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극에는 식민사관이 짙게 배어 있네요

푸른 조회수 : 1,091
작성일 : 2013-11-22 11:47:53

 TV사극 드라마, 사극 영화를 보고 자랐죠.

주로 다루는 시대는 고려가 원의 부마국이었을 무렵(고려시대 전체 중

 가장 암울한 시대였죠.그러나 그것은 고려의 케이스만은 아니었습니다.

 원은 유럽까지 쳐들어갔으며 한족의 나라 송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대륙에

 원나라를 세우죠. 요즘의 미국 버금가는 슈퍼 초강대국이었습니다.

 중국 대륙의 역사는 북방유목민족 몽골, 금, 청 등과

 남방 한족인 송, 명나라 등과의 투쟁의 역사였다고 합니다.

 원나라나 청나라는 엄밀히 이야기하면, 중국의 역사라기보다는 중국이 북방 이민족에게 지배당한

 식민지배의 역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공산화된 이래 중국 대륙에 존재했던

 모든 소수민족까지 다 중국의 역사라고 묶고 세뇌시키려는 작업을 계속 진행해 오고 있죠.)

 인데, 고려로서는 사실 선방한 셈입니다. 원이라는 초강대국 옆에서 나라가 완전히 망하지 않고

 부마국이라는 허울 아래 유지했으니까요.

 그러나 이런 사실을 국사시간에도 TV사극에도 아무도 얘기해 주지 않습니다.

 그냥 치욕의 역사라고만 가르칠 뿐....

 

 병자호란도 마찬가집니다. 병자호란이나 인조의 삼전도 굴욕도 물론 치욕이긴 하지만,

 당시 청나라 또한 새로 일어나는 막강한 세력이었죠. 명나라는 청나라에 멸망당해

 망국의 한을 품었지만 조선은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중국대륙에서 옆으로 비켜있었기 때문에

 중국대륙에서 수없이 일어나는 전란과 북방유목민족-한족과의 전쟁의 역사 중심에서

 그 영향을 비교적 가볍게 받았습니다.

 

 흔히 국사를 배울 때, 비참하고 수난의 역사인 것처럼 가르치는 풍조....

 TV사극에도 짙게 배인 이 풍조는 바로 식민사관의 영향이라고 저는 생각해요.

 저는 역사학과도 거리가 멀고 이과 전공이지만, 개인적으로 사극 드라마 볼 때마다 뭔가 이건 아니다

 싶은 생각이 자꾸 들어서 그냥 교양 역사 서적 약간 본 게 전부이긴 하지만요.

 우리 선조들은 거대한 중국대륙 옆에서 선방한 셈인데, 완전히 국권을 상실한 역사도 일제강점기 뿐이고요.

 세계사를 훑어보면, 유럽의 강대국들도 한번씩 식민지배당하지 않은 역사가 별로 없어요.

 일본이 식민지가 되지 않았던 이유는, 바다 건너 섬나라였고 유일하게 일본을 식민지로 삼을 수 있었던

 우리나라가 그냥 놔뒀기 때문입니다.

 

" 조상의 역사를 부정하고 조상을 낮추어 보라" 이 식민사관은 끈질기게도 살아남은 셈입니다.

 그리고 여전히 명맥을 유지하는 듯합니다.

IP : 58.237.xxx.37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22 2:41 PM (110.15.xxx.54)

    맞아요. 강대국에 둘러쌓여 지금까지 살아남은 우리나라인데 말이죠.
    조상님들께 감사드리고 우리도 잘 보존해서 넘겨주자고요. 그런데 현실은 나라가 이 꼴 흑흑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4994 김치가 나트륨함량땜에 몸에 나쁘다고 하는데 12 ... 2013/11/23 4,053
324993 걷기 13일차인데 3 걷기 2013/11/23 2,237
324992 정대만 삼천포 커플티? 5 ,,, 2013/11/23 2,336
324991 초등학교 6학년의 시라는데 대단하네요~ 9 유리컵 2013/11/23 2,709
324990 난방안해도 따뜻한 집도 문제에요.. 4 죠이 2013/11/23 5,049
324989 순대볶음할때순대요 2 순대 2013/11/23 2,374
324988 짱구는 못말려에서 짱구는 .. 2 hide 2013/11/23 2,093
324987 남편이 이혼요구하네요 20 휴~~~ 2013/11/23 18,415
324986 피겨스케이팅 랭킹전에서 박소연선수 1 ee 2013/11/23 2,128
324985 들기름 넣고 겉절이 하는법좀 알려주세요 5 어떻게 2013/11/23 2,060
324984 끌로에 롤리타렘피카 플리츠플리츠 중에서 1 향수 2013/11/23 1,761
324983 아이들 밥상 치워버렸습니다 4 .. 2013/11/23 3,462
324982 지갑물세탁해도될까요? 1 오로라 2013/11/23 1,556
324981 서울분들 지금 목 어떠세요? 4 미세먼지 2013/11/23 1,941
324980 공중파 뉴스들,,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을 종북으로 모네요 20 dd 2013/11/23 2,626
324979 후부 라는 메이커 어떤가요? 7 패딩 2013/11/23 1,963
324978 굳이 허수경씨가 남친 공개를 할 이유가 있을까요? 10 굳이 2013/11/23 6,516
324977 아동학대 방지법 강화에 지지 서명 해주세요. 3 ... 2013/11/23 1,286
324976 스타킹 모자김치 김치 2013/11/23 2,007
324975 24살인데요.. 돈이 저를 너무 힘들게해요.. 32 오늘도화이팅.. 2013/11/23 11,883
324974 만두 만들려고 하는데 팁 좀주세요~ 10 내 만두 2013/11/23 2,472
324973 지금 무도보는데 기가 막히네요 16 2013/11/23 15,017
324972 제주도식 돼지고기구이래요~ 2 ,,, 2013/11/23 2,484
324971 예상지출목록을 정하고 있는데.. 생활비 내역에서 더 추가할만한게.. 1 생활비 2013/11/23 1,618
324970 아이보험 어느정도 드셨나요? 2 보험 2013/11/23 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