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혼인 시동생(36살) 독립문제.. 어느 정도 지원이 적정선(?)인가요?

형수입장 조회수 : 3,455
작성일 : 2013-12-18 10:59:02

미혼인 36살 시동생 서울에서 직장을 구했습니다.

형 1, 누나 2 있는데, 모두 전문직이고,( 셋 모두 외벌이)

시부모님은 서울에 집을 얻어 줄 형편은 못되십니다.

형인 제 남편은

어떤 식으로든 도와줘야하지 않겠냐면서 고민에 쌓여 있습니다.

1.누나집에 들어가라고 한다..(저희는 지방에 살고 있고, 저는 시누에게 민폐 끼친다고 격하게 반대했습니다)

2. 원룸 전세라도 마련해준다.. (도와달라는 말 나오기 전에 미리 결정해주는 것이 의 상하지 않을거라고 함)

3. 도와달라는 말이 나오면 그 때 얼마 정도 보태준다 (2~3천 정도)

4. 원룸이든 고시원이든 자신이 독립해서 고생도 해보고 살다가 결혼하게 되면 2~3천 정도 보태준다.

.

.

.

.

뭐.. 이러저러한 생각들이 들고, 저는 4번의 입장입니다만..

그냥 남 같으면 죽이되든 밥이되든 혼자 살라고 할 것 같은데..

저도 동생이 있는 입장에서, 책임감 강한 남편의 마음을 이해 못하는 것도 아니어서

도리상 어느 정도는 해줘야할 것 같아요.

부모님이 살아계시는데,

시부모님이 다 해결해주시면 상황은 가장 깔끔하겠고,

어찌되었든 시동생과 시부모님이 타협을 보고,

나중에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 지원을 하면 되지

벌써부터 나서서 형이 정리해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시부모님 재산은 어느 정도이신지는 모르지만

생활비를 타서 쓰고 계셔서 (세 형제가 분담하고 있어요. 각자 생활비 따로 받으시고요. )

시동생 독립의 문제는 형제들이 떠안게 될 것 같아요.

어느 정도 마음의 준비(?) 내지는 입장 정리를 하고 있어야 겠는데,

형제간 부모 자식간 큰 소리 안나고 해결할 수 있는 현명한 방법 좀 알려주세요~

또한 어느 정도 지원하는 것이 적정선일까요?

저는 형수 입장이라 이런저런 고민해주고 해결해주는 능력있는 형제를 둔 시동생(저와 동갑임)이

얄밉기도 하고 부럽기도 해서

말하다 보면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

그러면 안되는데 하면서도 어느 정도는 도와야지 하면서도 말이 나오게 되면 흥분하게 되니,

차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도움 말씀 부탁드려요~

IP : 118.217.xxx.35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18 11:04 AM (218.236.xxx.183)

    시부모님이 누구한테 돈을 타서 생활비로 쓰신다는건가요?
    그 얘기를 쓰셔야...

    36살이나 되는 동생을 형제들이 책임져야 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월세로 원룸 같은거 얻고 보증금이 모자라면
    3남매가 형편되는 대로 몇백씩이라도 도와주면
    시동생은 매우 고마워해야 맞는거지

    그 나이에 먼저 말도 안꺼냈는데 나서서 도와주는건
    잘하는게 아닌것 같아요...

  • 2.
    '13.12.18 11:07 AM (59.7.xxx.245)

    36인데 독립자금을 도와줘야하나요?
    이해가안가지만 집안나름일테니 뭐.. 3번 도와달라고하면
    결혼자금 미리준다하고 주겠어요
    36먹은 남자가 형한테 독립자금 달라는것도 이상하네요

  • 3. ..
    '13.12.18 11:11 AM (115.143.xxx.41)

    36인데 원룸구할 돈도 없나요? 충격과 공포네요
    전시동생 독립이라 해서 20살먹은 학생얘긴줄알았어요

  • 4. ㅇㅇ
    '13.12.18 11:16 AM (122.34.xxx.61)

    이번에 대학생 되는 줄 알았어요..36이라니..엄청나네요..대박..

