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빌라매매 때문에 고민이네요..

고민 조회수 : 3,016
작성일 : 2013-10-22 16:53:03

제 고민좀 들어봐 주세요.

3년쯤 전에 결혼하면서, 저희가 둘다 모아 놓은 돈이 없어서 전세를 보러 다니다가

서울 서대문쪽이라 전세가 너무 폭등했더라구요. 그래서 신축빌라를 사서 들어갔어요.

그때 시세 1억9천.

남편은 사업하다가 취직을 했는데 그쪽으로 돈이 다 묶여 있었고

제가 가진 돈 6천만원에 1억3천을 대출 받았어요.ㅠ.ㅠ

지금 생각해보니 미친짓이었네요.

그래도 부부 합산 세전 연봉 1억1천 정도, 월급여 수령액 8백만원쯤 되니

매월 2~300만원 이상 갚을수 있으니 3년 정도면 1억 정도는 갚을수 있겠다 싶었어요.

그런데 남편 회사를 중도에 그만두게 된 사건이 벌어지면서....

가정경제가 기우뚱... 중간에 사업을 다시 시작했다가 2~3천 말아먹고 또 기우뚱....

결국 집담보 대출은 한푼도 못갚고 이자만 내고 산 셈이죠.

작년부터 매매를 내놓았는데 시세는 폭락하여 1억7천에 내놓아도 보러오는 사람도 가뭄에 콩나듯 하고,

그야말로 하우스푸어가 되었어요.

지금은 아이도 태어나고, 남편도 일을 다시 시작하긴 했지만, 집이 빌라 4층이다 보니

아이때문에 계단이 너무 위험해서, 어찌됐든 옮기고 싶은 상태에요. 또하나는 근처에 사시며 아기를

봐주시던 시어머님이 경기도로 이사를 가시면서, 어린이집 전후에 육아문제가 공백이에요.

어머님 집 근처로 따라가야 하나 싶은 마음이거든요. 경기도라 전세든 월세든 더 싸기도 하구요. 

 

1) 매매가 너무 안되는데 가격을 더 낮춰서라도 지금 매매하는게 좋을까요?

2) 아님 전세 시세가 1억5천정도 하는데 전세를 주고, 대출을 갚는게 좋을까요?

    전세를 준다면, 1억 정도 대출을 갚고 3천은 남겨둘 거에요. 5천으로 저희가 이사할거구요.

    그리고 돈이 모이는대로 전세자금을 만들어서 월세로 돌리고 노후 대책이라 생각해 보려구요.

 

정답이 없는 질문인건 압니다만.... 그래도 지혜로우신 회원님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실까? 궁금해서요.

남편은 1번, 매매까지 기다리자.... 저희 수입으로 원금은 못갚고 이자내면서 유지만 가능해요. 은행에 월세 내는 거죠.

저는 2번, 전세수요라도 있을때 옮기자 쪽으로 기울거든요. 같은 돈이라면 더 나은 환경에서 육아문제 도움도 받을수 있는 곳으로 가자는 입장이에요.

그것 때문에 머리가 지끈지끈해요. 돈없는 사람이 집을 사면 결국 이런 최후가 기다리고 있네요.

조언 좀 해주셔요~

 

IP : 211.217.xxx.1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시세
    '13.10.22 5:02 PM (222.110.xxx.117)

    전세수요가 많고 시세가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1억 9천짜리 빌라에 1억 5천 전세라면 집값의 80%인데,
    그 집에 들어올 사람이 있을까 싶은데요?

  • 2. 원글이
    '13.10.22 5:06 PM (211.217.xxx.1)

    윗님, 그게 참 이상한데도 있더라구요. 전세대란이 맞긴 맞나봐요.
    매매가를 1억 7천으로 낮췄는데,
    그 가격에 매매는 싫고 전세로 오겠다는 사람도 있더라구요!~

  • 3. ..
    '13.10.22 5:06 PM (175.209.xxx.55)

    빌라는 빨리 파는게 좋은거 아닌가요?
    10년 넘으면 건물값도 별로 안쳐주잔아요.
    아파트와 달리 년수가 되면 될수록 떨어진다고 들었어요.

