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대 vs 미대, 당연히 전자가 비전있나요??

ㅎㅎ 조회수 : 1,981
작성일 : 2013-11-19 19:00:55
고민상담하려 올려봅니다..

대학교 2학년생이고, 컴퓨터과학 쪽 전공할것같습니다
고등학교까지는 한국에서 공부하고 대학은 꽤 괜찮은 미국 공대로 왔어요. 아이비리그 중하나

공부에는.. 솔직히 재능있는 편이에요
자랑하는것은 절대 아니고, 중1 첫시험때 전교1등을 하는바람에
저도 제주위사람들도 제 길은 무조건 공부쪽인줄 알고 그외의 경험을 별로 해본적이 없어요. 
중딩때 공부열심히 해서 과고 갔구요

초등학교때까지는 미술학원도 다녔었는데 
중학교 올라와서 공부를 생각보다 잘하니까 부모님께서도 미술은 그만두게 하셨구요

여튼 미국으로 대학을 와서 이것저것 경험을 하다 보니, 예술(디자인이나 미술) 쪽에 다시 흥미가 생기고 재능도 있는것 같아요
이과쪽 머리이고 이쪽으로 하면 평타이상은 칠것같은데..자꾸 예술쪽으로 확 틀어버리고 싶은 욕구가 생겨서
어느쪽에도 집중을 못하겠어요. 숙제나 과제같은건 선 지키면서 해가고 있는데
진짜 하고싶은게 뭔지 갈피를 못잡는 상황에서 시간이 자꾸 흐르는게 초조하네요

사주에도 "학문과 예술에 소질이 있음" 이렇게 나오는데.. 정말 무책임한 사주풀이인듯합니다

패션쇼 영상같은거 보고 있으면 막 가슴이 터질듯이 두근두근거리고 나도 저정도는 할수 있을것같다는 생각이 들어요(물론 허상이겠지만..) 그림그리고 이럴때는 정말 시간이 후딱 가있어요
맞아요 솔직히 하고싶은건 이쪽이고 누가 지금시작해도 늦지 않았어! 넌 예술을 해! 이러면 좋을것같은데

지금까지 공부한것도 아깝구요. 컴퓨터쪽 계속 공부하면 탄탄대로 일텐데 이걸 포기하는건 바보같은 일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엄마랑 굉장히 친한 편인데, 엄마 말씀은 당장은 알쏭달쏭하고 틀린것같아도 결국 시간지나면 맞더라구요

엄마께선 저는 힘도 없고 게으르고 머리 하나만 좋으니까 그냥 공부하는게 제일 좋을거라시네요 ㅋㅋ
저도 그말에 공감도 어느정도 가고, 지금 공부가 힘들고 잘하는 애들이 너무 많으니까 현실 도피하려는 심리가 아닐까,
아마 그게 맞을것같다 싶기도해요

근데 또 저랑 같이 공대 공부하는 애들 살펴보면 저같은 스타일은 별로 없는것같아요
여기 제 공대 친구들은 뭐랄까 굉장히 성격부터 평화롭다고 해야되나.. 믿음직스런 이미지에 매사 성실합니다
딱보기에도 똑똑해 보인달까요

전 집중력도 부족하구요, 좀 덤벙대기도하고, 끈기랑 인내심도 굉장히 부족해요.
보기에 좀 멍청해 보이기도 하고요. 성실이랑은 좀 거리가 먼데. 공상/허상 많은 편이고..
성적도 상위권이긴 하지만 최상위권은 아닙니다. 저도 IQ 150넘지만 공부안해도 성적 잘나오는, 소위 말하는 천재들은
저보다 훨씬 더 똑똑한 아이들이에요. 
프로그램 짜는것도 잘하는 아이들이 차곡차곡 프로그램을 짜는것같으면
저는 아맞다 며칠전에 본것중에 비슷한게 있었는데 이러면서 그거 찾아서 약간 변형시켜서 잔머리스럽게 때우는..ㅠㅠ
학년 올라가면 이러면 힘들어질것 알기때문에 정공법으로 공부하려고 요새 노력중이긴 합니다 

