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나를 버린 생부가 연락해온다면.

-- 조회수 : 2,151
작성일 : 2013-11-07 23:45:25

아침에 아이를 데려다 주는데, 아이가 그러더군요.

외할아버지 얼굴 한번 보고싶어.

아이한테는 사랑해줄 수 있을것 같은 외할아버지겠지만.

제게는. 제가 여섯살 때. 저와 엄마를 버린 몹쓸인간이예요.

10년 전 쯤에 (지금은 제가 사십줄입니다)엄마 돌아가셨을 때 동사무소에서 찾은 주소지로 전보도 띄웠건만, 연락 없었죠.

이제 어지간히 늙어서. 그간 버리고 홀대 했던 자식들 연락할 수도 있겠다 싶네요.

그러면 나는 어떻게 해야하지? 하는 생각이 드니 혼란스러워요.

노숙자. 걸인도. 그만한 이유가 있었겠지 하고 가엾다는 생각이 드는데.

나를 버린 이 사람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될까요?

저는 누가 거두었든 버렸든. 그런거 별로 생각하고 살지 않았어요.

생각하고 싶지 않아서 애써 지운거겠죠. 그러면 내 자존감이 떨어질 것 같아서.

그런데 누가 버렸든. 이라고 생각 했듯이. 거둔 사람도 많이 생각 안했던것 같아요.

저는 그냥.

저 혼자 추스리고 살기에도 급급하다 라는 식으로 살아 온 것 같아요.

희생이 많았을 돌아가신 엄마를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해 지네요...

 

어떻게.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내쳐야 겠죠?

아님. 마지막 길은 들여다봐 줄까요.

아직 벌어지지도 않은 일이지만.

그런 일이 생긴다면, 저 자신이 스스로를 들여다보고 추스리는데 많은 변화가 있을 것 같아요.

어쩔까요...

 

IP : 116.40.xxx.21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7 11:52 PM (121.162.xxx.228)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걱정하시나요.
    원글님은 이미 까맣게 잊고 다른 여자랑 또 다른 자식들하고 재미나게 지낼 수도 있어요.

    친아버지라는 사람은 잘살고 있을지도 모르는데 원글님이 받았던 옛날 상처를 다시 꺼낼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혹시라도 연락오면 그때 고민하셔도 됩니다.

    남편과 아이가 현재 원글님의 가족입니다.

  • 2. ..
    '13.11.7 11:52 PM (119.69.xxx.144)

    엄마의 친구분의 남편이 처자식 버리고 바람나서 집을 나갔었죠.
    그분도 아이가 아파서 연락했을때도 나몰라라, 아이가 결혼할때도 나몰라라 했었고, 오히려 돈보태달라고 할까봐 거지취급하면서 문전박대했었다고 들었어요.
    친가쪽 식구들도 자기조카 자기손자인데도 외면했구요.

    이분도 나중에 연락이 왔었죠.

    처자식버리고 애딸린여자랑 살림차려 열심히 번돈으로 여자의 자식들을 대학까지 보내놓고 지자식들은 학비가 없어서 고등학교만 겨우 졸업했었는데 남자가 늙고 병드니 여자쪽 자식들이 남자를 외면한거죠.

    그제서야 찾아왔었습니다.

    글쓴님도 열심히 사셔요.

    그분이 글쓴님을 찾아올땐 몹쓸병이들어서 죽을때가 되었는데 죄책감을 떨고가야 마음이 편할것같단 생각이 들때나..혹은 늙고병들었는데 오갈데가 없을때나 연락이 올거에요.

    저렇게 자식버린 사람은 내손에 쥔게 많을땐 절대로 연락오지 않습니다.

  • 3. 인연
    '13.11.7 11:55 PM (110.47.xxx.130)

    한번 끊어진 인연은 다시 잇는게 아니더군요.
    끊어진 인연을 다시 이었다가 결과가 좋은 경우를 못봤어요.

