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갈비찜 만드는 과정에서 궁금한게요.

. 조회수 : 2,187
작성일 : 2013-12-15 00:25:47

얼마전 돼지고기 갈비찜 질긴거 이유 물어보곤 다시해서 맛있게 먹었어요.

 

과정 중에 궁금한게 있어서요.

댓글 주신분들 중  한 분의 말씀듣고   핏물 뺀 돼지고기를 먼저  대파랑 양파 넣고 한시간넘게 끓인 후에

양념 넣고 또 거의 40분정도 끓였거든요.

그랬더니 고기가 질기지않고 연하더라고요.

 

그런데  많은 레시피를 보면

돼지고기를  생고기 채로 양념한것에 한 두시간  재웠다가 

바로 물넣고  한 시간 넘게 끓이더라고요. 그럼에도  아주 연하다고 하고요.

 

제 글에 댓글주신 분이 고기는 간장이랑 닿는순간 질겨진다 그래서  먼저 끓였는데

대부분의 레시피처럼 간장포함된 모든 양념에 한두시간 재웠다가

고것을 오래 끓이는게 더 많은 사람들이 하는 방법인가요?

그럼에도 오래 끓으면 고기가 연해지니 다들 그렇게 하시는건지

제가 하는 방법은 번거로와서 잘 안하는 방법인지 궁금해서요.

 

 

IP : 122.40.xxx.4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ㅍ
    '13.12.15 12:37 AM (203.152.xxx.219)

    간장이랑 닿으면 질겨진다는건 간장에 들어있는 소금에 의해 고기가 절여지므로 수분이 빠지면서
    질겨지는거예요.
    그런데 고기 자체가 좀 연한경우나, 양념장에 연육작용을 하는 어떤 성분이 들어있으면 먼저 물에
    끓일 필요까진 없죠..
    키위 파인애플 배 양파 매실청등등이 연육작용을 합니다.
    보통 장조림은 먼저 끓느물에 고기를 넣고, 어느정도 고기가 익은 후 양념을 넣고요..
    갈비찜 같은건 물넣고 먼저 끓이지는 않으나
    처음에 먼저 끓는 맹물에 데쳐내고, 연육작용을 하는 과일을 넣고 재워놓고 하죠...

  • 2. 프린
    '13.12.15 12:51 AM (112.161.xxx.78)

    전 물에 먼저 안끓이고
    보통과일은 돼지고기는 사과 소고기는 배쓰구요
    알로에청이나 고추청이나 두가지중 하나 넉넉히 넣어요
    그럼 연해지고 오래 끓이면 보통 1시간 반정도 조리하거든요
    그럼 충분히 연해요
    아니 한시간정도만 끓여도 연한데 양념이 덜졸여져서 더 조리하는거지
    한시간이면 연해져요

  • 3. 원글
    '13.12.15 1:08 AM (122.40.xxx.41)

    그럼 미리 한시간 이상 삶는거 번거로우니
    내일은 양파.사과 간것에 생고기 1시간쯤 재웠다가
    바로 양념넣고 한시간 넘게 끓여봐야겠어요.

    또 궁금한게요. 물에 담가서 핏물빼는거요.
    전날부터 저녁에 냉장고에 넣었다가 다음날 해도 무방한거죠?
    레시피보니 한시간 정도 담가뒀다는 분들 계셔서 제가 너무 오래 물에담가 냉장고에 두나 싶어서요.

    그리고 사과,양파 간거에 재워두는것도 한시간 아니라 대여섯시간 재워둬도 괜찮은건가요.
    고기가 너무 연해져서 맛이 없을까요

  • 4. 프린
    '13.12.15 1:12 AM (112.161.xxx.78)

    냉장고서 핏물빼도 되요
    핏물은 찬물에서 빼야 되거든요
    그리고 양념에 재우는건 최소 3시간 하룻밤 재운게 가장 맛있어요

  • 5. 원글
    '13.12.15 1:18 AM (122.40.xxx.41)

    첫댓글님이 매실청도 연육효과 있다고 적어주셨군요^^

    두 분 댓글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9290 누수문제시 정신 바짝 차리세요 4 코배기 2014/01/08 3,349
339289 초등동창생을 30년만에 만났는데 첫사랑이었다고 하면 41 여러분 생각.. 2014/01/08 15,703
339288 지금은 장터에 글내용이 수정도 안되네요ㅠ.ㅠ 2 아... 2014/01/08 927
339287 ”한국에 관용과 배려가 없다…OECD 꼴찌 수준” 1 세우실 2014/01/08 725
339286 8개월여아 제주도1박2일로 가도 될까요? 3 2014/01/08 810
339285 아빠어디가 시청거부운동이라도 벌여야겠네요. 12 바램 2014/01/08 2,206
339284 수석졸업 증명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8 ........ 2014/01/08 2,710
339283 번역가로 잘먹고 잘사는법 6 번역가 2014/01/08 3,134
339282 중학교 수행펑가 악기는 뭔가요 10 .. 2014/01/08 1,698
339281 초등학교도 좋은데 가야되나요??? 6 천재미녀 2014/01/08 1,492
339280 살쪄도 이쁜사람 보셨나요? 34 123 2014/01/08 10,001
339279 오리털이불 환불해야할까요? 4 아즈라엘 2014/01/08 1,155
339278 12개월 아가 어린이집 보내는것 어떤가요? 6 돌쟁이 2014/01/08 1,753
339277 요즘 아빠들 대부분 이런가요? 6 ...!! 2014/01/08 1,684
339276 편의점국제배송이 얼마나 걸릴까요? 2 국제택배 2014/01/08 467
339275 대전 학군 좋은곳 추천해주세요 5 대전 2014/01/08 7,083
339274 경량 유모차 추천부탁드려요 3 또 유모차 2014/01/08 1,189
339273 홍합탕 끓여먹고 국물로 뭘 할까요? 11 홍합 2014/01/08 2,014
339272 여기 법 전공하신 분 계시면 정확한 법 해석을 좀 부탁드립니다... 1 돼지맘 2014/01/08 696
339271 이계안 "민주당이 안철수 신당에 양보하면 된다".. 8 탱자 2014/01/08 1,295
339270 초1 되는 아이 눈높이,씽크빅 같은 학습지 하면 도움 될까요? 1 .... 2014/01/08 2,345
339269 인터넷 3년 약정시.. 8 궁금맘 2014/01/08 1,613
339268 변호인에서 군의관으로 나온 배우 대단하네요 11 ... 2014/01/08 4,503
339267 하얀색 스키니..입은 여자 뒷모습 봤는데.. 19 ... 2014/01/08 21,284
339266 은둔형 외톨이에요 1 2014/01/08 3,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