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들 공부, 제 생각은요..

코칭선생 조회수 : 3,062
작성일 : 2013-11-27 08:57:16

 

유전자가 중요하다는 말씀 많이 하시는데 공감합니다.

아이 나름의 한계치는 있겠지요.

하지만 아이 각각의 그러한 한계치까지 도달하느냐 하는 문제는,

아이의 정서적 안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공부 그릇이 작아 많은 것을 담을 수 없는 아이도..

반대로 넓은 그릇에 많은 것을 깊이 있게 꾹꾹 눌러 담을 수 있는 아이도..

사랑과 격려와 지지..를 얼마나 받으며 컸는지에 따라

그 양은 다시 정해져 담아지는 것 같아요.

수학 문제를 풀 때..

아, 어렵네. 이건 내가 절대 못 푸는 문제야. 건너 뛰자..

어? 어렵네. 그치만 한번 잘 읽어보고 끝까지 생각해봐야지. 좋아. 도전~~

이런 두 아이가 있다면 누가 봐도 아래의 아이가 바람직하겠지요?

이런 마음을 먹게 하려면 우리(엄마)들의 역할은

진심으로 지금 그대로의 아이를 인정하고 격려했을 때..

그런 것이 쌓여 아이 안에 따뜻하고 든든하게 자리잡을 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의 공부 그릇을 꽉 채워 반에서 20등 할 수도 있고

넓고 깊은 그릇을 꽉 채웠을 때 전교 1,2등 할 수 있는 아이..

..이런 그릇 자체를 넓혀 가기에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그러다보면 성적을 내는..평가받는 시기가 지날 수도 있어서)

당장 넓어지는게 보이지 않아 서로가 지칠 수도 있겠으나,

타고난 그릇의 크기를 떠나서

그 안에 가득 담는 것은 그나마 가까운 시일 안에 이루어진다고 생각해요.

제가 가르치고 있는 아이들도 일주일에 두세번 저를 만나지만,

엄마가 아닌 제가 진심으로 아이와 소통할 때도

아이의 변화 의지와 공부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는 것을 느끼니

육아 최전선에 있는 엄마가 그 역할을 했을 때는

그 힘이 정말 강력하겠지요.

사랑이 정말 가장 강력한 힘이라는 건 늘 느끼고 있거든요.

그렇게 꽉 채워간다고 가정하고 그릇의 크기를 봐서

공부의 우선순위를 정해 한과목씩, 잘되면 두과목..

교재의 수준도 1단계에서 심화까지..

그러다보면 공부 그릇도 조금씩은 넓어지지 않을까요?

아무리 머리좋은 아이(부모 두분다 서울대 졸업)도 부모와의 소통이 걸림돌이 되어

마음을 꽉 닫아 영혼없이 책상앞에 앉아있는 경우도 있거든요(제가 요즘 가르치고 있는 아이입니다)

그런 멍-한 아이를 바라보면 화도 나겠지요.

하지만 성인인 우리가 참고 그 아이 눈높이에서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아직 어린 아이잖아요..

이렇게..제가 공부에 가장 필요하고 중요한 건 "정서적 안정"이라 생각하고요,

하나만 더..우리들(엄마들)의 역할을 충분히, 그것도 즐겁게 해 낼 때

아이도 긍정적인 변화를 할 수 있고 시기도 앞당겨진다고 생각해요.

집안일, 반찬, 특별한 일이 아니고는 아이가 있을 때 집에 있기..그런 시간에 퍼져있지 않기..

..남자들이 생각할 때는 당연하다고 할 지 모르는 일이지만,

전 자주..이런 일들이 버거울 때가 있거든요.

이럴 때 결심합니다.

..아, 아이도 공부할 때 이런 순간이 오겠지..이겨내길 바란다면

나도 얼른 마음 바꿔 즐겁게 움직이자..

쓰다보니 사교육선생 입장이 아니라 엄마의 입장에서 쓰게 되네요. ㅎㅎ

그 힘듬과 외로움을 잘 아니까 감정이입이 엄마쪽으로 되나봅니다.

