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컴퓨터공학과

궁금 조회수 : 1,517
작성일 : 2013-10-31 16:11:13
고2 남자아이 이과생입니다.
컴퓨터공학과를 생각하고 있는데요 향후 취업을 한다면
대체로 어딜 지원하게 되나요??
저는 60이 넘은 정보도 많이 모르는 사람으로서
도움을 제대로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헌데 요즘은 갑자기 교육공무원이 되고도 싶다고 하구요.
공부는 2,3등급정도합니다.
이과생인데 취업을 생각한다면 대략 어떤학과가 있을까요.
주위에 형과누나도 전혀없고 일가친척도 별로 없어서 도움받을곳이 딱히 없네요.
조언좀 부탁합니다.현실적으로요...
IP : 39.7.xxx.24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0.31 4:25 PM (119.192.xxx.123)

    저는 컴공 졸업해서 다른 일 하구요. 남편은 컴공 졸업해서 지금 대기업 엔지니어 해요.
    사실 진로는 많은 편이예요. 연봉도 하는 일이나 능력따라 매우 다르고요.
    갈 곳은 정말 많지만, 저는 그닥 아이가 컴퓨터에 관심이 있거나 프로그래밍 하는걸 좋아하지 않으면
    추천하고 싶지 않아요. 개발자는 내적동기 (내가 개발이 좋다, 재미있다)가 없으면 하기 힘들어요.

    제 주변에 컴공 졸업해서 프로그래머 하는 비율은 남자 한 80%, 여자는 20%도 안되는게 현실..
    내적 동기가 있는지, 개발이 좋은지 부터 확인하구요.. 그 정도 성적이면(모의고사기준) 인서울 공대 무난하게 들어갈 것 같은데 아이 성향을 좀 살펴보세요.

  • 2. 아들이
    '13.10.31 4:34 PM (1.218.xxx.91)

    말하는 교육공무원은 구체적으로 뭘 의미하는걸까요?
    공무원 전산직도 있고 교육부나 지방 교육청 공무원 시험을 보면 교육행정직이 되는데,
    일치하는점이 있다고도 없다고도 볼 수 있네요.

    그런데 컴 프로그램쪽은 30대까지만입니다. 40대 가면 결국 관리·영업·컨설팅 업무전문가 밑에서 일하는 상황에서 월 700만원 이상 능력급의 프리랜서로 일하거나 관리자로 이직해야 할거에요.

  • 3. 저도
    '13.10.31 4:57 PM (39.7.xxx.213)

    컴공 나왔습니다. 남편도 비슷한 전공이구요.
    전산과 컴공이 요즘 취업할데는 가장 많구요..
    제일 인기있으면서 돈도 많이 버는 회사가 삼성전자 모바일연구소 정도 되겠네요.
    물론 구글이나 페이스북같은 회사는 빼구요;;
    핸드폰 개발사업이 한창이었을때는 미친듯이 사람 뽑았는데 요즘은 얼마나 뽑는지 모르겠어요.

    아무래도 수요가 많은 직군이지만 공급도 많고 직업의 질도 굉장히 차이가 나는데
    공통점은 쉽지 않은 직업이에요. 실력의 차이가 굉장히 심한편인데 실력의 차이가 연봉의 차이를 보장해주지는 못하고 근무시간이 길어요. 즉 야근을 밥먹듯이 해야하는 직업입니다.
    나중에 경력좀 쌓이고 커리어 관리를 잘하면 이직을 통해 연봉도 높이고 환경도 좋은곳으로 옮길 수 있겠지만
    여기도 마찬가지로 본인이 정말 대단히 출중하지 않으면 대기업에서 시작해서 스펙이 좋아야해요. 학벌 포함.
    뭐 그래봤자 금융업계 종사자보다 연봉이 낮은게 현실이고, 그쪽 업계보다는 사회생활할때 정치와 접대에 대한 스트레스는 덜합니다. 즉 남편이 IT업계 종사자라면 여자나오는 술집에 갈 걱정은 좀 덜해도 된다는거죠. 사회생활에서 좀 어리버리해도 성실하고 능력있으면 인정받을 수도 있는 직종이구요.

    윗분들이 말씀하셨지만 취업할 곳은 많지만 양질의 일자리는 적어요. 그리고 종사자들의 100%가 한두번쯤은 이길이 자기 적성이 아니라고 고민하는 직종이 이곳이구요, 그중에 50% 이상은 실제로 적성이 안맞아서 무척 힘들어해요.
    결국 한계에 부딪쳐서 프로그래머에서 치킨집사장 테크트리를 정석으로 보는 우스갯소리도 많구요.

    전 외국계로 빠졌기 때문에 이후에 영업으로 갈 생각도 있어요. 대기업에서 버티다보면 삽십대 중후반이면 관리자로 빠져서 40대 부장에서 직장생활을 마감할 확률도 높구요..
    아직 IT업계 1세대가 40대 초중반이라 그 이후의 나이의 사람들이 어떻게 버틸 수 있는지는 모두가 의문인 상태입니다.
    직종 자체가 늙어서까지 할 수 있는 직종이 아니에요. 특히 한국에서는.

