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난의 습관

조회수 : 5,236
작성일 : 2013-10-22 10:38:53
밑에 치열하게 사는 사람이 어쩌고. . 글 보다가 문득

주변에 가난하게 사는 사람
가난하다가도 집을 일으켜서 일가를 이룬사람..
생각해보니

병든 사람. 장애가 있거나 그런거 외에는
정신적 문제. 습관의 문제. 무기력.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삶.
사기도 많이 당하고...그런 것을 많이 느낍니다

전반적으로 사회나 구조 탓을 많이 하고. .
건강상의 문제 외의 문제로 가난했던 사람

습관과 정신의 문제가 많았어요.
제가 볼때는 잘 사는 사람이 더 열심히 살아요. .
욕먹을거 같지만..
탐욕이라기 보단 그냥 삶의 자세의 문제죠.


IP : 223.62.xxx.10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0.22 10:54 AM (112.186.xxx.45)

    가난이 정신적인 문제를 낳기도 해요 무기력감 우울감 등등
    그래서 악순환이 될 수 있지요

  • 2. ....
    '13.10.22 10:54 AM (175.212.xxx.39)

    가난한 사람과 부자들이 부지런한건 강도의 차이가 심하겠죠.
    천성이 게을러서 가난한 사람도 있겠지만 매일 새벽 인력 시장에 나가서 벌려고 발버둥 쳐도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날수 없는 계층도 많습니다.
    발버둥 쳐도 결과가 미미 하거나 후퇴 하게 된다면 체념 상태로 간다고 해요.

  • 3. ..
    '13.10.22 11:04 AM (211.201.xxx.11)

    그런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더라도 가난의 문제를 가난한 사람의 성격이나 생각 탓으로 몰면 안 되는 거에요
    네가 가난한 건 게으르고 멍청하고 정서가 불안하고 성격이 이상해서다.
    그 생각 참 어이없을 정도로 단순하네요
    그런 생각 하려거든 속으로만 하세요

  • 4. 흠..
    '13.10.22 11:09 AM (121.162.xxx.53)

    폐휴지 줍는 분들 쉴새없이 돌아다니시던대요. 젊은 구직자들 이력서 100통 넘게 쓰고..우리나라에서 만큼은 가난에 대해 사회탓 구조탓 하는 게 맞는 것 같네요.

  • 5. 원글의 주장은
    '13.10.22 11:22 AM (175.223.xxx.14)

    새마을 운동 하던 시절에나 어울릴 얘기 입니다
    그때는 극소수를 제외한 모두가 가난 했던 시절이었고
    결과적으로 허리띠 졸라메고 부지런해서 살만해진 사람이 많아졌으니까요

    현재 대한민국은 가난의 습관이라는건 거의 없어요
    가난한 사람은 계속 가난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잖아요

    노력을 해도 얻어지지 않으니 무기력 해진 사람은 있겠죠

  • 6. 살다보면..
    '13.10.22 11:24 AM (220.118.xxx.253)

    여러방면으로 생각은 못하는거 같더라구요 신체적인 장애나 결함으로 인해서 한정적인거 말구요 일용직 가장들... 사실 노가다 뛰면 비오는날은 쉬어야 하고 그게 장기적으로 할 수 있는 일도 아닌데 하루 벌이는 되겠지만 국비 지원 학원이나 자격증을 따서 일용직에서 벗어나고 직장으로 가야하는데 갈 생각조차 안하는 사람들 봤네요 저 잠깐 방황해서 직장 때려치고 이것저것 아르바이트 했었는데 아르바이트나 일용직으로 생활하는 사람들 있더라구요 대화 나눠보면 별로 생각이 없어요 저는 아르바이트 하면서 아 다시는 이렇게 불안한 생활 안해야되겠다 직장 소중한 줄 알아야겠다 자격증이라도 따서 이력서 줄 한칸이라도 더 만들어야겠다 이런생각 들던데.... 고졸이면 뭐 전부 다 알바나 일용직 하는게 아니잖아요 하다못해 서비스 판매직을 해도 그 직장에서 오래 버티고 근무하면 그것도 경력이 되고 돈 좀 모으면 자기가 차릴수도 있고 그런데도 멈춰있는 사람들도 있더라구요 평생 가난할 수 밖에 없더군요

  • 7. 눈떠보니
    '13.10.22 11:56 AM (58.143.xxx.141)

    현실인 경우가 허다하겠죠.
    이미 뭔가 하고 싶다 의지가 생겼어도 혼자 힘으로
    불가능한 넘사벽이 점점 증가
    자본주의에서 이미 세습되는 신분사회처럼 굳혀지는거죠.
    가난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 사람도 있지만
    바둥거려도 넘지 못하는 이들도 있다 생각해야 맞을듯

  • 8. 기술
    '13.10.22 12:15 PM (1.242.xxx.18)

    배워서 안정적인 직장 가고 싶어도 그거 배우는 동안 가족들 풀칠할 여유가 없어서 못배우는 경우도 있어요.

  • 9. 태양의빛
    '13.10.22 8:56 PM (221.29.xxx.187)

    우선 과중한 노동에 시달려서 건강을 돌아볼 여유도 없습니다. 그 전에 누군가에게 보살핌을 받아 본 적이 없어서 (양육자들도 먹고 살기 위해 아이들 방치) 어떻게 자신을 돌봐야 하는 지 모르고 살아요. 그렇다 보니 병을 얻게 되고, 돈도 없기도 하고, 치유가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중산층 이상은 초등학생 정도면 스케일링을 하는데, 가난한 분들은 마흔이 넘어도 스케일링 이런 것을 모르고 사시다가 이 전부 뽑고 틀니 하시는 분들도 있구요.

