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MB도 불참 고수했던 ‘美 MD참여’ 우려 현실화

뭘 알아야 조회수 : 614
작성일 : 2013-10-16 12:09:50

MB도 불참 고수했던 ‘美 MD참여’ 우려 현실화

후쿠시마 초강력 태풍 예보, 오염수 유출 우려

황준호 /외신캐스터  |  workaroundtheclock@gmail.com
 
 
 

한국이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다시 연기하자고 하면서 미사일방어(MD) 참여를 미국한테 선물로 줘야 한다는 우려가 있었는데, 우려가 현실이 되는 건가요?

김관진 국방장관이 그저께 국정감사에서 한국형 미사일방어 구축을 위해서 “다층 방어를 위한 수단도 검토하겠다”는 말을 했습니다. 원래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미사일방어는 상공 40km 하층 방어만 하는 건데, 국방장관이 ‘다층 방어’라는 표현을 쓰면서, 40km 보다 높은 상공의 방어도 생각하고 있다는 뜻을 밝힌 겁니다. 김관진 장관의 말이 있고 나서 조선일보가 어제자 신문에서 미국 MD 체제의 핵심인 SM-3 미사일 도입을 검토한다고 보도했는데요, 김민석 대변인이 어제 조선일보의 보도는 부인했는데, 대신 40km~150km의 요격 고도를 가지고 있는 사드(THAAD)라는 장비를 구매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는 기사가 국방부 발로 여러 언론에서 나왔습니다.

- 사드는 하층 방어 장비가 아닌 거죠?

상공 40km까지는 대개 하층 방어라고 하고, 그 위는 중고도, 그보다 높은 곳은 고고도 요격 체계라고 분류하는데, 사드는 중고도 요격 체계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어제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100km까지 하층 방어라고 한다”라는 말을 했는데요, 거기를 방어하는 사드의 구매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새로운 분류법을 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SM-3하고 사드는 미국 MD의 핵심 미사일이고, 우리 정부가 추진해 온 한국형 미사일방어에는 안 들어갔던 건데, 그런 입장을 바꾸고 있는 것입니다. 이건 결국 미국 MD에 참여한다는 선언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 전작권 환수 연기를 위해서 들어가는 비용이 너무 많네요?

사드 1개 포대를 구축하는데만 1조원이 들어가니까, 경제적인 의미의 비용이 우선 많이 들고요, 또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에 외교적인 비용도 상당히 들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것까지 감수해서 들여온 무기가 쓸모라도 크면 좋은데, 한반도 작전 지형에서는 별 쓸모가 없다는 것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어제 어떤 여론조사를 보니까 전작권 환수 재연기에 대한 찬반이 거의 비슷하게 나왔던데요, 대개 이런 이슈는 정부가 하는 걸 지지하는 여론이 높은데, 찬반이 비슷하다는 건 반대 여론이 상당하다는 뜻이니까, 그걸 정부가 잘 새겨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명박 정부 때부터 미국 MD 참여 얘기가 있었지만, 결국 이명박 정부도 너무 말이 안 되는 거니까 미국 MD 참여는 안 하는 입장을 고수했었는데요, 이제 와서 그걸 바꾼다면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부터 정확히 제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국제 신용평가사가 미국의 신용등급 하향을 경고했네요?

국제 신용평가회사인 피치가 몇 시간 전에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부정적 관찰 대상에 뒀다면서, 미국 의회가 부채한도 증액에 실패하면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정지)과 디폴트(채무 불이행)을 막기 위한 협상이 타결될 조짐을 보이면서도 막판 진통이 있는데요, 합의되지 않으면 미국 경제에 큰 타격이 있을 거라는 경고를 피치가 아주 강력하게 한 걸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재작년 8월에도 부채한도 증액 협상을 가지고 미국 정치권이 크게 부딪혔던 적이 있었는데, 그 후에 스탠더드 앤 푸어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하면서 큰 파장이 있었습니다.

사고 원전이 있는 후쿠시마에 오늘 초강력 태풍이 예보됐다고요?

일본 관동 지역에 최근 9년 사이에 가장 강력한 태풍이 상륙한다는 예보가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이 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갈 전망이라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 유출 같은 일이 우려됩니다. 26호 태풍 위파가 오늘 오전 관동 지방에 상륙한다고 일본 기상청이 알렸는데요, 어제 저녁 7시 현재 중심 최대 풍속이 초속 40미터인 대형 태풍입니다. 정오 쯤에 후쿠시마 원전 주변을 지날 것 같은데, 비가 많이 오면 오염수를 모아 놓은 탱크 주변에 고인 물이 흘러 넘치거나, 지하수 유입이 늘어나서 오염수가 크게 늘어날 우려가 있습니다. 강풍 때문에 원전 시설이 파손된다면, 예상하지 못한 방사성 물질 유출이 생갈 가능성도 있고요, 특히 원전 앞 바다에 설치된 수중차단막이 부서지면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실제로 지난달 16일 18호 태풍 마니가 지났을 때 오염수 탱크 둘레의 보에서 물이 넘쳤습니다.

- 대응을 잘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도쿄전력은 집중호우에 대비해서 임시 탱크를 만들어 놓는 등의 방식으로 오염수 유출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는데요, 그동안 도쿄전력이 해왔던 걸 보면, 과연 잘 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습니다. 보에 고인 물의 방사성 물질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배출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는데요, 얼마나 엄격히 지킬지 우려됩니다.

