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피시방에서 사는 조카

답답 조회수 : 2,921
작성일 : 2013-11-22 05:11:06
대학 일학년생인 조카가 그저 피시방에서 살아
친정언니의 근심이 깊습니다
특례로 인서울 대학을 다니는 조카는
물론 공부해 온게 달라 힘들겠죠
중국이나 그런 나라와는 달리 언니는 오로지 인강으로
조카 공부시켜 공대를 넣었는데

중간고사기간에도 피시방에서 살았나 봅니다
언니는 아직 외국에 있어요

답답하네요
오로지 피시방 인생으로만 사는 서울촌놈이라고
언니가 한탄을 합니다

아마 언니가 국내 있다면 좀 달랐으려나

특례로 대학 보내신 자녀를 두신 분
조언 부탁드려요
IP : 89.76.xxx.3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13.11.22 5:16 AM (89.76.xxx.32)

    1학기는 거진 총 맞고 제적이래요
    제가 보기에는 털털하고 착해보여요
    근데 이제껏 언니 노력으로 만들어진 아이라고 해야 하나
    본인은 별 애살도 없고 언니 눈치를 많이 보는 듯 해요
    내성적인 편이고
    언니 욕심을 다 채울려고만 한다고 되는 건 아니지만
    일면 무기력해 보이는 조카 때문에
    언니가 미칠려고 합니다
    뚱하고 답답해서 돌겠다네요

  • 2. 원글
    '13.11.22 5:19 AM (89.76.xxx.32)

    아무생각 없고 그저 컴컴한 피시방에서만 있는 조카를 어쩌나요?
    군대 다녀와서 정신차린다는 말만 한데요
    빵구난 성적은 군대만 다녀오면 저절로 채워지나요?

  • 3. ....
    '13.11.22 5:50 AM (175.223.xxx.141)

    어쩌긴요 피씨방 출입비를 끊는수밖에...

  • 4. 원글
    '13.11.22 5:51 AM (89.76.xxx.32)

    끊어봤는데 피골이 상접해 있드랍니나
    편의점에서 삼각ㄱ

  • 5. 원글
    '13.11.22 5:52 AM (89.76.xxx.32)

    삼각김밥만 사 먹으면서 연명하고 살고 있더랍니다

    특례로 자녀 키우신 분
    정말 조언부탁드려요

  • 6.
    '13.11.22 6:08 AM (222.238.xxx.62)

    학교생활을 적응하지못해서 밖으로 돌고있는듯합니다 공부실력이나 교우관계가 원만하지않아 피씨방이라는 돌파구로 사는듯하니 동생분이라도 자주만나관심을 가져봐주세요 군대간다고 돌파구가된다는 생각은 아니라고봅니다 조카가 왜저리되었는지 대화가 필요할듯합니다

  • 7. 특례
    '13.11.22 6:28 AM (99.96.xxx.243)

    저 대학다닐때 특례로 입학했던 아이 하나는 중간에 사라지더군요. 친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는데, 아마 적응 못하고 학교 그만둔 것으로 알아요.

  • 8. ...
    '13.11.22 6:31 AM (211.201.xxx.156)

    조카는 지금 pc방에서 마음맞는 게임유저들을 만나 함께 어울려 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데 이러면 빠져나오기 힘듭니다. 게임은 단순히 컴퓨터와 나의 교감이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인간관계가 더 커요.
    게임에 목 매게 되는 이유는 대부분 현실이 그만큼 즐겁지 못해서예요.
    현실의 자신과 달리 게임 속 초보들에겐 고수로 뽐내기도 하고, 칭찬받기도하고, 어쨋든 만족스럽지 못한 현실을 게임이 덮어주는거죠. 그런데 조카가 이대로 현실을 외면하고 재적이라도 당하게 되면 더더욱 심해져요. 도피하는거지요. 근본문제를 해결하려면 현실에 대한 만족, 기대감이 늘고 스트레스가 줄어야 되요.
    다행히 아직 어리고 대학교는 이미 입학했으니 어느정도 안정은 확보 됐네요. 군대다녀와서 관둔다니 본인생각엔 지금 중독이 아니라고 여기는거 같은데 학교학점이 저 상태인것부터가 일단 중독 맞습니다;