  • 5. 윈글이
    '13.12.18 11:21 AM (118.217.xxx.35)

    지금껏 공부하다가 이제야 자리잡게 되었어요. 모아 놓은 돈이 없을거구요. 생계를 책임지는 입장이었으면 지금까지 공부도 못했겠죠..;; 문제는 시동생은 앞으로도 박봉인데, 형제들은 점점 잘 살게 될거라는 것..

  • 6. 윈글이
    '13.12.18 11:39 AM (118.217.xxx.35)

    흠님.. 도와줄 생각은 하고 있는데, 어느 정도 해야하나요? 2~3천도 적다고 느낄 수 있고, 아예 아파트 전세(서울에서.. )를 얻어주든지 사주든지 해야하나요? 형제들이 잘산다해도 월급쟁이보다 나은 수준이에요. 쩝

  • 7. dsf
    '13.12.18 11:43 AM (222.104.xxx.2)

    몇년전까지 전세금 1000이 월세 10이던 시절에는
    2천만 전세금 보태줘도 월 20씩 주는 셈이라
    사회초년생한테 되게 큰 도움이었죠..
    지금도 월세라도 보증금 좀 있으면 아예 없는 거 보다 훨씬 낫죠.
    그냥 아내 몰래 빌려준다고 3천 빌려주는게 어떨지.. 주는 거보다 빌려주면 의 안 상할듯.

  • 8. 친정동생이면 몇번인가요?
    '13.12.18 11:44 AM (180.65.xxx.29)

    아마 대부분 2번이겠죠
    남이니까 객관적으로 5번일거고...장가갈대 2-3천도 솔까 그때 가면 마음 변할겁니다

  • 9. .....
    '13.12.18 11:55 AM (125.133.xxx.209)

    다른 형제들은 결혼할 때 부모님으로부터 얼마씩 받았나요?
    그 부분이 중요.
    지금 시부모님이 막내 독립자금 지원할 여력이 없다면,
    (다른 형제들 결혼시 받은 자금의 총합 / 4)를 막내에게 주는 게 좋겠네요..

    받은 게 없다면, 의리 수준으로 주시는 것이... (월세 원룸이 보증금 정도를 형과 누나가 1/n?..)
    대신, 이번에 주시면 결혼할 때는 집 구하는데 돈을 보태거나 그런 것은 아무래도 어렵겠고,
    일반적인 형제들 축의금 수준 (각자 형편따라 백만원 가량..) 으로 하셔야겠구요...
    어쨋든 그 막내동생 살기 어렵겠네요 ㅠ

  • 10. ..
    '13.12.18 11:57 AM (58.231.xxx.244)

    저희집은 형제끼리돈천원도 안오가요
    오빠가 한푼도안내놨죠
    근데 별롭니다

  • 11.
    '13.12.18 12:01 PM (58.236.xxx.74)

    대책 없는 소비로 생긴 카드빚이나 빚보증도 아니고 공부하느라 자리 늦게 잡은 동생일이잖아요.
    씨드머니 지원해 주는 거고.
    분통 터지는 님 심정은 이해가 가지만, 그거 원색적으로 노출하는 건 현명하지 않은 거 같아요.

    원칙적으로는 결혼하면 독립,이 정답이지만
    아직까지 한국정서상 잘난 형이 동생 돕는 문제, 딱 자르지 못해요.
    솔까말 돈 버는 사람 입장에선, 사실 그런 낙으로 돈 버는 거예요.
    님이 매달 월 수 천 버는 의사인데 친정 동생 전세 2천 도와주는 것도 아까워서
    남편이 질색팔색하면 마음이 어떻겠어요.