하여튼 우리 엄마들, 힘내기로 해요!!!

IP : 180.224.xxx.106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나무
    '13.11.27 9:01 AM (121.168.xxx.52)

    반성하게 되면서도 위로도 얻네요.
    힘도 나고요. 글 감사해요.

  • 2. ..
    '13.11.27 9:04 AM (58.29.xxx.1)

    제자신을 돌아보게 됩니다...

  • 3. ㅇㅅ
    '13.11.27 9:05 AM (203.152.xxx.219)

    맞아요. 저도 아이를 고3까지 키워보니 이제 그걸 알것 같아요.
    타고난게 99%는 맞겠죠만은 (공부머리, 습관, 엉덩이 무겁기, 기타 재능, 성격등)
    그건 부모의 양육태도가 상식적일때에 좋은쪽으로 타고난것을 발현할수 있는거겠죠...
    이 상식적이라는 말 자체가 굉장히 힘든건데요. 부모역할 어렵습니다. 아이에게
    당근과 채찍을 정확히 줄수도 있어야 하고요.
    부모자신은 인생을 열심히 살지 않으면서 아이가 열심히 살기를 바랄순 없는것 같아요.
    아이는 부모를 보고 자라니깐요.
    아이가 어른이 되어도, 의식의 밑바닥엔, 부모의 잔상이 늘 남아있답니다.

  • 4. ㅇㅇ
    '13.11.27 9:12 AM (1.245.xxx.85)

    수학공부 시작하면서 소리올라갔었는데~
    느긋하게 긍정적으로. 다짐합니다

  • 5. 독특
    '13.11.27 9:16 AM (121.128.xxx.124)

    감동입니다
    오늘 82 들어와서 읽은 첫글인데요.
    정말 맘에 와 닿네요.
    저도 나름 사교육에 종사한다고 할 수있는 사람인데요.
    제가 많이 느꼈던 생각인데 원글님 처럼 잘 전달이 안되었던 부분이예요.
    내공이 느껴집니다.

  • 6. ^^
    '13.11.27 9:22 AM (115.126.xxx.100)

    좋은 말씀이예요~~

    엄마가 씩씩하고 긍정적이고
    아이의 감정을 모두 받아줄 수 있도록
    마음을 깨끗하게 비우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아는 분이 엄마는 아이 감정의 쓰레기통이 되어주어야 한다고 했는데
    내 마음이 비워져 있지 않으면 아이의 마음도 받아주기 어렵겠죠.

    조금 우울한 기분이었는데 밝은 음악 틀어놓고 청소하고 움직여야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7.
    '13.11.27 9:27 AM (211.219.xxx.101)

    공부뿐 아니라 한 사람 인생에 정서적인 안정은 지배적이지요
    엄마들이 아이가 공부를 잘하길 바라는 최종적인 목표는 행복이잖아요
    행복의 가장 기본조건이 정서적인 안정이지요
    다시 한 번 명심하고 갑니다

  • 8. ....
    '13.11.27 9:29 AM (110.15.xxx.54)

    좋은글 정말 고맙습니다^^

  • 9. 저도..
    '13.11.27 9:31 AM (211.201.xxx.173)

    감사하다는 인사하려고 로그인 했어요.
    안그래도 기말고사 앞두고 조금 까칠해지고 있었는데
    딱 지금 저에게 들려주시는 얘기 같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

  • 10. ...
    '13.11.27 9:41 AM (124.5.xxx.132)

    정말 좋은 말씀이네요 저도 지금까지 아이를 키우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는데요 일단 제가 걱정이 없고 안정되어야 아이한테도 그렇게 대할 수 있더라구요 일단 엄마가 스스로를 돌보는 것이 정말 중요한것 같아요

  • 11. 겨울보리
    '13.11.27 10:04 AM (220.75.xxx.154)

    좋은글 잘 읽었어요~~~~

  • 12. 지나다..
    '13.11.27 10:34 AM (203.142.xxx.231)

    감사합니다. 요즘 사춘기 아들때문에 힘든데 마음을 다시한번 다잡게 되네요~~

  • 13. 마자요
    '13.11.27 10:50 AM (14.39.xxx.112)

    아이들 공부 못해도 사랑으로 격려...순간순간 불컥하지만...인내...

