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래비티. 우주 좋아하는 다섯살 보기 어떨까요?

그래비티 조회수 : 2,575
작성일 : 2013-10-23 06:28:33
극장경험은 한달전이 처음이고 3d는 아직 경험없어요..
IP : 182.211.xxx.16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0.23 6:34 AM (110.70.xxx.239) - 삭제된댓글

    음.. 제 생각에 이 영화는.. 공상 과학 희망찬 우주 이야기가 아니어요...
    그냥 허무맹랑 신기방기한 우주동화책 보여주셔요...
    ㅎㅎ
    얼마전 쓰리디로 봤는데 쓰리디 효과도 짱짱하고
    별 스토리도 없는 영화가 보는 내내 긴장되어 봤어요~~
    엄마만 보세요 ㅎㅎ

  • 2. ff
    '13.10.23 6:58 AM (119.194.xxx.119)

    얼굴 뚫린 시체 나옵니다......

  • 3. ...
    '13.10.23 7:00 AM (222.105.xxx.159)

    12세 이상 예요
    나이 제한의 이유가 있겠죠
    저도 엄마만 보는거 추천이요

  • 4. ..
    '13.10.23 7:01 AM (182.222.xxx.176) - 삭제된댓글

    우주 좋아하는 10살 남아도 앞부분에 사람들 다 죽어나가니까 무섭다고 언제끝냐나고.. 끝나고 나서는 재밌었다고는 하지만 여린아이에겐 좀 두려운부분이 많은 영화였어요.5살은 너무 어릴꺼같아요. 나중에 집에서나 앞부분 좀 빼고 보여주면 모를까..

  • 5. 원글
    '13.10.23 7:15 AM (182.211.xxx.160)

    으악.. 스토리 없이 우주 영상미가 뛰어나고 실감난다고 해서 솔깃했는데 여기 물어보길 천만다행이어요. 감사합니다. 진짜 너무 감사드려요. 클날뻔했네요..

  • 6. ;;
    '13.10.23 7:31 AM (175.223.xxx.147)

    어린이 영화가 아닌 다음에야 다른 관객들 생각해서 5살짜리는 극장에 안 데려가심이...

  • 7. 원글
    '13.10.23 7:38 AM (182.211.xxx.160)

    네 윗님 말씀 맞아요. 제 아인 어린이 영화에서도 아무 소리 안하고 꼼짝 안하는 특이체질이라 고려해봤어요.

  • 8. ..
    '13.10.23 7:56 AM (182.212.xxx.105)

    12세 관람가 영화입니다. 어머니야 내 아이 꼼짝 안고 잘 본다 생각하시겠지만 주변의 다른 관객들 생각해주세요.

  • 9.
    '13.10.23 8:10 AM (116.122.xxx.45)

    윗분들 말씀대로 다섯살 꼬맹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영화구요 ^^;; 화면 물론 아름답지만 그게 다인 영화가 아니라서요.

    글구 정말 꼼짝 안 하는 아이도 있더라구요. 저 이거 볼 때 옆에 부부가 세네살 되는 여아를 데려왔길래, 어이쿠 싶었는데, 애가 약간 꼼지락 거리니까 부부가 아예 애를 맨 앞 좌석으로 스리슬쩍 데리고 가고, 아이도 한 두 번 정도 약간 소리내는 거 외에는 참 얌전하더군요.
    오히려 제 옆옆 좌석에 앉은 중년의 부부가 계~~~~~속 얘기하면서 (자기네 안바에서 보나 -_-+++) 보고, 자꾸 감탄사를 넘 크게 해서 진짜 짜증났어요.
    다섯살 아이가 오십세 아저씨보다 관람태도가 좋을 수도 있답니다.

  • 10. 저도
    '13.10.23 8:23 AM (58.76.xxx.246)

    메너없는 어른들보다 다섯살의 관람태도가 훨씬 좋을 수 있다는 것엔 절대 동의합니다.
    저희 아이도 그랬으니까요.

    그렇지만, 어떤 영화라도 등급을 지키는 것이 아이 정서에 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 11.
    '13.10.23 8:42 AM (182.212.xxx.51)

    영화는 안봤는데 5살 어린아이가 꼼짝없이 영화보는거 결코 좋은거 아닙니다 오히려 그나이대는 집중력이 약하고 호기심이 많아야지요 집에서 비디오나 티브많이 보여주나봐요 어릴때 영상매체에 많이 노출된걸 자랑하시다니...제발 너무 이른나이에 영화관 데리고 가지마세요 영화관에서 민폐행동이 문제가 아니고 아이에게 결코 좋지 않아요

  • 12. 저도
    '13.10.23 9:22 AM (58.76.xxx.246)

    음님...
    저희 집은 아이 태어나기 전부터 tv가 없습니다.
    비디오같은 것도 보여주지 않았고요.

