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 겨울 ‘그분’이 다가온다

재열님 조회수 : 1,103
작성일 : 2013-12-09 13:58:24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8626
영화 <변호인>이 심상치 않다. 
예고편이 공개되자 검색어 1위에 올랐고, 올해 개봉된 영화 중 최고 조회 수를 기록 했다. 
영화에 대한 ‘별점 전쟁’도 벌어지고 있다. ‘<변호인> 신드롬’이 일려나.
영화 <변호인>은 1981년 발생한 용공조작 사건인 부림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다.
 당시 고문 피해자들의 변호인 중 한 명이 바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었다. 
이 <변호인>이 개봉을 한참 앞두고 있는데도 연일 화제다.
 시사회가 열리기 전부터 검색어 순위 등 영화 관련 순위를 휩쓸고 있다. 
홍보사에 따르면 <변호인>의 2차 예고편은 공개되자마자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고
 올해 개봉된 영화 중 최고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고 한다. 
포털 사이트 다음을 통해 공개되자마자 하루 동안 21만8000건을 훌쩍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다.
 이는 <설국열차>의 수치를 뛰어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에 대한 관심이 꼭 호의적인 것만은 아니다. 
꾸준한 폄훼 움직임도 있다. 보수 누리꾼들이 주로 이용하는 ‘일간 베스트 저장소’(일베)에서는 
이 영화의 포털 사이트 별점을 낮추자는 글이 줄지어 올라온다. 
반대쪽에서는 이런 움직임을 견제하자는 글이 올라와서 <변호인>의 별점은 1점이거나 10점인, 
극단적인 차이를 보인다. 
누리꾼 수만명이 소모적인 별점 전쟁을 벌이고 있다.
영화를 둘러싼 좌우의 첨예한 갈등은 영화제작사와 배급사, 홍보사를 위축시켰다. 
제작보고회와 시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언론과 만나는 것 외에는 배우와 감독의 인터뷰도 자제시키는 분위기다.
 영화가 좌우 이념 갈등의 소재가 되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제작보고회나 시사회가 끝나고 언론 인터뷰를 할 때도 대다수 배우들은 ‘노무현’이라는 이름 대신 
‘그분’이라는 표현으로 비켜갔다.

‘급전 필요한가?’라는 기사 올린 조선닷컴 

주연을 맡은 배우 송강호씨가 특히 마음고생을 많이 했다. 
조선 시대의 부당한 권력 찬탈을 다룬 <관상>과 미래의 계급사회를 보여준 <설국열차>에 이어 
오늘 우리의 현실 이야기를 다룬 <변호인>까지,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두루 오가며 다양한 연기 변신을
 보여준 그에게 <변호인>은 가장 부담스러운 영화였다. 
출연 제의를 받았을 때 그는 실제 인물을 다룬다는 부담 때문에 한 차례 고사했었다고 밝혔다.

실제 보수 언론의 견제도 있었다. 10월30일 영화의 1차 예고편이 올라오자, ‘설국열차, 관상 이어 
변호인까지… 송강호 연이어 영화 출연 “급전 필요한가?”’라는 제목의 기사가 조선닷컴에 올라왔다.
 이를 기억한 기자가 시사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이 기사를 환기시키자 송강호씨는
 “급전은 항상 필요할 수 있는데 이번엔 아닌 것 같다”라고 답했다.

송강호씨를 비롯해 <변호인>에 출연한 배우들이나 감독이 이 영화를 언급할 때 꼭 붙이는 설명이 있다. 
바로 이 영화는 정치적인 영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정치적인 영화가 아니라고 
강조해야 할 만큼 정치적인 영화’라는 걸 보여준다. 
개봉일을 12월19일로 택한 만큼 이 영화가 정치적 논란을 피해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소재를 다룬 영화라는 면에서 <변호인>은 <화려한 휴가>와 비교된다. 
<화려한 휴가>는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영화적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변호인>은 상업영화로도 완성도가 높고 연출력과 연기력이 잘 결합되어 작품성까지 뛰어나다는
 평이다. 속도감 있게 이야기를 풀어가면서도 영화적 잔재미를 다양하게 제공한다.

