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효율적인 난방에 대해서 질문 드릴께요.

보일러 조회수 : 2,083
작성일 : 2013-10-20 17:43:23

중앙 난방 하는 아파트에서 살다가 개별 난방 하는 곳으로 이사하게 되었어요.

중앙 난방에서는 따뜻하게 부담없이 마음 편하게 지냈는데 개별 난방이

비용도 절감되고 좋다고 하는데 춥게 지내게 될까봐 걱정이예요.

 

1. 일정 온도(18-24도)에 맞춰 놓고 하루 종일 가동 한다.

2. 시간대별로 하루에 4-5번 껐다 켰다 반복한다.

3. 새벽 5-6시에 켰다가 낮에는 혼자 있으니 전기 장판위에서 옷 껴 입고

    저녁 6시경 식구들 오기전에 난방 해 놓는다.

 

그 외 방법으로 82님들 사용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1번과 2번 중 어떤 방법이 더 효율적인가요?

아파트 아래 윗집이 절약 한다고 난방 틀지 않으면 게속 난방해도

열 손실로 덥지 않다는 얘기도 있고 걱정이 한가득이예요.

더운물은 사용하고 싶을때 언제나 틀면 즉시 나오나요?

IP : 222.109.xxx.8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ㄹ
    '13.10.20 6:00 PM (203.152.xxx.219)

    일단 냉기차단, 온기 보온을 잘해야해요.
    그러려면 창문등에 문풍지나 방풍커튼 뽁뽁이등 붙이시고요....
    아침 저녁으로 한시간 정도 가동한후 낮엔 꺼놓고 뭐 새벽에 한번더 가동하고 이런식으로 합니다.
    남편 저 고딩딸 이렇게 세식구인데 각자 침대에 전기요 하나씩 가지고 있고요..
    저희집 30평 아파트에 그리 춥지 않게 지내면서 가장 추운 1월 2월에도 도시가스요금 5만원 안짝이에요.
    온수는 물론 마음껏 씁니다. 샤워할때등에... 설거지는 그날 설거지감으로 나온 냄비중 가장 큰 냄비 한번 헹궈서 물끓여서 그 물에 세제 풀어 나머지것들까지 수세미질 한후 헹굴땐 따뜻한물로 헹굽니다.

  • 2. 나무
    '13.10.20 6:03 PM (121.168.xxx.52)

    그게 난방 기계에 따라 효과가 있고 다르다고 그러네요
    안 쓰는 방 밸브를 잠그는 게 난방비 절약이다,
    아니다 말이 많은데요

    분명한 건 안쓰는 방 잠가놓으면
    나머지 방이 금방 더 따뜻해지는 건 분명해요
    애들 방을 확장하고 심지어 북쪽에 위치했지만
    애들방 밸브 활짝 열고
    거실 안방은 반도 안 열어놓고 지내요
    그래서 그런지 애들 방 따뜻하고
    거실에는 러그 깔고 안방에서는 침대 속에서만 지내는 걸로^^

  • 3. 지역난방과
    '13.10.20 7:16 PM (115.137.xxx.52)

    개별난방은 틀려요.
    열병합 방식으로 쓰는 지역난방은 온도를 맞춰두고 계속 트는 게 낫다고들 하구요(근데 이건 열량식..)

    도시가스 난방하는 개별난방은 이렇게 하면 난방비 폭탄 맞습니다.
    시간 정해서 틀고 끄고 하는 게 훨씬 이득이예요.

  • 4. 지역난방인데
    '13.10.20 7:46 PM (118.221.xxx.32)

    집마다 다른데..
    저는 뽁뽁이 창마다 붙이고 - 가운데 창은 빼고 안보이는데만
    나니까 덜 추워서 해도 잘들고요
    잘때만 방두개 난방해요 공부방 가끔 하고요 그러니 10만원 좀 넘게 나옵니다
    그거 붙이기 전엔 저녁무렵 거실도 난방했거든요
    일정 온도로 두는게 절약된다 하지만 제 경운 그건 아닌거 같아요
    뽁뽁이랑 두꺼운 커튼 추천해요

  • 5.
    '13.10.20 8:39 PM (221.164.xxx.106)

    안 쓰는 방 밸브 잠가 놓는거 주의해야하는게

    갯수중에 3분의 2는 열어놔야해요

    절반 이상 잠그거나 그러면 물이 역류한대나 압력이 높아진대나 금방 고장난대요

  • 6. ...
    '13.10.20 10:16 PM (119.148.xxx.181)

    더운물은 보일러에 따라서...목욕 버튼 누르고 5분쯤 지나야 나오는 경우도 있고
    아무때나 나오는 경우도 있고 그래요.
    보일러 매뉴얼 잘 읽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8092 수능을 전교1등 친것 처럼 밝은 모습으로 나온 아들 35 이제 곧 고.. 2013/11/11 14,175
318091 혹시 우면동 참누리에코리치 사시는분계신가요? ㅎㅈㅎ 2013/11/11 900
318090 수유부 반찬 좀 추천해주세요~ 2 수유부 2013/11/11 2,426
318089 학원가 컨설팅해보신분 효과있나요? 2 호수 2013/11/11 985
318088 대한노인회가 지하철 무임승차제도 폐지에 반대하는 이유 8 바람의이야기.. 2013/11/11 1,825
318087 솔직히 게임규제 하긴 해야합니다 26 인정 2013/11/11 1,626
318086 패딩조언 바람 2013/11/11 535
318085 40대인데 체력이 말이 아니네요 6 ... 2013/11/11 2,341
318084 당근 어디가 더 쌀까요? . 이마트 vs 시장 3 딸기체리망고.. 2013/11/11 570
318083 제가 시댁에 너무 선을 긋는 건가요? 17 선긋기 2013/11/11 4,040
318082 아이들 어린 4인 가족에 맞는 김치 냉장고 사이즈는 어느 정도인.. 1 김냉 2013/11/11 1,862
318081 출산후 미역국 몇주드셨어요? 8 미역국 2013/11/11 1,794
318080 혹시 코스트코에 대용량 보리차있나요? 1 휘리릭 2013/11/11 888
318079 대한항공 3만 있으면 일본왕복이 제일 나은가요 3 To 2013/11/11 1,046
318078 유아한의원 다녀오신분 있으신가요? 4 ... 2013/11/11 2,831
318077 박근혜 또 개망신 당했네요 15 웃김 2013/11/11 3,753
318076 [Daum 서명만으로 모금] 학대받은 개 희망이의 치료비가 시급.. --- 2013/11/11 433
318075 밥에 섞어도 아이가 모르고?;; 먹을만한 채소가 뭐가 있을까요?.. 3 궁금 2013/11/11 524
318074 카리스마있다는게 어떤건가요? sㅎ 2013/11/11 757
318073 김치냉장고에 비닐봉투를 넣고 김치 담아도 되나요? 3 김장김치 2013/11/11 2,406
318072 첫째도 둘째도 태몽이 없어요 8 개꿈만꾸는사.. 2013/11/11 3,339
318071 잠실역(롯데???) 도시락 먹을 곳 있을까요? 1 도시락 2013/11/11 1,649
318070 서양에가면동남아여자들이 13 ㄴㄴ 2013/11/11 4,175
318069 도자기 전기 포트 사용후기 급질 4 ㅉㅉㅉ 2013/11/11 2,020
318068 추워요 2 후후 2013/11/11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