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6.10 민주항쟁에 대해 한번쯤 읽어보아요.

민주만세 조회수 : 746
작성일 : 2013-11-30 00:17:14
잠을 잘 수가 없어요.

함께 읽어보고 싶어서 여기 퍼와요.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퍼온 거에요.
1979년 12.12사태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군사정권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기 위해 일어난 범국민적 민주화운동이다. 

전두환 정권의 집권이후 계속된 민주화 운동은 대통령 직선제 헌법 개정을 포함한 민주체제 요구로 이어졌으나 전두환 정권은 이에 강경 탄압으로 일관했다.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군이 치안본부 대공수사단에 연행돼 조사받던 중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이에대한 거리시위가 전국적으로 일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정권은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무시한 채 개헌논의를 유보하는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고, 김영삼이 주도한 통일민주당의 창당을 방해하는 등 정치적 반대세력과 민주화를 열망하는 세력에 탄압을 가중시키며 군사정권의 장기집권 의도를 힘으로 밀고나갔다. 

이에 학계·문화계·종교계 각계각층이 일어나 군사정권 유지를 위한 호헌조치 반대성명 등 민주시국선언이 잇따르면서 민주화투쟁 열기는 고조되었다. 

5월 18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에 의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은폐·축소 조작된 것으로 밝혀지고, 6월 9일 연세대생이었던 이한열이 시위과정에서 머리에 박힌 최루탄 파편으로 사경을 헤매게 되자, 산발적으로 전개되던 민주화 투쟁은 야당과 재야민주세력이 총결집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결성으로 이어져 비폭력투쟁 민주헌법 쟁취를 선언, 전국민적 민주화 투쟁의 구심체가 되었다. 

6월 10일 김영삼·김대중·박형규·김성수·김승훈·금영균·계훈제·이돈명·송월주·고은·인명진·오충일 등이 주도한 국민운동본부는 박종철고문살인규탄 및 호헌철폐국민대회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개최하여 민주항쟁의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같은 날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대표위원이 집권당 대통령후보로 선출되자 전두환정권 간선제 호헌방침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은 급격히 확산,분출되었다. 

15일까지 전개된 명동성당농성투쟁, 18일 최루탄추방대회, 26일 민주헌법쟁취대행진에 이르기까지 20여일간 전국에서 연인원 5백여만 명이 참여하여 직선제개헌 민주화촉구를 위한 거리집회·시위·농성 등이 계속되었다. 특히 26일 시위에는 전국 33개 도시와 4개 군·읍 지역에서 100여만 명이 참가, 6월항쟁 중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국민저항운동이 대규모로 확산되어가자 전두환 정권은 시국수습을 위한 조치를 강구하지 않을수 없게 되었으며, 마침내 29일 노태우 민정당 대표위원의 이른바 '6·29선언'이라는 직선제개헌 시국수습특별선언이 발표되었다. 

여·야합의에 의한 대통령 직선제개헌과 평화적 정부이양의 실현, 자유로운 출마와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대통령선거법 개정, 김대중의 사면·복권 등을 주요 골자로 한 선언으로 혼미를 거듭했던 정국은 수습의 실마리를 찾기 시작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6.10 민주항쟁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IP : 182.210.xxx.28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 때 나는 사회초년생
    '13.11.30 12:19 AM (1.231.xxx.40)

    아무 생각 없었던 거....
    속죄합니다

  • 2.
    '13.11.30 10:07 AM (211.194.xxx.248)

    피와 땀이 망나니들의 출몰로 사라져고 있네요.

  • 3. 정말
    '13.11.30 10:34 AM (110.8.xxx.205)

    저 때 서울대생 박종철 군, 연세대생 이한열 군의 값진 희생을
    우리가 잘 지켜내야 할 텐데요..ㅠㅠ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1147 박근혜가 스케일 면에서는 이명박 압도하네요 26 ㄷㄷ 2013/12/16 3,155
331146 문성근 씨가 대작에 캐스팅이 되어서 다행이네요 4 영화 2013/12/16 1,857
331145 결국 소통없이 강행된 수서발 KTX.txt 1 ㄱㄱㄱ 2013/12/16 1,039
331144 박영선 의원은 요즘 통 안보이네요 1 아시는 분 2013/12/16 1,520
331143 지방시 나이팅게일 백 지금사면 어떨까요? 1 ... 2013/12/16 1,810
331142 민영화 손석희방송에서도안나왔나요? 10 답답 2013/12/16 2,254
331141 키보드나 치고 있을 수 밖에 없는 현실 3 우째 이런 .. 2013/12/16 1,263
331140 배우 김민준이 만들어준 길냥이 집~ 4 ,,, 2013/12/16 3,770
331139 의사들이 파업을 하던 철도직원들이 파업을 하던 9 .. 2013/12/15 2,238
331138 체하면 원래 이래요? 1 아우미치겠어.. 2013/12/15 830
331137 82엔 진짜 미친여자가 있어요 30 목격담 2013/12/15 16,107
331136 남자들도 휘어잡을수 있는 딸 10 세대차이 2013/12/15 2,489
331135 근무조건에대해언니야들의고견듣고싶습니다..... 황민정 2013/12/15 1,076
331134 82cook 도 이럴진대... 나랑은 전혀 무관한 의료민영화? 6 의료민영화 2013/12/15 1,342
331133 의료민영화? 실비보험?? ........ 2013/12/15 1,422
331132 의료민영화에는 왜 사람들이 잠잠하죠? 17 2013/12/15 3,636
331131 경주 부산 여행 2박3일 하려는데요 3 ... 2013/12/15 2,199
331130 정부가 말해주지 않는 '원격의료'의 진실 2 .. 2013/12/15 1,484
331129 어지럽히는 딸 25 하아 2013/12/15 3,014
331128 생강유자차 넘넘 맛있네요.. 1 @@ 2013/12/15 2,388
331127 추운겨울,,,촛불들러 못나가시는분들,,,,,트윗이나 페북이라도... 3 ㄴㄴ 2013/12/15 688
331126 자신의 목에 칼 겨눈 의협회장 10 영리병원반대.. 2013/12/15 1,907
331125 의료민영화 통과된건가요? 5 미치겠다 2013/12/15 2,967
331124 너무 무서워요..ㅠㅠ 29 의료 민영화.. 2013/12/15 15,507
331123 빙판길 조심하세요 오늘 겪은일 1 빙판 2013/12/15 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