    우선은 본인이 자기 상태를 파악하는것부터가 현실로 돌아오는 시작이 될거 같네요. 자기 파악이 될때 조절도 시작되는거라 혼내는게 아닌 차분한 대화로 자기현실을 깨닫고 만약 현재에 어떤 극복못할 두려움이나 피하고 싶은게 있다면 그걸 게임이 아닌ㄷ ㅏ른 방법으로 해소할 방법을 찾아야겠죠.
    어쨋든 군대다녀와서 정신차리겠다. 이것또한 하나의 회피예요.

  • 9. ...
    '13.11.22 6:34 AM (211.201.xxx.156)

    조카가 학교생활이 적응이 잘 안됐나봐요. 친구를 만나고 놀러다니는것도 아니고 학교도 안나가고 게임만 한다니 안타깝네요. 군대를 다녀오면 해결될 일이 아니라 현재에 만족못하는 이유를 찾아서 해결해야 할거예요.

  • 10. ㅕㅑ
    '13.11.22 7:33 AM (58.235.xxx.109)

    아는집 아들이 미국에서 고교 마치고 대학 진학해서 성적 엉망이라 부모가 귀국을 시켜 군대 최고 빡센 곳에서 근무했어요.
    전역하고 한국 대학에 특례입학했는데 결국 다시 그만두고 집에서 논대요.
    원글님 조카도 비슷한 상황이라 느껴지는데 제가 보기엔 군대는 절대 답이 아닙니다.
    이미 게임중독수준이니 의사의 힘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중독치료쪽으로 알아보시고 언니도 귀국해서 아이 건사를 하셔야할 것 같아요

  • 11. **
    '13.11.22 7:34 AM (121.145.xxx.85)

    여러유형의 특례입학이 있겠지만 ksy 대학 특례입학으로 들어가서 적응 못하는 애들 많이 봤어요
    저는 지방 소도시에 살다 보니 읍면 지역의 애들 수시 특례로 입학을 하긴 합니다만 들어가서 일반 입학생과 공부의 레벨이 달라서 너무 힘들어해요. 심지어 그만두고 본인 실력에 맞는 학교로 다시 가는 애도 있어요
    시골고등학교에서 1등해도 서울 강남에서 빡시게 공부한 애들과 공부하는 방법과 자세도 다르고 영어강의로 이루어지는 수업을 못 따라가서 엎드려 자는 애들도 많다고 들었어요. 수준도 안되는 애들 학교에 입학만 되면 다 되는줄 아는데 실력이 없으면 들어가서도 공부에 흥미도 없고 뭔 말을 하는지 강의시간 자체가 고역입니다. 그러다 보니 점수는 바닥이고..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어떻게 하면 좋을지 냉정하게 판단하셔야 될듯합니다.

  • 12. %%
    '13.11.22 9:11 AM (112.165.xxx.231)