  • 12. 윈글이
    '13.12.18 12:10 PM (118.217.xxx.35)

    자금 지원은 친정동생이 먼저 독립하면서 겪은 과정을 본 제가 먼저 얘기를 꺼낸 부분이고, 남편이 번 돈이라 쓰는 것에 대해 터치할 수 없는 입장이에요. 지금 문제되는 부분은, 돈을 준다면 어느 정도, 어느 시기에, 어떤 방법으로 줘야하는지 입니다. 장남이고 맏며느리이고 책임감이 강해서 손을 빌려줘야하는데, 시동생이 시부모님과 먼저 협상을 한 후에 도울 것인지, 아니면 먼저 나서서 교통정리를 해야하는지..이런 것들이에요. 고견 부탁드려요~

  • 13. 윈글이
    '13.12.18 12:14 PM (118.217.xxx.35)

    작은 시누 결혼할 때 어느 정도 해주셨는지 모르지만, 큰 시누나 저희는 온전히 자력으로 결혼하고 집 얻었습니다. 시동생은 형제들 지원받으며 2~30대를 형제 중에서 가장 럭셔리한 청춘으로 보내다가 늦게 공부 시작해서 마친거구요.

  • 14. ..
    '13.12.18 12:17 PM (222.107.xxx.147)

    구태여 먼저 나서지 않아도 될 것같습니다.
    만약 지원하게 된다면 월세 보증금 정도
    형제들이 나눠서 도와주고
    월세는 본인 월급으로 내게 하면 되겠죠.
    그 정도 나이라면 본인 앞가림은 알아서 해야하지 않을까요?

  • 15. ..
    '13.12.18 1:18 PM (118.221.xxx.32)

    돈 모은거 없나요
    부모라면 몰라도 그나이 동생을 형제가 방 얻어 주는건 오버죠
    누나집도 들어가는건 반대고요
    오피스텔이나 원룸. 월세 살라고 하세요

  • 16. 뒤늦게
    '13.12.18 1:48 PM (122.128.xxx.79)

    서울시 공무원이라도 합격한 건가요? 어쨌든 그랬으면 앞으로 자기 한몸 건사는 가능할 테니 다행인거고.
    2번과 4번이요.
    전세금을 이자없이 상환조건으로 10년내 갚게 하고, 그 과정 잘 지켜보시다가 결혼시 보태주세요.
    지금 주고 결혼 때 또 줄 거 같은데요.

  • 17. 2번
    '13.12.18 2:26 PM (180.66.xxx.3)

    일단 시동생분께 집은 어떻게 할건지 물어보세요. 그게 먼저죠. 그러면 월세구할거다 전세구할거다 대답이 오겠죠. 그때 나서서 형제끼리 모아서 돈좀 보태줄테니까 이자없이 원금만 다달이 얼마씩 상환해라 하시는게 정답일거 같습니다. 월세 매달 나가는것보다는 전세로 들어가고 그돈만 형제들한테 갚으면 되니까요.

    글쓴님이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으시다면 시동생이 다달이 갚아내는 돈 모아서 나중에 결혼할때 보태주셔도 되죠

  • 18. 무지개1
    '13.12.18 2:44 PM (211.181.xxx.31)

    시누 두분들도 같이 보태시는 거죠? 형제들 세명이서 같이 상의해보는건 어떨까요?

  • 19.
    '13.12.18 5:22 PM (211.109.xxx.9)

    님이 이래라 저래라 하지 않아도 이미 남편이 생각하고 있을듯 한데요? 외벌이 이시라면서요
    원글 및 댓글에 님 스스로가 부유했던 시동생과 자신을 비교해
    다소 얄미워하는 듯하는게 느껴집니다

    그러지 마세요, 그런 환경에서 공부만하다가 취직하고, 또 형제들이 자리 잘 잡아서 도와주는거
    다 시동생의 복 아닐까요. 님도 안정적인 남편을 얻었으니 좋게좋게 생각하시면 좋을듯해요