  • 10. 태양의빛
    '13.10.22 9:02 PM (221.29.xxx.187)

    가난한 자들의 대다수는 부지런합니다. 게을러서 그런 이들은 극소수 - 자포자기한 부류이고, 대부분은 열심히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을 것 입니다.

    그런데도 가난한 이유는 기본적인 생활비 외에는 벌 수 없는 구조라서 그렇습니다. 자신을 위한 저축도 못해보고, 자신을 위한 투자 비용을 따로 낼 정도로 벌 수 없는 상황에 놓여지면 현상유지에 급급해지고, 마음도 여유롭게 되지를 못합니다. 그 상태에서는 미래에 대한 비젼을 세우지 못합니다.

    목표를 잡고, 계획을 짜려면 우선 정보가 필요 합니다. 정보 없이 무조건 목표 (최저 ~최대 한계치에서의 그 어느 정도에 위치한) 설정을 할 수가 없고, 계획을 수립 할 수가 없습니다. 그 정보의 질과 양에 있어서, 정보를 입수할 만한 수단과 인맥이 부자에 비하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없다시피 합니다.

    계획을 세웠다고 쳐도 실행 할만한 조건- 투자에 대한 비용을 댈 수가 없어서, 결국 중산층 및 상류층에 속한 사람들과 경쟁이 안됩니다. 그래서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해도 가난이 지속되는 것 입니다.

  • 11. 참 집근처
    '13.10.23 1:14 AM (58.143.xxx.141)

    공사판 못박는 소리 7시 못되어 부터 들려요.
    일찍나는 새가 벌레 잡기보담 고생만 더 하죠.
    임금구조가 거의 착취수준이죠. 열시간 일하고
    백만원대 많지요.

  • 12. 부자의 습관
    '13.10.23 7:41 AM (88.74.xxx.160)

    '극히 소수 몇 빼고는 자신의 이익, 돈을 위해선 피도 눈물도 없고, 한치의 양보도 없는 냉혈한이더군요. 자린고비에 돈에 혈안이 되서는 수전노 그 자체여야 부자가 되더라구요. 돈이라면 양심같은 건 상관없이 개처럼 달겨들더라구요'

    라고 싸잡아 말하면 수긍이 되십니까?

    논리를 이거저거 갖다 붙여 그럴듯해 보이는 데 실은 편협한 이런 생각들이 더 위험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7329 맛있는 집 고추장 파는곳 아세요? 9 집고추장 2013/11/08 2,883
317328 국정녀 변호비용 3300만원 대납한 7457부대.. 4 7457 2013/11/08 986
317327 홈쇼핑 주문접수 상담원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2 @@@ 2013/11/08 3,991
317326 초5학년 평균키 어떻게 되나요? 6 2013/11/08 7,311
317325 갑자기 머리숯이 확 줄면..얼마만에 복구가 되나요? 5 ;;;;;;.. 2013/11/08 1,764
317324 영어B형 ㅠㅠ 7 고3맘 2013/11/08 2,180
317323 여자는 연상의 남자와 결혼하면 늙어 어차피 혼자죠..? 21 초심 2013/11/08 5,848
317322 (비위 약하신 분 패스해 주세요)변에 관한 고민 3 .... 2013/11/08 606
317321 갑상선기능항진증 이요~~ 4 nn 2013/11/08 2,263
317320 아래눈꺼풀이 봉긋하게 부었는데 눈다래끼인가.. 2013/11/08 610
317319 꺄~ 김우빈 봤어용~ 15 ㅎㅎ 2013/11/08 7,381
317318 한글에서 글자위에 칠해진 색 없애는법 알려주세요.. 3 한글 2013/11/08 7,657
317317 이런 것도 피싱이죠? 1 2013/11/08 868
317316 은행원 혹시 계신가요? 8 도와주세요 2013/11/08 2,323
317315 VitalCheck에서 미국출생증명서 발급신청 해보신 분 계셔요.. 조이팍 2013/11/08 1,569
317314 양미라는 무슨 성형수술을 한걸까요 16 .. 2013/11/08 11,411
317313 학원레벨과 토셀이 차이 많이 나는 경우... 8 딸맘 2013/11/08 5,532
317312 구스다운 패딩 세탁기에 돌렸는데 안에 털들이 뭉쳤어요.. 12 구스다운 2013/11/08 4,827
317311 무성군과 검찰양의 낯뜨거운 애정행각 2 손전등 2013/11/08 1,028
317310 헤어 드라이 하는법 배울수 있는덴 없나요.. 9 ㄷㄷㄷㄷ 2013/11/08 2,990
317309 영국이라는 나라가 우리나라보다 역사가 깊나요? 8 .... 2013/11/08 1,549
317308 카드를 분실했는데 주운 사람 쓰고 다녔네요 어찌해야 할까요? 25 가짜주부 2013/11/08 13,921
317307 올겨울에 입을 코트 조언부탁요^^ 패션꽝 2013/11/08 744
317306 강남성모병원에서 디스크 수술 받으신 분 경험 좀 나눠주세요. 맏딸 2013/11/08 1,673
317305 야채탈수기 실리콘부분 곰팡이 제거방법 알려주세요 2 궁금 2013/11/08 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