    악순환의 고리네요.
    다른 누군가가 나서서 해결하는것이 아니라서 본인이 결심하고 해야되는거라서 지켜보기에 힘들수가 있죠.
    맞는지는 몰라두 그 조카의 입장에서는 집에 들어가면 밥 같이 먹을 사람도 없고, 말 할 사람도 없어서
    혼자 있으면 심심하니 피시방 가게되고 중독되서 결국 학업을 등한시 한거 같이 보이기도 하네요.
    대학교육에 못 따라가시면 서울쪽이시라니 학원을 보내는 것도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우리나라 교육은 대학교육까지도 학원 사교육이 필요하더라구요.
    그 해당과에 해당하는 자격증이 있으면(공대라셔서) 그 안에서 나눠지는 과목들을 대학에서 배우거든요
    대학교수들은 학문적으로 깊게 들어가서 이해어렵고, 학원에서는 이해가도록 기초적으로 가르치니 도움이 되요.
    그 해당 자격증반을 들으시거나 아니면
    여자 많다면서 토익/토플 등 어학학원에 보내시거나 공무원 학원쪽도 괜찮습니다.
    제가 생각할때 게임중독을 이기는 방법은 게임보다 더 유익한걸 하거나
    게임에 접속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학원이라고 말했는데.. 알바나 운동, 등산, 연애, 일요일엔 교회 등 기타 여러가지 사회생활도 괜찮습니다.
    앉아서 있는거 보다 서서 햇빛보면서 돌아다니는게 정신건강에 더 좋더라구요.
    그쪽에서 열심히 하는 누군가를 보면서 이야기 하고 자극받으면서 얻어지는 것도 있구요.
    20대는 금방간다고 ..시간은 정말 빨리가죠. 뭐라도 하지 않으면 30대도 이러고 있을 것이고...
    다만 한번에 새사람이 되기는 힘들어요.
    너무 많은 기대 하지 마시고 조금씩 차례차례로 변화도록 유도하세요.
    (나중엔 지가 잘 나서 그렇게 된듯이 이야기 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5250 양송이 버섯 씻을때 미끌거려요. 띠로리 2013/11/24 1,982
325249 결혼1년차인데ㅜ 4 ..l..... 2013/11/24 2,210
325248 거위털 함량과 오리털 함량 1 급질 2013/11/24 2,488
325247 제육볶음 할때 8 요리 초보 .. 2013/11/24 2,013
325246 도둑이 제발저린 새누리, 사제단 사퇴요구에 호들갑 7 손전등 2013/11/24 1,808
325245 매장이름.... 가구 2013/11/24 1,164
325244 눈밑 쳐짐 1 ,,, 2013/11/24 2,165
325243 이 브랜드 혹시 아시나요? 가구 2013/11/24 1,426
325242 일산 집 매매 괜찮을까요? 24 skylar.. 2013/11/24 5,153
325241 두피 덜 가렵게 하는 샴푸? 좀 추천 부탁 드려요 8 ... 2013/11/24 2,509
325240 지역난방일때 아끼는 방법 문의드려요~~~ 5 겨울비 2013/11/24 2,521
325239 고3 알바가겠다는데 8 딸아이 2013/11/24 1,963
325238 역시 명동성당이네요! 4 참맛 2013/11/24 3,127
325237 멸치 다시마 육수 낼 때요... 1 육수내기 2013/11/24 1,545
325236 알타리 김치를 어렵게 샀는데 3 ..... 2013/11/24 1,721
325235 저희 개줄에 걸려 지나가던 할아버지가 넘어졌습니다...어떻게 대.. 88 믹스견 2013/11/24 16,815
325234 이런 목걸이 사려면 뭐라고 검색해야 하나요?? 3 흰둥이 2013/11/24 1,947
325233 감기약문의 드려요 2 Drim 2013/11/24 976
325232 고구마 빠쓰? 맛탕? 또 실패... 좀 알려주세요. 7 또 실패 2013/11/24 2,483
325231 다음정권 못보게한 문건이 노 6700건. 이 0건. 23 떳떳한MB 2013/11/24 1,574
325230 최상류층 빼고 국민모두 빚 늘어...'빈곤층 25% 폭증' 7 ㅇㅇ 2013/11/24 2,482
325229 빈이 너무 못났다;; 7 .. 2013/11/24 5,406
325228 저에게 맞는 파운데이션 추천부탁드려요ㅠ 4 고민고민 2013/11/24 1,725
325227 남자들인 재력 있으면 대부분 바람 피우나요? 22 ,,, 2013/11/24 6,849
325226 사과쨈 대실패... 어쩌면 좋을까요? 9 사과쨈 2013/11/24 2,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