    남편이 시동생, 시댁어른들이랑 "이제 취직도 했고 서울와서 어떻게 지낼꺼냐" 등
    얘길하다보면 가닥이 잡힐 듯 해요. 이런 상황은..님이 괜히 주도적으로 어찌어찌 해야한다 말 잘못 꺼냈다가는 남편과 불화만 생길 수 있다고 봐요. 남편 결정에 적당히 동조하면서 남편 스스로 이건 너무 과한가? 싶어할때 살짝살짝 동조하는게 낫다고 봐요

  • 20.
    '13.12.19 7:43 AM (58.37.xxx.160)

    20,30대 형제들 도움으로 럭셔리한 학생 시절을 보냈다는 말 들어보니 독립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시동생은 그 도움이 감사한게 아니고 당연한게 될 거 같네요.
    부모님이 없으셔서 능력있는 자식들이 보조해드 리는건 키워주신 은혜니 그런다고 하지만 시동생(동생)까지 도와줘야한다는건...,글쎄요.
    앞으로 제 몫을 하고 살 경우 같지만 조금만 형제들보다 힘들면 도움 받는게 당연하다 생각하지 읺을까요?
    그러나 그래도 원글님이나 시댁 식구들이 그래야한다면 이런 거 안 묻고 시누이나 남편하자는대로 따르는게 맞는거구요.
    남의 의견은 결국 말 그대로 당사자인 시동생의 형제들 말이 아니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8937 김진태, 일베가 ‘잘한다’ 하니 정신 못차리는 고문경찰 판.. 2014/01/07 884
338936 아까 사주 풀이 부탁한다고 글 올렸던 사람입니다. 5 .... 2014/01/07 2,322
338935 식비 및 외식비만 한달에 얼마 정도 쓰는지 비교 좀 할려구요.~.. 11 비교 2014/01/07 3,399
338934 교학사 폐간, 서남수 퇴진 운동 벌입시다. 2 손전등 2014/01/07 827
338933 고두심 무슨드라마에 2 제목 2014/01/07 1,154
338932 효도해라 강요하는 시누남편. 17 아기천사 2014/01/07 5,126
338931 애들 빨리커서 혼자 살았음좋겠어요 8 제발 2014/01/07 2,462
338930 네이트온 채팅 내용 저장하려면 어떻게 하죠? 1 spdlxm.. 2014/01/07 775
338929 '아프니까 청춘'? 20/30세대는 계속 아프게 늙어갈 것이다 3 한국은 2014/01/07 1,176
338928 두레생협 게시판 답글 보며 든 걱정 6 그런데 2014/01/07 2,450
338927 82 에서 본 책인데 제목이 생각 안 나요 3 라니라옹 2014/01/07 617
338926 아빠어디가2에서 김진표씨가 빠지는 일은 없을것 같네요 22 흐음 2014/01/07 7,015
338925 헬스 하시는 분들은 일주일에 몇번 가세요? 7 Jan 2014/01/07 5,560
338924 분당 지역 철학관 1 새해 2014/01/07 1,584
338923 요즘도 주택청약통장 만드나요? 3 ^^ 2014/01/07 1,757
338922 제주 면세점 이용하려면 여권 있어야 하나요? 3 fdhdhf.. 2014/01/07 3,048
338921 ‘아빠!어디가?’ 시즌2, 김진표 안 뺀다 16 엠빙신 2014/01/07 3,807
338920 한민고도 교학사 퇴짜 임박~ 1 손전등 2014/01/07 1,347
338919 3 학교가 2014/01/07 1,610
338918 뮤지컬 많이 보신 분들 도와주세요 ^^ 7 이제야아 2014/01/07 1,081
338917 피부과 환불이요 5 소이사마 2014/01/07 3,445
338916 너무 다르게 산 채현국과 김기춘 주연배우박근.. 2014/01/07 1,474
338915 저 아래 길음역 부근 병원 문의한 사람이예요. 길음역 2014/01/07 824
338914 궁금한 이야기 와이에 나왔던 김왕규진 학생 사건 어찌 되었나요?.. 3 y 2014/01/07 4,011
338913 유럽은 지붕이 거의 오렌지 색인가요? 7 궁금타 2014/01/07 3,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