이런거 보면 또 제가 공대스탈이 아닌데 저 스스로 난 똑똑하니까 공대생이라고 믿고 싶어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ㅠㅠㅠ 

저처럼 공학 vs 디자인쪽 사이에서 고민해보신적 있나요?
공학이나 디자인쪽 재능의 척도는 어떻게 하면 객관적으로 잘평가할수 있을까요

재능이 이정도 안되면 그만해라~ 이렇게 말해주시는 분이 있어서 아, 난 디자인쪽은 안되겠다
이렇게 한쪽을 얼른 포기를 해버리는게 가장 좋을것같아요

집중력이 굉장히 부족하다고 썼는데, 제 갈길에 컴퓨터쪽 하나 뿐이라는 목표가 딱 생기면 집중력도 더 늘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P : 128.42.xxx.13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음...
    '13.11.19 7:11 PM (203.231.xxx.40)

    공학 중 UX 혹은 HCI같은 분야는 디자인과 큰 차이가 없어요.

    저는 현재 원글님의 경우라면 내가 관심 있는 것이 디자인 중 겉모습을 예쁘게 바꾸는 styling 영역에 속한건지. 아니면, 사물의 작동 원리나 서비스 등의 근본적인 문제점 등을 관찰하고 개선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에 관심있고 잘하는지 스스로에 대해 알아볼 것 같네요.

    그리고...개인적으로는, 원글님 스펙 고려시엔 일단 공대는 마치라고 하고 싶어요. ㅎㅎ
    공대 학부 마치고 디자인 석사 하셔도 되고, 경우에 따라 더 큰 메리트가 될 수도 있어요.

    이상 한국 H미대 디자인과 나와 현업 10년차쯤 된 아줌마

  • 2. Apple
    '13.11.19 7:37 PM (175.223.xxx.20)

    매일 그냥 보기만 했는데 로그인했어요 ㅎ
    비슷한 상황에서 공대 선택했었어요 지금 사회생활 5년차 되고, 지금 사는데 크게 문제없지만 미술할걸 이런생각 많이해요. 그때 공대가면서 생각한건 미술은 나중에라도 시작할 수 있으니까! 이거였는데, 아니예요.ㅎ 한번 공대쪽으로 사회생활 시작하니 방향 틀기가 어려워요~ 둘다 좋은 길이니까 지금 재밌는걸 선택하는게 나중에 후회없는 선택입니다.

  • 3. 이년전
    '13.11.19 8:14 PM (173.164.xxx.237)

    내 아이를 보는 것 같네요.
    어렸을때부터 꿈이 확고한 아이였는데 막상 대학에 들어가더니 한동안 고개를 외로 꼬고 다니더니 하루는 심각한 표정으로 갑자기 음악을 하고싶대요.
    자긴 이 길이 아닌 것 같대요.
    이십년 가까이 방황 한번 안하고 오로지 한 길로 정진하던 아이가 이제와서 그것도 소위 춥고 배고플지도 모를 음악이라니...
    솔직히 당황은 했는데 아이에게 반대는 안하고 섣불리 결정하지말고 일단 메이저든 마이너든 해볼 것을 권유했어요.
    2년을 더블메이저로 하더니 아무래도 음악이 내 길은 아닌 것 같다며 다시 어렸을 때부터의 꿈인 md phd를 향해 열심히 살고 있어요.
    전에 학교설명회에 온 아이비리그대학입학담당자한테 어느 학부모가 전공바꾸는거에 대한 질문을 했어요.
    그 교수가 질문한 학부모한테 당신은 십대때 뭘 할지 정했었나? 아니 최소한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는 알고 있었나 되묻더군요.
    미국 대학에서는 전공을 두세번 바꾸는거 당연하게 생각한대요.
    십대의 어린 아이가 자기가 뭘 할지, 무슨 전공을 할지 어떻게 단번에 정할 수 있냬요.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마세요.
    다음학기까지 결론내야겠다 맘 먹지 마시고 새로운 공부에 대한 탐구를 한다고 생각하세요.
    그러다보면 길이 보이고 열려요.
    더블메이저하다 마이너로 돌려도 되고, pnp로 돌려도 되고, 심지어 졸업이 1,2년 늦어져도 괜찮아요.
    인생에서 일이년 학교생활 더 하는거 낙오되는거 아니예요.
    허송세월보내며 시간을 흘려보내면서 졸업이 늦어지면 기막힌 거지만 그렇게 이것 저것 시도해보고 심지어 유턴을 해도 그게 다 쓸데없는게 아니고 열심히 살다 늦어진 졸업은 나중에 다 쓸모있는 자산이 되요.
    그게 미국대학교육의 가장 큰 매력인 것 같아요.
    선택할 수 있어 괴롭기도 하겠지만 무언가를 선택해서 만들어 가는 때인 청춘이 너무 부럽네요.

