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른 넘어서 대학원 진학 어떻게 생각하세요?

ㅇㅇ 조회수 : 4,018
작성일 : 2013-11-10 04:53:09
삽십대 초반 여성입니다
대학원을 다니고 싶은데 전공은 제가 학부때 배웠던 것의 연장선상이고 현재 직업과도 연관이 있으나 지극히 이론적인 부분에 있어서의 연관성이지 실무와는 별 상관이 없어요 아주 학문적인 공부를 하게 될 거 같아요

제가 현재 하고 있는 일에 가방끈은 별 영향이 없습니다 대학원을 진학한다면 그건 순전히 자기만족을 위한 거에요

만약 대학원을 진학하게 된다면 선택지는 두가지 입니다

하나는 야간대학원, 하나는 풀타임
야간이라면 일과 병행 가능하나 석사학위를 따는데 3년이 걸리고 육체적으로 매우 힘들테고 풀타임은 2년이 걸립니다

직장에서는 학위취득을 위한 2년간의 무급휴직은 인정해준다고 해요 실제로 이용하는 선배들도 많이 봤구요

제 궁극적인 목표는 박사학위까지 따는 것인데요 풀타임으로 석사따고 곧바로 박사까지 가는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힘들겠죠? 그렇다면 야간으로 석사따고 무급휴직제도는 박사때 이용해야 하는건지 어쩐건지... 근데 결혼을 약속한 남자친구가 있는데 이 시점에 결혼을 하면서 그 휴직을 써서 대학원도 다니고 살림도 좀 하는 식으로 이 시점에 이용하는게 좋을런지 잘 모르겠어요. 

솔직히 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교수직이라던지 혹은 지금 직장에서의 아주 높은 위치까지의 승진을 기대하는 마음이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말그대로 가능성이 희박한지라 일단은 정말 제 개인적인 만족을 위해서에요.

남자친구와의 결혼을 생각하면 계속 일해야 할 거 같고...나 대학원 가도 되겠냐고 물어보면 네 마음대로 하랍니다 아마 실제로도 아무래도 괜찮다고 생각할거에요. 좋게 말하면 절 전적으로 믿고 긍정적인 성격이고 나쁘게 말하면 지나치게 긍정적인;; 성격의 친구라서요. 근데 제 마음은 그렇게 가볍지가 못하네요. 근데 한편으론 어차피 박사학위까지 따고픈 마음이 있으면 마흔전에 끝내려면 적어도 이시점엔 시작해야 할 거 같고...

뭐가 보장된 학위도 아니고 내 욕구를 위해 이래도 되는 건가... 돈많은 집 딸내미처럼 공부만 해도 되는 형편도 아닌데 내가 철이 없는 건가... 아리까리 합니다

박사과정 늦게까지 하시는 분들 봐도 기간이 길어지는 거지 석사 시작은 20대때 하는 분들이 많던데 서른 넘어서 석사 시작하신 분들은 어떤 동기와 근성으로 시작하고, 또 버티실 수 있었나요?

IP : 162.210.xxx.13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미국
    '13.11.10 5:08 AM (23.30.xxx.35)

    미국대학원으로가서 학교에서 월급 타면서 석박사 마치는 것은 고려해 보셨는지요.

  • 2. ..
    '13.11.10 5:53 AM (59.20.xxx.64) - 삭제된댓글

    전 30대 초반에 대학원 들어갔는데 아마 미혼이어서 가능했던것 같아요. 회사에서 학위 취득을 위해 휴직인정해주는 그 기간에 결혼까지 하시면 공부에 살림에 힘들지않으시겠어요? 직장다니면서 승진위해 대학원가는 분 봤는데요 학위 논문때문에 힘들어하더라구요.
    전 제가 하고싶은 공부여서 맘다지며 다녔네요.