    평소엔 사부작사부작 끊임없이 움직이는 타입이었습니다.
    하지만, 영화관이나 조용히 해야 하는 장소에서는 거의 꼼짝않고 잘 앉아 있었습니다.
    그런 아이들도 있어요.
    지금 다 컸는데, 지금도 활달하면서도 동시에 차분할 땐 차분합니다.

    원글님께서 영상매체에 많이 노출됐다고 어디에도 말씀하시지 않았는데, 왜 그렇게 넘겨 짚으시면서 원글님 비난하시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 13. 돌직구 좀 날릴게요.
    '13.10.23 12:37 PM (175.223.xxx.147)

    원글님 충분히 예의바른 분인 거 같긴 하지만, 날선 이야기 좀 할게요.
    아이가 아무리 얌전하다 해도 그런 '특이체질' 여부를 알 길 없는 옆사람은 아이를 보는 순간 불안해집니다.
    저도 평소에는 아이들 예뻐하는데, 영화, 전시, 공연 등에서 몇 번 당하고 나니 이제 어린아이가 근처에 있으면 내내 신경쓰여 집중이 안되더군요. 그렇다고 한마디 하자니 애매한 상황도 많고, 무엇보다 그 순간 내 몰입도가 깨지니까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심하면 말하지만, 별 소용 없더군요. 어린아이인데 무슨 참을성이 그렇게 많겠어요.)
    부모님 입장에선 얌전한 아이일지 모르나 성인들 기준에선 아무래도 달라요 아이들은.. 여러가지로 통제력이 부족하니까요.(화장실, 무서움, 지루함 등..) 아이가 아무리 얌전해도, 다른 관객들을 위해 관람등급은 지켜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라면 아이가 오지 말아야 할 자리에 내 아이를 데려와서 다른 사람들에게 눈총받게 하지 않을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9425 8만원짜리 공연 입냄새 땜에 망쳤어요 7 공연 2013/11/14 4,318
319424 초2 수학책 133쪽 답 좀 알려주세요 달력계산 설명어렵네요 2 어렵네요 2013/11/14 1,250
319423 한번도 직장생활해본적 없는 분들에게 질문해요~~ 35 전업논쟁 2013/11/14 4,410
319422 딤채김치통을 포개놓았는데 안빠져요 ㅠㅠ 5 프룻티 2013/11/14 1,661
319421 미국에 사는 언니가 보고 싶네요.. 6 안녕하늘 2013/11/14 1,231
319420 메주콩(노란콩)이 많은데 활용법 부탁드려요~ 9 메주콩 2013/11/14 3,629
319419 저같은 사람은 운전연수 몇시간 받아야 장농 탈출할까요? 14 줌마 2013/11/14 4,049
319418 서울역에서 성균관대 까지 가려면 지하철 몇호선 타고 어디서 내리.. 10 길 잃을까봐.. 2013/11/14 4,264
319417 이번에 친구랑 도쿄로 여행다녀오려고하는데 괜찮을까요? 9 무엇이든물어.. 2013/11/14 1,469
319416 지역난방이나 중앙난방은 껐다켰다 안하는게 절약하는거 맞나요 2 . 2013/11/14 1,745
319415 생중계 - 속개 오후 청와대 국정감사 김기춘 비서실장 관련 등 2 lowsim.. 2013/11/14 387
319414 여자는 남자 없이도 살수 있다는 것이져 9 ㅇㅇ 2013/11/14 3,049
319413 김어준이나 정봉주, 김용민 등 14 11월 2013/11/14 1,913
319412 응사 정대만 명동에서 프리허그 중이네요. 8 우후후 2013/11/14 1,953
319411 오늘 5시에 대입입시설명회가 있다던데 어디서 하는 지 아는 분.. 오늘 2013/11/14 464
319410 미국산 쇠고기 수입규제 완화.. 휴..뭐먹고 살아야 되나요?.. 2 애엄마 2013/11/14 606
319409 지방으로 이사가는데 고등입학 하려면 1 중3맘 2013/11/14 542
319408 혼자 김장 중 11 내가 미쳤지.. 2013/11/14 2,152
319407 다시 태어나면 독신? 결혼? 어떤 삶을 선택하시겠어요? 15 독신주의 2013/11/14 3,986
319406 유학의 메리트가 점점 사라지는 듯 해요 29 lp 2013/11/14 15,192
319405 컬투 1 시로시로 2013/11/14 569
319404 국정원 결국 삽질한것 들통났음 (재판 속보) 18 // 2013/11/14 2,425
319403 깨 곱게 갈리는 미니믹서기 추천해주세요 3 ᆞᆞ 2013/11/14 1,041
319402 이진욱 나오는 ocn의 썸데이,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 1 ..... 2013/11/14 830
319401 서울대, 2015학년도 정시모집 늘리고 논술 폐지 1 ... 2013/11/14 1,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