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라도 김치와 서울김치의 다른점이 뭔가요?

베비베비 조회수 : 6,432
작성일 : 2013-11-22 15:27:57
전라도와 서울김치의 차이점은 뭐가 다른가요?
젓갈도 다르겠지만 맵기나 빨간 정도가 많이 다른가요.
전라도 김치를 얻어왔는데 너무 빨갛고 양념이 많이 묻어 있어서
이 지방은 다들 그렇게 매운걸 드시나해서요.

IP : 210.219.xxx.180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1.22 3:30 PM (211.51.xxx.98)

    서울쪽보다는 훨씬 자극적이죠.

    고추가루가 매운 고추가루가 아니라면 양념이 많이 묻어도
    맵지는 않고 다만 자극적일 뿐이예요.

    젓갈도 멸치생젓을 대부분 써요. 생젓이나 아니면 끓인 맬치젓이요.
    이게 들어가면 김치색깔이 좀 더 거무스름해지고 맛도 젓갈 맛이
    확 나구요.

    김장 때 이외에는 늘 마른 고추를 갈아서 김치를 담으니 서울 쪽보다는
    훨씬 풍미가 있고 맛이 있긴 해요.

  • 2. 맛이
    '13.11.22 3:32 PM (219.251.xxx.5)

    진하죠..
    깔끔하고 시원한 맛은 아니죠~~

  • 3. .......
    '13.11.22 3:35 PM (59.0.xxx.231)

    생젓이 뭔가요?

    저 전라도가 고향인데..........멸치생젓은 못봤어요.

    멸치생젓이 뭔가요????

    중부식 김치는 무채를 많이 넣고 약간 싱거운 맛......

    전라도식은 약간 깊은 맛.....정도?

    바닷가 있는 부산에서도 오래 살았는데.......멸치생젓 못 본 것 같은데....

  • 4. --
    '13.11.22 3:36 PM (218.238.xxx.159)

    고춧가루 많이 쓰고 멸치젓 많이 쓰고 거무틔틔한 느낌까지 들정도로 진하게

  • 5. 원글
    '13.11.22 3:38 PM (210.219.xxx.180)

    제 평생 먹어본 김치중에 양념이 가장 많이 되어 있는듯해요.
    그야말로 흠뻑...
    양념아끼지않고 먹는거에 굉장히 인심이 좋고 넉넉하게 사는 듯 보이네요.

  • 6. ㅇㅇ
    '13.11.22 3:41 PM (147.46.xxx.122)

    저희 친정은 서울 김치, 시댁은 전라도 김치인데요, 전라도 김치가 훨씬 양념이 걸죽하고 들어가는 게 다양해요. 맛도 진하고요. 서울 김치는 아삭 시원하고요. 둘다 맛있어요

  • 7. 원글
    '13.11.22 3:42 PM (210.219.xxx.180)

    아 맞아요. 깨도 듬뿍 뿌려져 있었어요.
    전 김치에 깨가 그렇게 많이 아낍없이 뿌려져 있는거 보고. 정말. 다시 생각들더라고요.
    음식에 정성이 남다르고 재료를 아끼지않는구나..

  • 8. ...........
    '13.11.22 3:42 PM (59.0.xxx.231)

    서울에 깨 안 뿌린다고요?

    저.....그쪽에서 14년 살다 이사왔는데....깨 뿌리던데요???

    아이 친구엄마가 서울토박이들이 있어서 집에 가서 밥도 먹고 친정에서 담근 김장김치도

    같이 먹고 했는데....깨 뿌렸어요.

    근데.....담그는 사람마다 김치가 다르더군요.

    서울식이라고 해서 무채 많이 넣는 사람은 넣고....많이 안 넣는 사람은 안 넣더라고요.

  • 9. ..
    '13.11.22 3:43 PM (118.221.xxx.32)

    전라도는 푹 절여서 오래 물 빼고,,,, 물기가 적고 젓갈을 많이 써요

  • 10. 해리
    '13.11.22 3:44 PM (116.34.xxx.21)

    전라도 시어머니께 여쭤보니 양념도 듬뿍, 들어가는 재료도 듬뿍, 젓갈도 듬뿍이지만
    일단 날씨가 따뜻하기 때문에 애초에 담글 때부터 짜게 절이고 물기를 바짝 뺀답니다.
    강원도로 시집가서 김치를 물에서 건져오는 거 보고 신기했다고(김치국물이 흥건하다는 얘기죠)

  • 11. 은현이
    '13.11.22 3:48 PM (124.216.xxx.79)

    저희 친정이 양념이 넘쳐나게 묻히는 김치 였어요.
    젓갈을 많이 써서 색은 별루 안이쁘고 어려서는 김치 먹기가 무서울 정도로 배추에 양념이 많이 묻어 있었거든요.
    근데 나이들어 먹어 보니 그게 곰삭은맛이 나더라구요.
    지금은 엄마가 돌아가셔서 김장김치 맛을 못 보지만 제사때 내려가서 오빠네 김치를 먹어보면
    확실히 달라요.
    남편이 깔끔한 반찬을 좋아 하는데 돼지고기에 싸먹는 김치는 지금도 장모님것이 최고라고 하는걸 보면
    당기는 맛이 있는가 봐요.
    예전에 엄마는 황석어젓,멸치젓을 주로 쓴것 같아요.