<변호인>처럼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 <도가니>나 <부러진 화살>이 다소 무겁게 이야기를 풀어간 것과 달리
 <변호인>은 가볍고 경쾌하게 관객을 끌고 간다. 
고문 장면도 <남영동>처럼 관객이 불편할 정도로 거칠게 몰아붙이지 않고 처절한 이미지 위주로 전달한다.
 그리고 관객을 충분히 즐겁게 해준 다음 정신없이 내달린다. 
변화구와 직구, 그리고 낙차 큰 커브의 환상적인 볼 배합으로 타자를 유린하는 투수처럼 웃음과 눈물, 
분노와 감동을 적절히 배합해 관객의 마음을 계속 들었다 놓았다 한다.

송강호씨가 맡은 송우석 변호사는 2대8 비율의 가르마에 체크무늬 양복을 즐겨 입고, 
아들과 딸을 두었으며, 돈을 좀 벌자 취미로 요트를 시작한다. 영락없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모습이다. 
노 전 대통령의 속물적인 모습부터 고매한 모습까지 폭 넓게 보여준다. 
비록 노 전 대통령 특유의 말투는 흉내 내지 않았지만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싱크로율(일치 비율)이 높아진다. 판사에게 형사소송법을 들이밀며 피고인의 권리를 주장하고 검사의 궤변을 논리적으로 논박하며 야무지게
 몰아붙이는 모습은 생전의 노무현 전 대통령을 연상케 한다.

영화는 도입부에서 상업고등학교 출신 변호사의 좌충우돌 성공기로 경쾌하고 가뿐하게 시작한다. 
잃을 것 없는 송우석 변호사(송강호)는 사법서사들이 주로 하던 부동산 등기 전문 변호사를 자칭하며 
수수료로 돈을 모은다. 
이후 상고 출신의 장점을 살려 잘나가는 세법 변호사로 승승장구한다. 
8차선 도로 위에서 액셀러레이터를 밟고 내달리는 일만 남은 그의 인생에 급브레이크가 걸린 것은 
단골 국밥집 주인아주머니의 아들이 시국사건에 연루되면서다.
눈앞의 불의 앞에서 영화는 경쾌한 질주를 멈추고 주인공이 속물 변호사에서 인권 변호사로 거듭나는, 
중년의 성장영화 형태를 취한다. 
여기서부터는 돌직구다. “할게요. 변호인 하겠습니다!” “포기 안 합니다. 절대 포기 안 합니다” 
“무죄면 무죄판결 받아야 하는 것 아닙니까?”라고 말하는 송우석은 온갖 겁박과 불이익에도 굴하지 않고 
재판에 온 신경을 기울인다.

영화의 에피소드를 풍부하게 만들어준 것은 소송에 들인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노력이다.
 E. H. 카가 소련에 살았던 빨갱이가 아니라 영국의 외교관으로 근무했다는 사실을 영국 대사관을 통해
 문서로 확인해오고, 고문 증거를 확보해 고문 조작 사실을 밝히는 과정이 에피소드로 사용된다.
법정에서 “알리와 포먼이 경기를 할 때 김일성이 알리를 응원했다고 칩시다. 그럼 그때 피고인들도 알리 편을
 들었다면 그것도 이적행위입니까?”라고 물었던 일화도 에피소드로 쓰인다. 
“법정에서 김일성을 고무 찬양하는 행위를 삼가달라”는 검사의 어이없는 대응도 영화에 담겼다.

법정 공방은 이 영화의 영화적 성취가 집약된 부분이다. 자칫 지루할 수 있는 법정 장면을 감독은 
핸드헬드 카메라를 활용한 다양한 움직임으로 역동성 있게 찍어냈다. 
공판마다 다른 방식으로 에피소드를 풀어가서 긴장감을 자연스럽게 고조시킨다. 
자연광을 살린 조명이 긴장 속에서도 차분하게 법정 공방을 따라가게 만든다.