  • 4. 당연히
    '13.11.8 1:08 AM (172.56.xxx.167)

    당.연.히..아빠가 나중에라도 연락이 오면 한번은 만나셔야죠..옛날엔 밖에다 애 낳고 숨기고 사신 남편분들도 많았어요..부인들은 그냥 참고 사는 추세였구요..아님, 남편이 빡 돌아 집나간 경우도 있겠지만, 어떤 경우엔 부인들이 싫어 남편을 내치셨을수도 있구요..지금 우리시대 잣대로 보시면 안되요. 연락이 안오면 좋지만, 노인되셔서 연락이 온다면, 그냥 따지지 마시고,자주는 안보시더라도 형편껏 낳아주신 분에 대한 도리만 지키시면 원글님 맘도 좋을꺼에요..^^

  • 5. 짧게
    '13.11.8 8:31 AM (203.81.xxx.42) - 삭제된댓글

    한말씀 드리면 후회는 없게....요
    나중에 님이 후회로 남지 않을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 6. ...
    '13.11.8 11:28 AM (119.196.xxx.178)

    저는 아이가 외할아버지 보고 싶다고 했다는 말에 신경 쓰이네요.
    원글님이 아마도 마음 속으로 아버지를 그리워했나봐요
    무의식에서는.
    그러니 그게 아이에게 전달이 됐겠지요.
    그러니까 아이의 저 말은 아이의 의사가 아니라
    님의 무의식이 투사된 것이라고요.
    자기 마음을 들여다 보세요
    그리고 아버지가 연락 안할 가능성 높아요
    그러니 짝사랑 하지 마시고 아버지가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세요
    그래야 성숙이 시작됩니다.

  • 7. 1234
    '13.11.8 12:01 PM (125.143.xxx.43)

    6살이면 아버지에 대한 기억도 없고
    감정적으로 아무런 느낌도 없겠네요..
    연락이 온다면 한번쯤 혼자서 만나봐도 문제는 없겠지만
    님께 의지하려고 한다면 단호하게 거절하시는게
    님 가정을 지키는 방법이기도 할거 같아요.
    사실 아버지가 버렸다면 남보다도 더 못하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9717 과탄산 정말 마술같아요! 130 컬리수 2013/11/10 22,171
319716 친동생도 죽일기세 김여사 우꼬살자 2013/11/10 1,070
319715 점심도시락...맹물에 밥 말아 먹고 있는 사연 60 직장맘 2013/11/10 10,880
319714 부탁)티비프로 볼수있는 사이트좀 다시 알려주세용 5 예쎄이 2013/11/10 2,237
319713 생중계 - 한국청년연대, 알바청년연대 촛불집회 1 lowsim.. 2013/11/10 534
319712 프랑스교민을 빨갱이라고 한 김진태는 좋고 이정희는 나빠?? 1 손전등 2013/11/10 618
319711 가정폭력 당했어요‥원글 삭제합니다. 23 슬퍼요 2013/11/10 4,598
319710 성동일 스타일도 좋은아버지상 아니예요..??? 5 ... 2013/11/10 3,119
319709 인사담당 님 베스트글에 묻어서...지방국립대 어디가 좋은가요? 12 ll 2013/11/10 2,556
319708 문어가 들어왔는데 어쩌지요?? 2 행복한사람 2013/11/10 1,107
319707 직장내 도난사건 직접 겪거나 주위에 경험하신 분 계세요? 7 제발좀 2013/11/10 2,240
319706 [단독]김유미 미스유니버스 TOP16 아쉬운 탈락 27 유니버스 2013/11/10 9,416
319705 요즘 여자들 왜 이래요! 6 민망하게 2013/11/10 2,478
319704 모든게 시큰둥한 중1딸아이 어떻게해야할지요? 4 ㅇㅇㅇ 2013/11/10 1,307
319703 TV조선 채널 숨기기 하는 방법 알려 주세요. 5 꽃보다생등심.. 2013/11/10 2,014
319702 오리온 롯데 해태가 밀실회담으로 탄생시킨 빼빼로데이 13 ㅡㅡ 2013/11/10 2,341
319701 지금 TV 조선이 엄청 열받고 있네요 ㅎㅎ 13 ..... 2013/11/10 3,858
319700 17개월 딸 너무 이뻐요^^ 13 이뻐요~^^.. 2013/11/10 2,258
319699 6학년아들 중학들어가기전 읽을책 추천요 커피 2013/11/10 567
319698 공부한다고 독서실과 집에만 있는 아이 괜찮은건가요? 4 중학생 2013/11/10 1,605
319697 땀이 안나는 아이...왜그럴까요? 4 열감기 2013/11/10 1,690
319696 유명블로거들은 웰케 물건들을 팔아대나요? 13 ㅜ ㅜ 2013/11/10 5,592
319695 파김치에 마늘 생강 넣어야하나요? 14 초보요리 2013/11/10 6,014
319694 대전에서 친구들과 6시간 11 대전 스케줄.. 2013/11/10 1,111
319693 등산싫어하는 저를 남편은 정말 답답해해요 6 답답 2013/11/10 2,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