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가 나트륨함량땜에 몸에 나쁘다고 하는데

... 조회수 : 4,052
작성일 : 2013-11-23 21:04:17
그건 옛날 말인거 같아요

요즘 사먹는 김치도 그렇고 집에서 담근건 더더욱 그렇고

예전처럼 짜게 안담그는거 같아요. 

지금이야 집집마다 김치냉장고가 있으니 싱겁게 담가도 왠만하면 잘 안변하니

옛날김치처럼 아주 짜게 절여서 물기 쪽빼고 담는 방식이 아닌거 같아요

사먹는 김치도 큰 줄기부분은 덜 절여져서 그런지 생생하구요

김치도 앞으로 계속 저염김치 추세로 나간다면 나트륨함량을 높이는

주범으로 오해받는 일은 점점 없어질거 같네요


IP : 121.167.xxx.24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염이라해도
    '13.11.23 9:07 PM (58.236.xxx.74)

    세 젓가락 정도먹으면 하루 섭취염분을 다 먹는 거래요,
    근데 라면이라도 하나 먹으면 세 젓가락만 먹나요 ? 거의 반보시기정도 먹죠.
    저염이라 해도 생각보다 나트륨 함량이 높을 걸요, 나물이나 샐러드의 비중을 높이는 게 나아요.

  • 2. 김치에
    '13.11.23 9:12 PM (14.52.xxx.59)

    된장찌개 먹으면 나트륨 지옥이죠
    그거 밝히면 한식 망한다고 쉬쉬한다네요

  • 3. ...
    '13.11.23 9:23 PM (218.153.xxx.112)

    김치 맛있고 좋아하긴 하지만 끼니마다 김치를 고집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전 채소 반찬 충분하게 있으면 식탁에 김치 안 올릴때도 많아요.
    그냥 여러 가지 반찬 중 하나로 생각할 뿐...

  • 4. ///
    '13.11.23 9:30 PM (115.126.xxx.100)

    김치에는 칼륨이 많아요.
    칼륨은 체내 나트륨을 배출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저염김치인 경우 나트륨 섭취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5. 나트륨
    '13.11.23 9:37 PM (117.111.xxx.142)

    나트륨 많대요 식영과 교수가 그러더군요 특히 임산부는 하루 작게 두쪽 정도로 김치양 제한하는 게 좋대요

  • 6. 나트륨은
    '13.11.23 9:38 PM (121.145.xxx.107)

    라면에는 더 많죠.
    각종 패스트푸드는 말할 것도 없고요.

  • 7. 당연히
    '13.11.23 9:45 PM (117.111.xxx.142)

    라면에 더 많지만 라면은 자주 안 먹으니까요 저흰 많이 먹어야 일주일에 한번 먹어요 근데 김치는 매끼니 먹고요 우리 고유 음식이고 좋은 기능도 많이 하지만 조금 줄이긴 해야할 듯해요

  • 8. 불쌍한 김치..
    '13.11.23 10:13 PM (218.234.xxx.37)

    우리나라 음식이 다 소금간을 하는 거잖아요.

    유난히 김치가 나쁜 게 아니라 모든 음식이 다 소금간을 하니까 나트륨 함량이 높아지는 것 같은데.

  • 9. .....
    '13.11.23 10:38 PM (39.119.xxx.119)

    지금8,90세된 어른들 주로 잡숫던게 김치 ,된장, 장아찌 젓갈이었는데. . 나트륨 보다 생선, 콩 , 고추가루등 먹거리 재료들이 옛날것 보다 좋질않은게 더 문제같단 생각이 들더군요,

  • 10. 보건소
    '13.11.23 11:04 PM (115.139.xxx.40)

    보건소가서 영양상담 받는데
    먹은 음식들 쓰라고 하면서
    김치는 야채로 치지말래요

  • 11. 글세요..
    '13.11.24 12:58 AM (222.101.xxx.179)

    저도 개인적인 생각에 옛날 어른분들 주식이 거의 김치 된장 고추장 장아찌 젓갈 .
    생선도 냉장고 갇은게 없으니 거의 절임 이런건만 드시고 사셨지만
    지금의 우리 세대보다 더 건강하시고 정정하게 사신것 갇아요.
    오히려 요즘 세대들이 더 골골하죠 정말 나트륨 보다 고기.야채.등등에
    약을 많이치는 먹거리가
    문제인것 갇습니다..

  • 12. ..
    '13.11.24 5:14 PM (211.193.xxx.152)

    싱겁게 담근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고나트륨 반찬인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은데요.
    매끼니마다 상에 올리고 또 섭취량이 많은 경우
    고혈압 위험지수는 확실히 올라가죠.
    한국 노인층이 건강하다? 그건 아니지 않나요.
    고혈압, 당뇨 발병률 높고 위암도 여전히 높잖아요.,
    젊은층은 그와 다른 인스턴트,빵류나 외식 증가로 서구형 질병이 증가했고.
    암튼 한식은 싱겁게 먹되, 국그릇 사이즈도 줄여야하고
    찌개나 저장음식 섭취량도 줄여야한다고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5086 부부싸움 하고 나면 보통 어떠세요? 5 방법 2013/11/24 2,545
325085 총각김치가 묵은게 있는데 이거 조려먹을수 있을까요? 18 총각 2013/11/24 3,299
325084 생각 나는데로 적어본 광수느님 업적 2 맛있는수박 2013/11/24 4,013
325083 아직도 애플폰 쓰시는분들...... 19 맹금순 2013/11/24 3,577
325082 말러의 곡 중 가중 유명한 곡은? 5 .... 2013/11/24 1,668
325081 항상 밥먹을 시간에 찾아오는 아이들 20 ..... 2013/11/24 6,481
325080 물김치처럼 된 깍두기 3 물김치가된 .. 2013/11/24 1,293
325079 정세균 의원님의 트위글 소개합니다. 7 // 2013/11/24 2,179
325078 대법원 "광주에 북한군 보냈다는 허위사실" 지.. 6 참맛 2013/11/24 1,786
325077 연말에 아이돌 콘서트요! 3 콘서트 2013/11/24 1,131
325076 벼룩관련 ..좀 봐주세요.;; 2 벼룩 2013/11/24 1,639
325075 햇볕으로 비타민D ? 13 쨍쨍 2013/11/24 3,629
325074 국수 삶는 냄비 어디에 팔까요? 3 오늘도 몇 .. 2013/11/24 1,882
325073 12월31일에 시댁가는분 계신가요 5 2013/11/24 1,932
325072 돌아가신가족이살아요 2 꿈해몽 2013/11/24 2,549
325071 멸치 육수 진하게 내려면 얼마나 많은 멸치를... 5 멸치 2013/11/24 2,649
325070 시작하지 않으면 기회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6 네가 좋다... 2013/11/24 2,731
325069 국내 온천호텔 추천 좀 해주세요. 효녀?? 2013/11/24 1,725
325068 호박과 삶은 팥 질문있어요. 1 ㄱㄱ 2013/11/24 1,283
325067 압박 스타킹 효과 있나요? 허벅스 2013/11/24 1,666
325066 상속자 은상을 죽이는건 25 ... 2013/11/24 9,235
325065 세대 분리시 의보 질문합니다 2 ma 2013/11/24 1,306
325064 지적장애 초등생女 강간살해·암매장한 중학생... 항소심서 징역 .. 8 맛있는수박 2013/11/24 3,028
325063 드럼세탁기 엘지인가요 삼성인가요? 6 .. 2013/11/24 4,581
325062 희망온도30도로 설정하면 방안 온도는 몇도가 정상인가요? 1 난방 2013/11/24 1,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