이 영화가 영화적 힘을 갖는 것은 현실의 무게를 온전히 감당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 속 부당한 재판 과정을 보면서 관객들은 국정원 대선 개입과 이에 대한 경찰의 수사 축소, 
그리 법무부 장관의 검찰에 대한 수사 간섭을 떠올릴 것이다. 
영화평론가 최광희씨는 “이 영화는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칭송이라기보다 그가 통과했고 분노했던 
한순간을 통해 우리 시대가 잠시 까먹은 보편적 시비지심을 재확인하는 작품이라고 보는 게 타당하다.
 어떤 대중적 ‘현상’으로까지 이어질지는 지켜볼 일이다”라고 평했다. 
IP : 211.216.xxx.186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미즈박
    '13.12.9 2:12 PM (115.136.xxx.107)

    토요일 낮 영화 소개 프로그램에서 변호인을 소개해주는데
    그것만 보곧ㅎ 눈물이 울컥 쏟아지더이다.
    개봉일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 2. 저희
    '13.12.9 2:20 PM (122.40.xxx.41)

    가족도 그날만 기다리고 있어요.
    지인들과도 여러번 보려고요

  • 3. 카르페디엠
    '13.12.9 2:31 PM (61.85.xxx.107)

    연말을 이 영화와 함께 하게 되어 정말 기뻐요~~예고편보고도
    가슴이 먹먹하고 눈물이 많이 나네요~~노통님 정말 그립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0884 일주일에 몇번정도 집에서 목욕하세요? 17 김그린 2013/12/10 5,710
330883 말고 가슴저리는 연기하는 젊은 여배우 또 누구있을까요?? 21 김지수.하지.. 2013/12/10 3,118
330882 철도 파업을 도와주세요 8 민영화반대 2013/12/10 721
330881 부엌에 놓아 냄새잡기 좋은 화초 이름좀 알려주세요. 5 고르는중 2013/12/10 2,011
330880 혼자서 아이 키우며 살기 참 힘드네요. 48 gla 2013/12/10 10,787
330879 메인 뉴스로 김정은만 나오니 중국인 친구 왈, 5 사골도 아니.. 2013/12/10 1,599
330878 영화 정지영 감독 천안함 프로젝트 오늘부터 무료 다운로드 6 // 2013/12/10 2,292
330877 낙지가 너무 맛있어요ㅠㅠ 6 ,,, 2013/12/10 1,568
330876 그동안 써본 수분크림 후기 17 분위기전환 2013/12/10 10,466
330875 장터 사건을 지켜보다가...소심한 의견 32 청명하늘 2013/12/10 3,253
330874 500 만원으로 9명이서 일본온천여행 무리겠죠..? ㅠ 24 초5엄마 2013/12/10 4,001
330873 ssg 마트는 너무 비싼것 같아요 12 ssg 2013/12/10 4,461
330872 기모 스키니진 주문했는데 작으면 어떡하나 걱정되네요 3 ㅇㅇ 2013/12/10 1,064
330871 여드름 치료제에 쓰이는 과산화 벤조일이란 성분 잘 아시는 분??.. 3 맛동산피부 2013/12/10 8,184
330870 선물받은 옷 영수증 없이 교환 가능할까요??;; 6 궁금녀 2013/12/10 10,184
330869 남자들과 너무 허물없이 얘기하는 거도 안좋은거 같아요 6 회사에서 2013/12/10 2,132
330868 레지오교육 & 일반유치원 5 유치원고민 2013/12/09 1,149
330867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래~ 3 역사 2013/12/09 1,177
330866 이이제이에서 부림사건 내용 방송한게 몇 회인지 아시는분~ 1 .. 2013/12/09 557
330865 국어 문법 좀 알려주세요. 초3입니다. 17 como 2013/12/09 1,171
330864 또 컴퓨터 사야해요 6 가드너 2013/12/09 1,089
330863 혹시 최근에 인터넷 통신회사 변경하신분 계신가요? 3 인터넷 2013/12/09 756
330862 하와이 허니문 자유여행 vs패키지? 9 바쁘자 2013/12/09 6,886
330861 이번에 두 번 본 영화 2 샬랄라 2013/12/09 978
330860 청국장냄새 맡은 5살아들 9 Drim 2013/12/09 2,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