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논문 글쓰기에 도움이 될 만한 방법을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 조회수 : 1,474
작성일 : 2013-10-25 19:32:57

 

  사회과학쪽 박사논문 쓰고 있는데, 글쓰기가 잘 안 되어서 문제가 심각합니다.  

  제가 쓰려고 하는 내용을 잘 구성하지 못해서 읽기가 어려운 문제도 있고, 

  어휘력이 떨어져서 글이 밋밋하기도 해요.

  비문도 많이 쓰는데, 제 스스로 비문인지 깨닫지 못하고 있어 지적도 많이 받습니다.

  도움이 될만한 책이나 방법 있을까요?

 

  출판사에서 일하는 분의 교정, 교열을 받아볼까 생각도 했으나 제 전공을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받는 게 도움이 될지 의문이 듭니다. 혹시 경험이 있으시면 그걸 공유해주셔도 좋구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IP : 58.145.xxx.11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0번만
    '13.10.25 7:37 PM (175.121.xxx.45)

    고쳐 써 보세요.

    그래도 안 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겠지만
    대부분 4-5번 고쳐쓰는 과정에서 스스로 좋은 글을 만들어내곤 하더라구요.

  • 2. 논술
    '13.10.25 7:45 PM (203.236.xxx.249)

    논문도 결국은 논술이지요.
    구성, 어휘력, 문장이 다 어렵다 하시는 걸 보니 총체적 어려움인데...
    논술의 기본은 좋은 개요 짜기라는 점을 기억하시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쓰고 싶은 글 내용을 손으로(라도) 백지에 쭉 쓰세요. 체계적으로 쓰지 못하겠다면 쓰려는 내용을 크게 덩어리로(제목으로) 만들어 일단 나열이라도 하십시오.
    그 다음에 논리적 전개가 맘에 들면 그대로 두시고
    맘에 안 들면 쓴 제목들(단락별 주제들)의 순서를 다르게 배치해 가며 논리를 짜 가세요.

    큰 단락 주제를 다 정하고 전개 순서도 정했으면
    그 다음에 디테일한 내용을 대략 정해 쓰십시오. 자료 정리해 둔 것도 있고 참고자료 찾아둔 것도 있겠지요. 그것들을 잘 배치하시라는 거고요.

    그리고 그걸 모니터 옆에 잘 보이게 붙여 두고 글쓰기를 시작하세요. 자꾸자꾸 보면서 해야 합니다.

    문장력은..... 다 쓴 후 교정 교열 받는 게 좋을 것 같고요. 문장의 수준은 분야와 상관없이 다 같은 곳을 지향해야 하니까요.
    일단 쓰실 때는, 건조하고 논리적으로 보이도록 단문으로 끊어 쓰도록 노력해 보세요.
    다만 어휘력은 드릴 말씀이 없네요. 전문 어휘가 많이 필요한 거라면 그걸 도와 줄 수 있는 사람은 같은 전공자 말곤 없을 테니까요. 원글님의 머릿속 사전에서 최대한 꺼내 쓰셔야 하지요.

  • 3. 사회과학대학
    '13.10.25 8:04 PM (14.52.xxx.162)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셨는데, 많이 읽고 많이 쓰는 연습하셔야 해요.

    그러나 단시간에 이걸 이루기는 힘드니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좋은 논문 하나를 선정하여 (지도교수께 추천을 청하시든지 지도교수님 논문으로 하시든지)
    자꾸 읽고 내용까지 모두 소화한 후에 그러한 방식으로 따라 쓰도록 노력하는겁니다.

    요사이는 대학에서도 학술적 글쓰기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교재도 많이 출판되는걸로 압니다.
    소속 대학 도서관목록 검색하시면 그런 책들이 꽤 있을겁니다.

    화이팅하세요.

  • 4. 원글
    '13.10.25 8:06 PM (58.145.xxx.113)

    리플을 읽으니 제가 너무 안이하게 글을 쓰고 있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전체 구성만 생각하고 각 단락마다 구성이나 전개에 대해서는 너무 고민을 안 한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어휘력에 대해서도 혹시 충고해주실 부분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5. 결국
    '13.10.25 8:17 PM (124.51.xxx.155)

    좋은 논문들을 많이 읽는 것이 도움이 되는데, 지금 논문을 쓰신다니 시간이 별로 없으시겠어요. 그래도 논문 쓰시는 분야의 좋은 논문을 여러 번 정독해 보세요. 좋은 문체, 어휘, 표현 등 도움 받으실 수 있을 거예요.