  • 3. 전공하고 싶은
    '13.11.10 8:29 AM (220.120.xxx.114)

    분야가 어디인지는 모르겠지만 들어가시고 싶은 연구실 교수님이나 선배찾아가서 물어보세요.
    석사는 어찌어찌하지만 박사는 꽤 많은 노력이 필요해요. 박사 넘쳐난다고 하지만 지인이 공부하는걸 옆에서 지켜보고 박사학위 못받은 수료자들 많은 것도 알았고요. 중도탈락자 꽤 많습니다.
    그리고 공부하실 마음이면 결혼은 안하시는게 좋아요.결혼하고 나서 박사학위 거치다 애낳고 이것도 저것도 어중간하게 하다가 결국 집으로 돌아가는 여자선배들 안타깝고 여럿 봤습니다. 어쩌겠어요. 본인이 행복하다는데,,..

  • 4. 30대 초반이면
    '13.11.10 8:42 AM (221.151.xxx.13)

    뭔든지 하셔도 됩니다.
    20대 초반이나 다르지 않습니다. 용기를 내셔요.
    100세 시대에 아직도 살 날이 70년이나 남았어요.
    인생의 반도 아직 시작되지 않았는데 뭘 망설이십니까.

  • 5.
    '13.11.10 11:20 AM (124.55.xxx.130)

    저와 상황이 비슷한 거 같아 조언해드리려 로긴했어요..
    전 학부졸업하고 바로 공공기관에 취직되어서 다니고 결혼도 하고 첫아이 낳고 힘들게 회사다니다가 삼십중반에 석사 들어갔어요,,직장과 전공이 어느정도 관련성있었구요..석사논문이 좋은 평 받았고 풀타임잡인거 알면서도 교수님이 박사과정 권하셨어요...입학하자 마자 둘째아이가 생겨서 무척 힘들었지만 죽을 고생하면서 박사입학 4년만에 학위취득했어요..물론 회사를 다니면서(수강하기 위해서 일주일에 두번정도 반나절 휴가로 처리하고 나갔고 모자란 시간은 회사에서 어느정도 용인해주었어요)수료하고 논자시 바로 보고 학위취득전 소논문 3편을 학진등재 논문지에 싣고,,,,마지막 논문쓰는 학기에는 추석연휴 포함 빨간날에도 쉰적이 없이 독하게 논문썼어요...사실 겨우 박사학위 받은거죠...
    재미난게 저보다 훨씬 젊고 공부만 하는 풀타임 학생들인 후배동기들은 모두 디펜스 못하고 논문 저보다 몇년뒤에 쓰더군요..
    물론 전 학부와 석박사 다 같은 대학이고 교수님들이 직장다니는거 조금 감안도 해주신거 있지만 정말 힘든 과정이었어요..
    학교는 SKY중 하나에요...
    돌이켜보니 아이 둘에 힘든 직장생활에 극한의 상황이 저에게 더욱 빨리 마쳐야 한다는 힘을 준거같고 전력질주 한거 같아요...
    사실 직장다니면 학위는 큰 도움이 안됩니다..다만 어느정도 위치에 오르면 내 만족에 외부 위원회 등에서 위원으로 참가하거나 강의하거나 발제할 때 수당 등에서 박사 학위를 좀 인정해주는 정도..
    그리고 제 모교에서 야간에 강의도 하거나 하는 거...
    명함에 PhD가 적혀있으면 받는 사람들이 좀 대우해준단 느낌 받는 정도....
    그냥 직장다니면서 틈틈히 논문도 준비해서 내년부터는 지방대라도 교수자리에 도전해 볼까 생각중입니다...
    몇몇 젊은 교수들과 전공책도 한두권 쓰고 있구요...
    아..저는 연배가 좀 있다보니 둘째 낳으면서부터는 입주아줌마랑 지금까지 쭉 살고 있어요...육아부분은 그래서 제가 좀 면제되는 부분이 있었고 금전적인 부분은 남편이 전문직이고 저도 꽤 봉급을 받는 편에 집도 일찌감치 장만하고 빚도 없이 여유가 있었다는 점은 있어요..즉 공부와 직장일 외엔 큰 부담이 없는 상태였고 휴일에 회사나 학교 연구실에 갈 수 있는 여건이 되었단 점이지요(도우미 아줌마에게 엑스트라로 돈 더 주고 필요한 주말에 도와주시게 했어요..).
    일단 삼십초반이면 뭐라도 다시 할 수 있는 나이인데 아이문제가 가장 큰 변수인데 아직 아이도 없고 결혼전이라면 일단 학교 들어가서 석사부터 마쳐보고 박사과정은 교수님과 그때 가서 의논하세요..