  • 14. ...
    '13.11.27 2:10 PM (116.40.xxx.155)

    정말 좋은 글이네요.
    이런글이 있어서 82가 좋아요.동감하고 반성도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 15. 삶의 아우라
    '13.11.27 5:29 PM (58.230.xxx.181)

    좋은글 담아갑니다~

  • 16. 아이교육
    '13.11.27 11:30 PM (58.76.xxx.60)

    아이교육에 대한 좋은 글 감사합니다~

  • 17. 좋은 말씀
    '13.11.28 5:45 AM (173.172.xxx.134)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 18. 당무
    '13.11.28 11:10 AM (211.253.xxx.49)

    제게 필요한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 ^

  • 19. 참기름홀릭
    '16.3.14 3:10 PM (122.169.xxx.205)

    주옥같은 글이네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1690 착한치과중에 스플린트 치료 잘하는 병원 추천 부탁합니다 1 턱관절장애 .. 2013/12/11 1,328
331689 사람 미워하는 거 참 신기해요 5 타임 2013/12/11 2,402
331688 집에서 만든 국간장에 침전물이.. 3 간장~~ 2013/12/11 2,201
331687 아동인지바우처 2 선택 2013/12/11 551
331686 살빼고 있는데 왜 주변에서 난리일까요 7 왕짜증 2013/12/11 2,891
331685 크레마샤인 써보신분 계신가요? 1 ㅎㅎ 2013/12/11 622
331684 왼쪽 아래배가 아파요 4 아프당 2013/12/11 3,142
331683 오늘밤 수도계량기 동파 안되겠죠? 1 걱정 2013/12/11 1,013
331682 서울에서 가장 큰 대형서점 알려 주세요. 6 .. 2013/12/11 3,958
331681 공군 훈련소 근처 숙박? 6 아들 둘 엄.. 2013/12/11 4,636
331680 금강경, 반야심경 유튜브 추천 부탁드려요. 4 .. 2013/12/11 1,246
331679 채닝 테이텀 좋아하시는분있나요 8 2013/12/11 1,040
331678 안양대 정보통신과 인천대 물리학과 10 무식한엄마 2013/12/11 2,254
331677 아이가 운동을 하다가 발톱을 다쳤는데 발톱뿌리쪽에서 피가 많이 .. 4 발톱 2013/12/11 1,235
331676 jtbc.손석희뉴스. 원전확대 지금 시작해요.같이 행동부탁 녹색 2013/12/11 733
331675 대선부정선거? 그래서 내가 할 수 있는건.. 13 답답 2013/12/11 936
331674 좋은 물건 제품명/브랜드 서로 추천해 봐요 8 우리 2013/12/11 1,095
331673 탈퇴한 사이트에서 이메일이 올때 어디에 신고하나요 내정보내놔 2013/12/11 436
331672 "출출한 여자" 영화 보셨나요? 5 재밌는 영화.. 2013/12/11 1,486
331671 저는 82쿡 들어오고 나서야 우리나라에 도우미 아주머니들 20 ㅇㅇ 2013/12/11 7,636
331670 제주도 갈때 초딩들 등본 있어야 하나요? 6 .. 2013/12/11 2,126
331669 잔금 받기전에 세입자 집에 들이면 안되죠? 15 .... 2013/12/11 5,482
331668 82님들 현명한 답변 부탁드려요 3 고민녀 2013/12/11 442
331667 음식하고 집에 밴 냄새어떻게 하세요? ? 8 스트레스 2013/12/11 2,783
331666 남편용돈 얼마나 주시나요? 8 40대 2013/12/11 1,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