  • 6. 고전이지만
    '13.10.25 8:36 PM (118.220.xxx.21)

    움베르토 에코-논문 잘 쓰는 방법
    책 기회되시면 한번 읽어보시고, 비슷한 논문주제나 우수논문으로 선정되거나 상 받은 논문들 많이 읽어보세요.

  • 7. 원글
    '13.10.25 8:51 PM (58.145.xxx.113)

    저도 책은 참 많이 읽었는데, 항상 전체 주장이나 근거에만 중점을 두고 그 글을 어떻게 구성해나가는지, 표현을 어떻게 쓰는지는 신경을 쓰지 않아서 어휘력이 늘 제자리인 것 같아요.

    리플 감사드립니다. 다 저장해서 꼼꼼히 읽어보겠습니다.

  • 8. 저도
    '13.10.26 9:17 AM (118.37.xxx.9)

    저도 논문쓰기 고민이 많은데, 도움이 되겠어요-
    원글님과 답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9. ㅇㅇ
    '19.11.29 6:38 AM (211.178.xxx.76) - 삭제된댓글

    논문쓰기 참고

  • 10. ...
    '20.4.20 11:34 PM (211.178.xxx.232)

    움베르토 에코-논문 잘 쓰는 방법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4319 24평 작은 전세아파트 꾸미는 방법 없을까요? 9 fdhdhf.. 2013/10/26 1,978
314318 새마을운동, 유신반발 무마시키기 위한 운동..이농현상 늘어 1 박정희새마을.. 2013/10/26 693
314317 어제 한국시리즈를 보면서 3 ㅇㄷ 2013/10/26 949
314316 지하철에서 활쏘기 연습시키는 엄마들 봤어요 3 .... 2013/10/26 1,362
314315 저렴한 부페에서 나오는 생선회나 초밥 조심해서 먹어야겠어요 2 역돔? 2013/10/26 2,812
314314 미국 동부 사는 분들께 여쭤요-여행관련 DGR 2013/10/26 625
314313 인터넷뱅킹에서 이체한도 변경은 어떻게 하나요? 3 // 2013/10/26 3,136
314312 'MB 서울시', 교통카드 특혜 의혹 재부상 6 /// 2013/10/26 879
314311 팥빙수용 팥 남은 거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요? 3 2013/10/26 1,675
314310 안이쁜데도 좋아한다고 고백하는 남자들이 많아요. 11 2013/10/26 6,941
314309 윤종신의 '오르막길'이라는 노래 들어보셨어요? 6 90년대 감.. 2013/10/26 3,580
314308 돼지수육 삶은 물로 뭐 해먹음 잘 해먹었다고할까요? 35 아까워요 2013/10/26 43,672
314307 화장품에 유효기간이 표시 안될수도 있나요?? 2013/10/26 339
314306 아파트 값을 두고 밀고 당기기 게임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6 대박요리 2013/10/26 1,595
314305 먹거리x파일 가짜도미 보셨나요? 3 oo 2013/10/26 2,267
314304 베트남 호치민시로 놀러가고 있어요. 2 ^^ 2013/10/26 1,492
314303 결혼시 피해야될 유형 15 하얀이수 2013/10/26 4,881
314302 반포지하상가에 미시옷많나요? 3 반포 2013/10/26 1,409
314301 미국 패키지 여행시 호텔과 식사후 팁은 어느정도? 인터넷면세점 .. 4 겨울이네 2013/10/26 1,853
314300 호두까기 인형이 두 가지 있네요...추천 부탁드려요~ 2 ... 2013/10/26 687
314299 장례시 연락은 주로 누가 하게 되나요? 4 fdhdhf.. 2013/10/26 1,947
314298 운전할 때 운동화만 신어야 운전이 잘 돼요..ㅠ 6 우째 2013/10/26 1,722
314297 인터넷뱅킹 전화번호를 바꾸려면 인증서가 필요하잖아요 4 ㅠㅠ 2013/10/26 942
314296 베스트 옷 이틀연속 입고 출근하는 일 37 어려워 2013/10/26 9,476
314295 여자들로만 구성된 집단 관리가 넘 어려워요 19 2013/10/26 3,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