  • 4. ㅇㅅ
    '13.10.22 5:09 PM (203.152.xxx.219)

    근데 시세 1억7천에도 안나가는 집에
    대출이 1억3천이 걸려있는데 어느 누가 1억5천에 들어오겠나요...
    현실적으로 힘듬
    그리고 나중에 집빼줄때 손떨려요 원글님
    누군가 들어와야 또 전세금을 빼주실것 아니에요.
    현재는 아파트도 그렇지만 빌라는 정말 계속 집값이 하락할수 밖에 없는 구조에요.
    저같으면 지금 팔겁니다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 5. ...
    '13.10.22 5:13 PM (119.194.xxx.126)

    저희는 얼마 전에 남편이 미혼때 사서 잠시 살았고 16년이나 소유하고 있던 다가구 주택을 팔았어요
    그 주택을 팔고 싶어서 수 년간 부동산에 매물로 내놓은 상태였지만 세입자가 있는 상태에서는
    집을 보여 주기가 쉽지 않았어요.

    다들 일하러 나가서 늦게야 들어 오니 연락도 쉽지 않았고 그렇게 시간만 흐르다 보니
    집이 많이 망가진 상태라 올해 좀 여유가 생겨서 내보내고 수리 좀 하려다가 다시 부동산에 매물로 내
    놓았거든요. 무조건 시세보다 이천 내려서 팔아 보시라고....

    그리고 집은 도배, 장판 방수공사까지 다 새로하고
    저희부부가 집 고치는데 소질이 좀 있어서 페인트랑 욕실타일 줄눈을 다 새로했어요
    그리고 청소......전 집 현관에도 껌딱지가 눌어 붙어 있는 게 너무 놀라웠어요
    그거 다 떼서 청소하고 여기 집 잘 팔리는 비법중에 하나로 읽었던 빗자루 거꾸로 세우기를 했거든요
    근데 일주일 정도 지나서 당장 계약하자고 해서 오히려 우리가
    잘 생각해 보시고 다시 연락달라고 했을 정도입니다.

    왜냐면 금방이라도 도장찍을 듯 서두르다가도 정작 약속시간에 마음이 바꼈다고 전화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라서요. 근데 집이 너무 마음에 든다고 당장 계약하자고 해서 지금은 잔금 받는 날을 기다리고
    있어요.

    우선 집을 좀 싸게 내놓으셔서 파시는게 좋겠어요.
    빌라는 세를 주다보면 짧게는 2년 안에 도배나 장판을 교체하는 비용이나 중개수수료등등..
    길게는 수년 만에 싱크대 보일러 혹은 도어락등을 교체하거나 그런 비용도 발생하고
    또....아파트와 다르게 손질할 일이 더 많이 생겨요.
    누수문제도 그렇고요.
    그리고 세입자가 있을 경우 집을 팔기가 좀 더 어려우니 주인인 원글님이 살고 계실때
    해결을 해 보는 방법이 좋을 거예요.

  • 6. ...
    '13.10.22 5:18 PM (61.77.xxx.214)

    매매가 1억7천도 호가잖아요.
    전세가 1억5천이면 매매가나전세가나 거의 같다는 말인데요.
    대출이 없는 집이라도 깐깐한 사람은 그런 집 전세 안들어갑니다.
    임자 나타나면 파는 게 훨 낫습니다.

  • 7. 제 생각도
    '13.10.22 5:27 PM (121.162.xxx.53)

    얼른 치워버리고 시어머니댁(경기도)로 가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이상한 세입자 만나면 집도 썩고 마음도 타들어가요.
    집상태 괜찮을때 빨리 정리하는 게 빌라는 나을 것 같아요.