  • 6. 희망
    '13.11.10 1:45 PM (175.223.xxx.68)

    하고픈 일이 있다면 지금 시작하세요
    중년이후 참담하게 후회돼요
    하다가 실패하더라도 남는거 있어요
    그리고 중년이후 강의나 컨설팅할수있는
    일이면 더 좋아요 열심히 하다보면
    교수도 되던걸요 그리고 직업경력있으면
    전문강사등 기회있고 강사채용해서 직업훈련등 직원 연수 사업체도 운영할수있어요
    심리학쪽 관심 가져보세요

  • 7. 솔직히
    '13.11.10 3:29 PM (1.126.xxx.149)

    저 34고, 남친이 32인데, 내년에 결혼이고요
    올해 남친은 대학원 진학했고 내년에 아기낳고 몇년간 전업할 건데
    대학원 생각말라 하내요.
    저도 자격증 한두개 하지만 기억력 모자라는 부분도 많이 생기더라구요.금전적 여유가 되면 그냥 야간하시고요
    아기 계획도 한번 생각해 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5676 생방송-진성준 의원 특별인터뷰-사이버사령부 조직적대선개입 증거 lowsim.. 2013/11/25 1,040
325675 카톡에 있었던 친구가 없어졌다면.. 5 카스 2013/11/25 3,073
325674 맥주 마시고 있어요 1 행보해요 2013/11/25 922
325673 집에서 10~15분거리 차타고 출퇴근하세요? 10 궁금 2013/11/25 3,391
325672 냉장고에 2주넘게 있었던 무..먹어도 될까요? 2 ... 2013/11/25 1,494
325671 자외선 차단제 추천 부탁드려요 1 ... 2013/11/25 1,115
325670 중국여자들이 아시아에서 제일 예쁘다? 9   2013/11/25 2,804
325669 아이오페 vs 이자녹스 컴앞대기 2013/11/25 2,129
325668 최고학부 나온 올케.. 53 ... 2013/11/25 24,993
325667 노래방가서 노래를 부를때 질문입니다. 1 .... 2013/11/25 1,049
325666 제가가을을 타는건가요?늙은건가요? 아니면 바람? 2 전초증상 2013/11/25 1,249
325665 학원비할인카드 추천해주세요 6 애플이야기 2013/11/25 2,764
325664 초등아이가 들으면 웃긴얘기 공유해요 12 웃긴얘기 2013/11/25 13,451
325663 NLL, 남재준의 이적행위 2 ..... 2013/11/25 1,318
325662 최근 며칠 코트 논쟁을 보니까 3 ... 2013/11/25 1,005
325661 내일 모직코트 입으면 얼어죽을까요? 9 어쩌지~-_.. 2013/11/25 2,409
325660 교육청 일반직, 심층면접만 잘보면 승진? 같은 출신지.. 2013/11/25 1,069
325659 증권사 1 인턴 2013/11/25 1,067
325658 김치 새우젓vs멸치젓 어떤게 나을까요?? 9 ㅁㅁㅁ 2013/11/25 1,829
325657 요즘 두꺼운 패딩 입고 다니세요? 11 ?? 2013/11/25 3,366
325656 단감 보관 장소 2 알려주세요 2013/11/25 1,490
325655 분당 쪽 출장 마사지 소개 부탁드려요 조카 2013/11/25 1,776
325654 아이허브 질문좀 드려요 11 질문 2013/11/25 2,640
325653 길 고양이 밥 챙겨주시는 분 계시나요? 8 읭읭이 2013/11/25 1,026
325652 원불교도 시국토론회 개최...“‘대통령 사퇴’ 천주교에 연대할 .. 15 JJJ 2013/11/25 2,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