  • 4. 태양
    '13.11.19 8:56 PM (124.53.xxx.95)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은 미국 디자인 스쿨 빅3중 하나라지요.(사실 파슨스와 함께 최고 자리를 다투지요)
    여기 미대 총장이 공대 출신이아는걸 아시나요^^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591668
    다음은 존 마에다 총장과의 짤막한 인터뷰예요.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342794
    참고하세요*^^*

  • 5. 와 저도
    '13.11.20 12:16 PM (124.51.xxx.83)

    아이에게보여줘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8471 광교사시는분 새빛초와 이의초 비교부탁드려요 3 궁금 2013/12/03 2,208
328470 청와대는 처벌 대상 1 ... 2013/12/03 567
328469 판교와 일산 쓰레기 종량제 봉투 다르나요? 3 별헤는밤 2013/12/03 872
328468 7년된 산타페 타이어 100만원 넘게주고 교체한지~ 16 마누카 2013/12/03 2,636
328467 선물 정보 부탁드립니다. .... 2013/12/03 428
328466 포크 부가티 & 나폴레옹 어떤게 더 이쁜가요? 1 . 2013/12/03 1,682
328465 추운 겨울.. 열악한 동물 보호소에 사료지원 부탁드립니다 8 포로리2 2013/12/03 1,032
328464 동안도 아닌데 동안으로 다니는 여자 51 어떠세요 2013/12/03 14,884
328463 새우맛 냉동 동그랑땡이 맛이 너무 없어요... 어떻게 하면 맛있.. 5 런천미트 2013/12/03 838
328462 매매 말고 전세둘경우 4 아파트 2013/12/03 772
328461 4대보험과 2대보험 2 일자리 2013/12/03 6,294
328460 휴대폰 해외로밍시 문자도 수신인 부담인가요 ?? 7 검색해보다가.. 2013/12/03 1,858
328459 "<조선일보> 기자가 교장 만난 건 사실&q.. 1 .... 2013/12/03 1,153
328458 평범한 중1이 고1 영어모의고사 보면.. 3 중학생맘 2013/12/03 1,268
328457 의료민영화와 민간보험으로 잘 사는 나라 미국의 병원비 2 참맛 2013/12/03 1,144
328456 싼타페 구입 예정인 분들 참고하세요 3 싼타페 2013/12/03 1,757
328455 아이허브 매달 무료배송이 있나요? 2 새벽2시 2013/12/03 1,152
328454 보청기 1 2013/12/03 553
328453 딴지총수 김어준의 인생 매뉴얼, 삶을 장악하라 5 딴지총수 2013/12/03 2,396
328452 보육교사 자격증따서 어린이집 원장하는 것, 쉬운길인지 아닌지.... 4 /// 2013/12/03 2,980
328451 올해 많이 춥다고 했나요? 8 아직12월초.. 2013/12/03 2,011
328450 방금 잠깐 나갔다왔는데도 목이 칼칼해요.. ㅠㅠ 2013/12/03 570
328449 그래도 결혼생활이 순탄한 데 가장 큰 요인은 경제적 풍요가 아닐.. 32 부부 2013/12/03 9,331
328448 새집증후군 청소 주부 2013/12/03 1,344
328447 맛있고 손쉽게 김치 담그는법 38 아즈라 2013/12/03 3,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