  • 8. ...
    '13.10.22 5:36 PM (218.234.xxx.37)

    1억 5천으로 서울 시내 아파트 전세는 힘드니까 빌라 전세 찾죠..
    다들 어떻게 아파트만 사나요????

  • 9. ㅈㄷㄱ
    '13.10.22 5:47 PM (221.164.xxx.106)

    맞아요 앞으로 빌라 전세 월세 좀 오를거에요..

    서울에 집없는 분들 전월세로 사는게 더 힘들어지는 ㅠ ㅠ
    사람들 돈은 없구 일자리때문에 서울 떠날수도 없고
    아파트랑 너무 차이나서.. (저 서울 빌라 없으니 오해마세요 아파트도 없지만 ㅎㅎ)

  • 10. 원글이
    '13.10.22 5:48 PM (211.217.xxx.1)

    답글주신 님들 정말 고맙습니다~~
    몰랐던 것도 많이 알게 되었네요. 매매 보러오신 분들이 전세로 돌리면 안되냐고 자꾸 물어봐서
    잠깐 혹~했었네요. 낮춰서라도 빨리 처분하는게 여러모로 맘 편하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7141 아주 잘생기고 인기 많은 남자와 연애하면 어떤지 정말 궁금해요 20 /// 2013/11/03 20,370
317140 나만 미워해 나만차별해 34 엄마가 2013/11/03 3,879
317139 1주일만에 5kg 감량, 가능할까요? ㅜ ㅜ 20 고민 2013/11/03 5,233
317138 대구서 10대 절도혐의 피의자, 수갑찬 채 도주중이라네요~ 1 참맛 2013/11/03 929
317137 염색을 집에서 할 것 인지, 미용실에서 할 것인지~~ㅠㅠ 16 나나나 2013/11/03 8,021
317136 아들의 단식투쟁. 미치겠어요 16 ㅜㅜ 2013/11/03 4,239
317135 냉장고 야채칸 새로산 상추는 얼고 오이는 안얼고..? 2 .. 2013/11/03 1,475
317134 핸펀pdf파일 다운자료는 어디에 저장되나요ㅠ 2 .. 2013/11/03 1,465
317133 내과에 가도 우울증에 가끔 먹을약 처방해주나요? 4 내과 2013/11/03 2,204
317132 산후조리원 방문할 때 선물 뭐가 좋을까요? 3 ... 2013/11/03 3,185
317131 82에서 제일 거슬리는 맞춤법 39 mq 2013/11/03 4,191
317130 속에서 열이 올라와요 3 질문 2013/11/03 1,655
317129 4인가족 3~4주 미국여행을 가고싶어요 15 도와주세요 2013/11/03 3,200
317128 주택가 공원에서 교회행사 1 yunnyk.. 2013/11/03 872
317127 시고모님의 시어머님이 돌아가셨다는데.. 11 궁금이 2013/11/03 2,286
317126 눈밑처짐 3 펜더 2013/11/03 2,307
317125 관절염에 두충나무 껍질차가 좋다네요 8 건강 2013/11/03 3,203
317124 중세시대 마녀사냥 대상자라네요 3 주요 2013/11/03 2,970
317123 형부 환갑 얼마정도 하나요? 16 처제 2013/11/03 4,778
317122 아이폰 벨소리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3 아이폰 2013/11/03 922
317121 생생정보통에서 했던 콩나물 국밥 레시피 아시는 분 8 황금레시피 2013/11/03 19,174
317120 휴롬에 짠 포도즙 냉동실 보관 괜찮을까요? 새벽 2013/11/03 1,485
317119 점심 수제비할껀데요 4 ^^ 2013/11/03 1,559
317118 사람을 착하게 만들어 놨더니... 4 알바 2013/11/03 1,522
317117 장사하는 이의 마음가짐...조언 부탁드립니다 7 닉네임사용중.. 2013/11/03 1,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