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철도 산업 발전 방향, 4대강과 어쩜 이리 닮았는지

철도의 눈물 조회수 : 642
작성일 : 2013-10-21 18:18:13

신간] “철도 산업 발전 방향, 4대강과 어쩜 이리 닮았는지...”

18년 경력 현직 기관사, 『철도의 눈물』을 닦다

김지혜 기자  |  kukmin2013@gmail.com
 
 
 

지난 6월 27일, 철도노조는 89.7%라는 압도적인 찬성률로로 총파업을 가결했다. 보수언론은 ‘국민의 발을 볼모 삼았다’며 이들의 파업을 비난했다. 하지만 정작 “달리고 싶은” 것은 철도 노동자들이었다. 이들이 길을 따라 달리기를 멈춘 이유는 단 하나였다. 수서발 KTX 경쟁 체제 도입을 시작으로 한 정부의 철도 민영화 계획.

18년 동안 기차를 ‘몰아’온 기관사가 펜을 든 이유도 이 때문이다. 숙련 기관사이자 사회공공연구소 철도정책 객원 연구위원인 저자 박흥수 씨는 저서 『철도의 눈물』을 통해 “정부가 추진 중인 철도 산업 발전 방안은 4대강 사업과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4대강 사업은 대운하가 아니라며 국민을 속였듯이 철도 역시 민영화가 아니라고 말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며, “만약 그들의 정책이 실현된다면, 4대강이 그랬듯 철도 또한 되돌릴 수 없을 만큼 황폐화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책을 통해 국토교통부 관료와 국책 연구원들이 주장하는 ‘효율’을 중심으로 한 경영 기법을 현장에서 쌓아온 지식과 관점을 통해 날카롭게 비판하며, 그 허상을 지적한다. 또, 민영화 안이 실현될 경우 벌어질 일들에 대해 조목조목 따지고 들어간다.

저자가 지적하는 내용은 이렇다. “철도 전문가들은 철도를 기차와 선로와 신호가 하나인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 한다. 철도 안전을 위해 관제권을 독립시켜야 한다는 국토부의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세계 최고 수준의 정시 운행율과 무사고 운행을 자랑하는 일본 철도가 왜 관제권을 운영 기관이 갖고 있는지 납득시켜야 한다.”

‘철도 오타쿠’라고 불릴 만큼 해박한 철도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저자가 풀어놓은 에피소드들은 이 책의 또 다른 매력이다. 저자는 “대부분의 역 승강장에는 시민들을 안내하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역무원들이 서 있”는 일본의 사례를 들며, 승객의 안전을 걱정한다. 또, “신선한 제철 음식, 우리 농산물로 만들어진 도시락을 먹을 수 있다는 ‘고정관념’이 생겼으면 좋겠다”는 낭만을 열차 가득 실어보는 꿈도 꾼다.

제 2차 철도 산업 발전 기본 계획에 투입되는 철도 에산은 49조 4천억 원. 22조 원이 투입된 4대강 사업이 재앙으로 드러나고 있는 지금. 인천공항 철도, 민자 고속도로, 지하철 9호선, 그리고 KTX로 이어지는 철도 민영화 사업. 저자는 책을 통해 묻는다. 과연 누구를 위한 민영화인가.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1769
IP : 115.126.xxx.9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7987 코스트코 .. 2013/11/05 836
    317986 유럽여행 패스구입...도와주세요 5 유럽 2013/11/05 732
    317985 요즘은 학습지에서 해부 실습도 해주네요 1 2013/11/05 747
    317984 수상한 가정부-재미있게 보시는 분~~ 4 재미있나요?.. 2013/11/05 1,048
    317983 부산에 악관절 잘보느 병원 추천 바래요 4 깔끄미 2013/11/05 2,008
    317982 운전자도 잘 모르는 도로교통법규 Tip - U턴편 1 좋네요 2013/11/05 1,330
    317981 소니 rx100과 rx100 2 차이점은 2 ... 2013/11/05 898
    317980 방화쪽 아파트를 알아보고 있어요.. 2 정말정말 2013/11/05 977
    317979 수능날 중학교도 학교 안가나요?? 7 ㅡㅡㅡㅡㅡㅡ.. 2013/11/05 2,778
    317978 겨울에 부산여행 볼거리 있을까요? ᆞᆞ 2013/11/05 1,861
    317977 김치전 잘 하고 싶어요. 5 비율알려주시.. 2013/11/05 2,425
    317976 노는 딸아이의 변명 12 2013/11/05 3,354
    317975 판타스틱~이 반복되는 가사 어떤 노랜가요? 5 급해요 2013/11/05 1,534
    317974 아이들 놀이터에서 다툼...이게 잘 한 걸까요? 놀이터 2013/11/05 1,008
    317973 ‘다카키 마사오’ 등 박근혜 대선후보 측 비난한 네티즌 ‘무죄’.. 4 참맛 2013/11/05 813
    317972 응답하라 90년대, 방송반의 추억 2 깍뚜기 2013/11/05 1,522
    317971 흙침대는 흙표가 좋은가요? 2 질문 2013/11/05 4,916
    317970 유럽 거주하면서 개 키우는 분 계신가요^^ 애견 2013/11/05 566
    317969 코스트코 광어회는 위생상 깨끗할까요? 손님대접 2013/11/05 1,255
    317968 학원선생님 결혼선물로 2 추천해주세요.. 2013/11/05 1,866
    317967 유산균음료,공복과 식후중 언제? 헷갈려요. 2013/11/05 2,166
    317966 엑셀 도와주세요 5 답답 2013/11/05 772
    317965 흰초코렛 음료,집에서 마시고 싶어요 1 어디서 살 .. 2013/11/05 626
    317964 단풍놀이 도시락 뭐가 좋을까요? 8 .. 2013/11/05 1,589
    317963 짠 된장 어떻하면 되나요? 4 행운 2013/11/05 1,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