일본 총리하고 부총리가 어제 또 부적절한 발언을 했네요?

아베 총리가 어제 국회에서 연설을 했는데요, 자기는 매일 후쿠시마산 쌀로 만든 밥을 먹고 있다면서, 오염수 문제에 대해서는 "식품과 물에 미치는 영향은 기준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달 IOC 총회 때 후쿠시마 상황이 통제되고 있다고 했다가 그렇지 못하다는 증거가 속속 나와서 비판을 받았는데, 여전히 문제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아베 총리는 또 평화헌법을 개정하겠다는 의지도 재차 밝히면서, ‘강한 일본’ 건설을 여러차례 강조했습니다. 2인자 아소 부총리의 발언도 문제였는데요, 내일부터 시작되는 야스쿠니 신사의 추계 제사에 참배할지를 언급하면서 “아시아 국가에 중국, 한국만 있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자기가 야스쿠니에 가든지 말든지 한국하고 중국은 상관하지 말라는 뜻이었습니다.

영국이 중국 투자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소식도 있네요?

영국의 오스본 재무장관이 지금 중국을 방문하고 있는데요, 어제 마카이 중국 부총리하고 만나서, 런던 금융기관에 중국 주식과 채권에 대한 위안화 직접 투자를 개방하는 방안을 합의했따고 영국 언론들이 보도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영국의 금융기관에 면허를 줘서, 위안화를 가지고 중국의 금융시장하고 거래를 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또 중국 은행들이 영국 안에서 지점을 개설할 수 있게 규제를 풀기로 했는데요, 이 지점들은 영국에 있지만 중국 법에 따라서 규제를 받고, 중국 당국의 감독을 받도록 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런던을 위안화 거래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영국의 뜻이 반영된 것입니다. 중국한테는 위안화가 국제 통화로서의 지위를 얻게 돼서 좋고, 영국한테는 금융산업을 더 키울 수 있어서 좋게 됩니다.

- 영국에 들어서는 중국 은행까지 중국 당국이 감독하는 건 상당히 파격적이네요?

그렇습니다. 그만큼 영국이 중국 투자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요, 사실 작년 5월에 영국 총리가 티베트의 정시적 지도자 달라이라마를 만난 일 때문에, 영국과 중국의 관계가 나빠졌습니다. 중국의 투자를 끌어 와서 경제를 살려야 되는 영국이 중국이 가장 싫어하는 부분을 건드려서 1년간 끙끙 알았는데요, 결국 지난 6월에 캐머런 총리가 ‘다시는 달라이 라마를 안 만나겠다’고 백기를 들면서, 겨우 관계를 회복했습니다. 과거에 프랑스 대통령하고 독일 총리도 달라이라마를 만났다가 중국의 강력한 반발을 사서 결국 백기를 들었던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1665
IP : 115.126.xxx.9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2514 빠듯해서 자기옷안사는 분중 오리털패딩 필요한분 46 2013/10/27 10,823
    312513 공인중개사시험 5 내일 2013/10/27 1,657
    312512 만나기 친구 2013/10/27 353
    312511 있는돈 지키기가 더 어려워요 8 아고 2013/10/27 3,366
    312510 시어머니 생일 모임은 언제부터 어느정도까지 준비해야하나요? 5 생파준비 2013/10/27 2,005
    312509 실업계고 등록금 1 2013/10/27 967
    312508 카톡에서 친구명목에서 친구추천에서만 궁그맘 2013/10/27 568
    312507 연하게 커피 마시는 분들 캡슐커피 어떻게 마시세요? 7 캡슐초보 2013/10/27 2,064
    312506 아르헨 '점박이 소녀'의 비극, GM 농작물 농약 오염 때문 5 Gmo 2013/10/27 2,381
    312505 뜨거운 물 넣는 탕파, 잘 쓰시나요? 8 dd 2013/10/27 1,940
    312504 뽁뽁이 붙였는데 물기가 가득..ㅡㅡ 아그네스 2013/10/27 1,102
    312503 다음주 금요일 설악산 단풍.. 5 Turnin.. 2013/10/27 926
    312502 엉덩이가 벌겋게된 환자 8 조언 2013/10/27 2,141
    312501 식기건조대 1단 2단?? 4 ... 2013/10/27 2,308
    312500 軍 비밀요원 ‘숟가락’ 놀라운 전파.. 2013/10/27 509
    312499 돈모아서 집산다는 생각.. 14 .. 2013/10/27 9,998
    312498 요즘 칠순잔치 하나요? 5 fdhdhf.. 2013/10/27 4,071
    312497 고메위크 꼭 카드 소지자 본인이 참석해야하나요? 3 고메 2013/10/27 1,736
    312496 전주택시기사가 추천한 맛집 전주비빔밥 그리고 제가가본곳 7 서울사람 2013/10/27 3,765
    312495 퇴근길 지하철역에서 펑펑 울었던 기억... 42 ........ 2013/10/27 14,412
    312494 요즘 아줌마들 사이에서 이 남자가 그렇게 인기래요 7 2013/10/27 4,248
    312493 자주 아파서 갑자기 힘들어지는 노인은 대학병원 예약을 어찌해야하.. 2 병원 2013/10/27 885
    312492 돌침대위에 매트사려니 힘들어요 2 매트 2013/10/27 2,754
    312491 원두추출기능민있는 초간단 커피머신 알려주셔요 1 커피 2013/10/27 966
    312490 깨알같이 재미있네요 2 응답 2013/10/27 1,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