214
338692 원산지 확인되도 생선,해물 전혀 안드시나요? 7 ,,, 2014/01/07 1,118
338691 초등고학년 보드게임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 2014/01/07 2,218
338690 모델하우스에서 신분증 싸인 없이 가계약했는데요 3 아파트 2014/01/07 1,486
338689 세탁기 놓은 베란다에 냄새가 심한 이유 4 2014/01/07 2,277
338688 '가난 탈출' 갈수록 어려워..소득계층 안 바뀐다 3 알고있어 2014/01/07 1,845
338687 하이드로졸, 카네스텐 뭐가 더 안전한가요? 2 .... 2014/01/07 2,107
338686 유성구 관평동지역. 수학과외. 추천부탁드려요 2 기비 2014/01/07 1,219
338685 7시부터 판매 한다더니!!! 6 스타벅스 럭.. 2014/01/07 2,704
338684 대학시절을 회상해볼때 가장 후회스러운 건 무엇인가요? 10 대학 2014/01/07 2,172
338683 박근혜 경제 개발 계획이 3개년인 이유 ㅋㅋㅋㅋㅋㅋㅋㅋ 8 무명씨 2014/01/07 1,879
338682 길음역 근처나 성북구에 있는 내과 이비인후과 안과, 치과, .. 10 병원 2014/01/07 11,067
338681 등기할때 꼭 그 지방 등기소에서등기해야하나요? 2 왔다초코바 2014/01/07 967
338680 아침에 잘 일어나시는 편인가요? 5 노굿 2014/01/07 1,527
338679 보험료 소득공제용 3 82cook.. 2014/01/07 773
338678 금융권에 女바람 분다지만 … 여성대통 2014/01/07 853
338677 가계약후 파기했어요...복비. 9 자삭예정 2014/01/07 6,472
338676 자존감 어떻게 높여요? 15 모모 2014/01/07 4,223
338675 2014년 1월 7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4/01/07 670
338674 해외사는 주부9단님들, 대체 식품에 대해 얘기해봐요 17 영국 2014/01/07 7,798
338673 기 쎄지는 방법 있을까요??????? 9 2014/01/07 6,453
338672 박근혜 기자회견 80분간 할만만, 소통은 없었다 4 집배원 2014/01/07 924
338671 밑에 글 보니 떠오른 소름끼쳤던 인간... 13 모모 2014/01/07 4,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