  • 12. 원글
    '13.11.22 3:51 PM (210.219.xxx.180)

    깨값이 비싸서 김장김치에 깨는 무리아닌가요?
    겉절이는 뿌리죠.

  • 13. ..
    '13.11.22 3:53 PM (59.150.xxx.83)

    전남하고도 아래녁쪽인데,,갈치속젓 막 들어간 할머니 김치 먹고 싶네요.
    젓갈이 얼마나 큰지 갈지도 않고 넣어서 작은 물고기 만나면 좀 놀래요~
    ㅎㅎ깨도 넣고 지렁이 같은거 ㅇ각? 이라고 하는데 그것도 들어가고 하는데..

  • 14. 점 두개님 ^^
    '13.11.22 4:00 PM (121.147.xxx.125)

    지렁이 아니고 청각이에요.

    청각이 들어가면 김치 맛을 좌우해요.^^

  • 15. .......
    '13.11.22 4:05 PM (59.0.xxx.231)

    지렁이....^^;;;

    청각.....서울에서도 팔던데요?ㅎㅎㅎ

    저는 전라도가 고향이지만 젓갈 많이 들어가는 김치 별로 안 좋아해요.

    시원한 종가집 김치가 입맛에 맞아요.ㅎㅎㅎ

  • 16. ,,,
    '13.11.22 4:16 PM (119.71.xxx.179)

    백화점에서 종갓집 시식해봤는데.. 생강맛 많이나더라구요.

  • 17. 전라도
    '13.11.22 4:32 PM (211.211.xxx.221)

    양념이. 쎄서. 입에 안맞더라구요
    젖갈도넘많이 넣고
    서울은 좀달아요
    서울 음식들이. 단 경향들이

  • 18. ..
    '13.11.22 5:17 PM (218.209.xxx.166)

    음... 제가 가장 크게 느낀 건,,
    젓갈이요. 젓갈냄새가 정말 푹 나더군요.
    그외에 금방 먹을 김치엔 깨도 뿌리고 밤도 채썰어서 넣습니다.
    (밤이 많이 나는 동네라서 밤을 깐 다음에 얇게 채썰어서 말린 다음에 깨소금처럼 사용합니다.)

  • 19. ..
    '13.11.22 5:19 PM (218.209.xxx.166)

    음.. 청각도 있네요. 처음엔 배추벌레인줄 알고 자꾸 건져냈습니다. 아하하
    그게 좀 사실 그냥 보기엔 징그럽잖아요..키톡인가 어디에 어느분 김장이야기보니 나오데요.
    잘게 채쳐야 안 징그럽다공..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1998 이마트 마누카꿀 괜찮을까요 2 2013/12/12 2,132
331997 '두개의 냉전, 박근혜정부가 끝내야' 美허핑턴포스트 세우실 2013/12/12 734
331996 지노베타딘 효과 좋은가요? 5 으앙 2013/12/12 5,311
331995 방학동안 공부할 수학문제집 추천해주세요 초1 2013/12/12 609
331994 몇년전 (국가지원전) 유치원 원비가 궁금해요 2 유치원원비궁.. 2013/12/12 765
331993 알레르기성비염약 관련 문의입니다. 9 비염 2013/12/12 2,887
331992 12월말까지 정치자금 기부하시려는 분들 그네 2013/12/12 626
331991 진부령 두번째 글 35 진실 2013/12/12 12,132
331990 오늘 내린 눈, 안 좋은 눈인가요? 1 2013/12/12 958
331989 쇼파 질문 2013/12/12 765
331988 오리알이 생겼어요ㅠ 6 오리 2013/12/12 1,057
331987 노인들은 암보다 골절이 더 무섭다--신발추천해주세요.. 5 오늘도 넘어.. 2013/12/12 2,004
331986 가죽롱부츠 얼마에 구입하셨나요? 8 28만원 2013/12/12 1,699
331985 남편의 폭언문제 상담드려요.. 16 ... 2013/12/12 5,243
331984 닭가슴살로 스테이크 할때요 소스는 뭐가 맛있을까요. 초딩입맛에.. 4 2013/12/12 1,096
331983 선풍기 높이가 낮은것하고 높은것하고 어떤게 낫나요? 2 1m20cm.. 2013/12/12 930
331982 겨울에 미국 유타주 여행갈만한가요? 5 조언 좀 주.. 2013/12/12 3,372
331981 배추 한포기..엄청짜게 절여졌는데..양념좀.. 4 ,,, 2013/12/12 711
331980 산업공학과 어때요? 5 정시맘 2013/12/12 1,947
331979 아이가 어린이집을 1년마다 옮겨야할것 같은데 적응할수 있을까요?.. 8 슬픈 엄마 2013/12/12 1,529
331978 오늘자 다음웹툰 뽀짜툰 2 좋다 2013/12/12 762
331977 스테이크 집에서 궈먹을때 어느 부위 주로 사세요? 7 ... 2013/12/12 1,758
331976 임신중인데 오늘운전 위험할까요 5 8개월 2013/12/12 1,220
331975 현대물 수위높은 로맨스 소설 추천해주세요. 6 달달 2013/12/12 8,150
331974 5세 여아. 어린이집 말고 가볍게 다닐 수 있는 곳 있을까요? .. 2 영이는 즐거.. 2013/12/12 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