    사실 상위권대학이 아닌 바에 이름도 잘 모르는 지방 4년제 어문계역이나 상경계열 갈 바에는 전산전공이 낫다고 봐요. 적어도 취업해서 적지만 돈은 벌 수 있거든요.
    여학생일 경우는 다시 생각해보세요. 능력있어 인정받더라도 나이들어 팀장급으로 올라가서 관리에 힘들어하거나 체력이 딸려서 힘들어할 가능성이 높고. 무엇보다 여학생들이 본인의 적성에 맞는지 정말 끊임없이 고민하는 직종입니다.

  • 4. 저도
    '13.10.31 5:03 PM (39.7.xxx.213)

    아. 인기있는 직종은 초반 대기업 연구소에서 연봉을 높여서 일하다가
    나중에 통신사쪽으로 이직해서 정년까지 버티는게 제가 시작한 경력에서는 최고였어요.
    즉 삼성 모바일연구소나 LG MC연구소에서 개발자로 시작해서, SKT, KT, LGT 등으로 이직하는거죠.
    전 연구소에서 외국계로 옮긴 케이스구요, 저희 남편은 특이하게 게임회사로 옮겼구요..
    그 외에 인기있는 회사는 SI회사인데 LG CNS나 삼성 SDS정도에요.
    실제로 이쪽 종사자들은 SI회사 무척 안좋은걸 알지만 대기업 네임밸류때문에 대학생들이 선호해요.

    나이들어 영업으로 빠지만 IBM, 오라클, HP, CISCO, MS, 퀄컴.. 등등 유명한 외국계로 옮기는 경우도 있구요..
    사실 업계별로 유명한 외국계는 너무 많아서 나열하기 힘드네요 ㅎㅎㅎ

    그외 중소기업도 엄청 많아요. 대기업 협력업체부터 시작해서 각종 외국계 벤더까지.. 정말 취업할데는 많네요.

  • 5. 작성자
    '13.10.31 6:27 PM (122.37.xxx.200)

    자세하게 내 일처럼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대략 어떤곳인가 알게 되었고 아이 보여주면서
    잘 생각해야 할 것 같아요.
    근데 녀석이 그다지 컴퓨터를 모르는것같던데 어찌 그 생각을 했는지....
    그리고 교육공무원은 행정직 얘기하는거 같아요.
    그 과를 나와서 교육행정직에 도움이 되는지...암튼간 모르는게 너무 많지만
    이렇게라도 도움받을곳이 있어 아이랑 좀 더 생각하고
    잘 결정해야겠군요.
    제게 글 달아주신 분들께 깊이 감사드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6625 결혼 25주년 이네요. 3 ^^* 2013/11/01 1,407
316624 한우사러 갈껀데 어디로 갈까요? 10 한우데이 2013/11/01 1,600
316623 고등학생 아들한테 유시민님의 책을 사주려고 합니다. 7 추천해주세요.. 2013/11/01 988
316622 안데르센가구가 망했다네요?? 3 ..... 2013/11/01 10,906
316621 뉴질랜드 여행(밀포드사운드크루즈) 7 내가 모르는.. 2013/11/01 1,787
316620 먹을거로 스트레스푸는 나 1 2013/11/01 583
316619 훌라후프추천이요~ㅋ 샴스 2013/11/01 1,013
316618 생중계-오후 법사위 국정감사 속개, 부정선거 / 4대강 의혹 lowsim.. 2013/11/01 463
316617 '오싱' 기억하시는 분들 계시죠? 12 폭풍눈물 2013/11/01 2,764
316616 코스트코, 후쿠시마 인근 식품 가장 많이 수입 환경단체 &quo.. 4 같이봐요~ 2013/11/01 2,046
316615 스마트폰 요금제 뭐로 할까요? 1 스맛폰 2013/11/01 684
316614 갑자기 사과가 너무 땡겨요. 몸에 이상이 생긴걸까요? 9 dma 2013/11/01 2,060
316613 이래놓고 불법선거랑 자기는 상관없다고? 3 표창장 쥐어.. 2013/11/01 791
316612 매장에서 음악 들을 수 있는 방법 도움이 2013/11/01 443
316611 아이 생일에 상차림인데 좀 봐주세용~ 3 아이 생일~.. 2013/11/01 726
316610 향수 다덜 사용하시나요? 9 .. 2013/11/01 2,142
316609 낮은 굽의 구두 쇼핑몰 좀 알려주세요 써니큐 2013/11/01 1,012
316608 네이* 블러그 보고 낚였나봐요. 마스카라ㅠ 8 쏘럭키 2013/11/01 2,124
316607 히노끼 침대프레임에서 삐그덕소리가 나는데 문의해야할까요? ... 2013/11/01 2,430
316606 오늘출발해서 내일 산행중 점심싸야 하는데 5 행복하세요 2013/11/01 866
316605 박근혜 실언할 때마다, 조직적 '방어 트윗' 19 참맛 2013/11/01 1,600
316604 소파에 방석 or 매트 어떤거 까시나요?? 1 소파 2013/11/01 1,123
316603 대하는 후라인팬과 숯불 중 어디에 구워야 맛있어요? 6 바베큐 2013/11/01 658
316602 강화도에서 꽃게 어디서 사야할까요? 대명항 말고요... 꽃게찜 2013/11/01 2,364
316601 초등애들이 봐서 좋을 한국영화 예전거 많이 좀 추천해주세요 13 .. 2013/11/01 1,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