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MB도 불참 고수했던 ‘美 MD참여’ 우려 현실화

뭘 알아야 조회수 : 614
작성일 : 2013-10-16 12:09:50

MB도 불참 고수했던 ‘美 MD참여’ 우려 현실화

후쿠시마 초강력 태풍 예보, 오염수 유출 우려

황준호 /외신캐스터  |  workaroundtheclock@gmail.com
 
 
 

한국이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다시 연기하자고 하면서 미사일방어(MD) 참여를 미국한테 선물로 줘야 한다는 우려가 있었는데, 우려가 현실이 되는 건가요?

김관진 국방장관이 그저께 국정감사에서 한국형 미사일방어 구축을 위해서 “다층 방어를 위한 수단도 검토하겠다”는 말을 했습니다. 원래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미사일방어는 상공 40km 하층 방어만 하는 건데, 국방장관이 ‘다층 방어’라는 표현을 쓰면서, 40km 보다 높은 상공의 방어도 생각하고 있다는 뜻을 밝힌 겁니다. 김관진 장관의 말이 있고 나서 조선일보가 어제자 신문에서 미국 MD 체제의 핵심인 SM-3 미사일 도입을 검토한다고 보도했는데요, 김민석 대변인이 어제 조선일보의 보도는 부인했는데, 대신 40km~150km의 요격 고도를 가지고 있는 사드(THAAD)라는 장비를 구매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는 기사가 국방부 발로 여러 언론에서 나왔습니다.

- 사드는 하층 방어 장비가 아닌 거죠?

상공 40km까지는 대개 하층 방어라고 하고, 그 위는 중고도, 그보다 높은 곳은 고고도 요격 체계라고 분류하는데, 사드는 중고도 요격 체계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어제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100km까지 하층 방어라고 한다”라는 말을 했는데요, 거기를 방어하는 사드의 구매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새로운 분류법을 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SM-3하고 사드는 미국 MD의 핵심 미사일이고, 우리 정부가 추진해 온 한국형 미사일방어에는 안 들어갔던 건데, 그런 입장을 바꾸고 있는 것입니다. 이건 결국 미국 MD에 참여한다는 선언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 전작권 환수 연기를 위해서 들어가는 비용이 너무 많네요?

사드 1개 포대를 구축하는데만 1조원이 들어가니까, 경제적인 의미의 비용이 우선 많이 들고요, 또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에 외교적인 비용도 상당히 들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것까지 감수해서 들여온 무기가 쓸모라도 크면 좋은데, 한반도 작전 지형에서는 별 쓸모가 없다는 것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어제 어떤 여론조사를 보니까 전작권 환수 재연기에 대한 찬반이 거의 비슷하게 나왔던데요, 대개 이런 이슈는 정부가 하는 걸 지지하는 여론이 높은데, 찬반이 비슷하다는 건 반대 여론이 상당하다는 뜻이니까, 그걸 정부가 잘 새겨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명박 정부 때부터 미국 MD 참여 얘기가 있었지만, 결국 이명박 정부도 너무 말이 안 되는 거니까 미국 MD 참여는 안 하는 입장을 고수했었는데요, 이제 와서 그걸 바꾼다면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부터 정확히 제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국제 신용평가사가 미국의 신용등급 하향을 경고했네요?

국제 신용평가회사인 피치가 몇 시간 전에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부정적 관찰 대상에 뒀다면서, 미국 의회가 부채한도 증액에 실패하면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정지)과 디폴트(채무 불이행)을 막기 위한 협상이 타결될 조짐을 보이면서도 막판 진통이 있는데요, 합의되지 않으면 미국 경제에 큰 타격이 있을 거라는 경고를 피치가 아주 강력하게 한 걸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재작년 8월에도 부채한도 증액 협상을 가지고 미국 정치권이 크게 부딪혔던 적이 있었는데, 그 후에 스탠더드 앤 푸어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하면서 큰 파장이 있었습니다.

사고 원전이 있는 후쿠시마에 오늘 초강력 태풍이 예보됐다고요?

일본 관동 지역에 최근 9년 사이에 가장 강력한 태풍이 상륙한다는 예보가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이 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갈 전망이라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 유출 같은 일이 우려됩니다. 26호 태풍 위파가 오늘 오전 관동 지방에 상륙한다고 일본 기상청이 알렸는데요, 어제 저녁 7시 현재 중심 최대 풍속이 초속 40미터인 대형 태풍입니다. 정오 쯤에 후쿠시마 원전 주변을 지날 것 같은데, 비가 많이 오면 오염수를 모아 놓은 탱크 주변에 고인 물이 흘러 넘치거나, 지하수 유입이 늘어나서 오염수가 크게 늘어날 우려가 있습니다. 강풍 때문에 원전 시설이 파손된다면, 예상하지 못한 방사성 물질 유출이 생갈 가능성도 있고요, 특히 원전 앞 바다에 설치된 수중차단막이 부서지면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실제로 지난달 16일 18호 태풍 마니가 지났을 때 오염수 탱크 둘레의 보에서 물이 넘쳤습니다.

- 대응을 잘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도쿄전력은 집중호우에 대비해서 임시 탱크를 만들어 놓는 등의 방식으로 오염수 유출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는데요, 그동안 도쿄전력이 해왔던 걸 보면, 과연 잘 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습니다. 보에 고인 물의 방사성 물질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배출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는데요, 얼마나 엄격히 지킬지 우려됩니다.

일본 총리하고 부총리가 어제 또 부적절한 발언을 했네요?

아베 총리가 어제 국회에서 연설을 했는데요, 자기는 매일 후쿠시마산 쌀로 만든 밥을 먹고 있다면서, 오염수 문제에 대해서는 "식품과 물에 미치는 영향은 기준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달 IOC 총회 때 후쿠시마 상황이 통제되고 있다고 했다가 그렇지 못하다는 증거가 속속 나와서 비판을 받았는데, 여전히 문제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아베 총리는 또 평화헌법을 개정하겠다는 의지도 재차 밝히면서, ‘강한 일본’ 건설을 여러차례 강조했습니다. 2인자 아소 부총리의 발언도 문제였는데요, 내일부터 시작되는 야스쿠니 신사의 추계 제사에 참배할지를 언급하면서 “아시아 국가에 중국, 한국만 있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자기가 야스쿠니에 가든지 말든지 한국하고 중국은 상관하지 말라는 뜻이었습니다.

영국이 중국 투자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소식도 있네요?

영국의 오스본 재무장관이 지금 중국을 방문하고 있는데요, 어제 마카이 중국 부총리하고 만나서, 런던 금융기관에 중국 주식과 채권에 대한 위안화 직접 투자를 개방하는 방안을 합의했따고 영국 언론들이 보도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영국의 금융기관에 면허를 줘서, 위안화를 가지고 중국의 금융시장하고 거래를 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또 중국 은행들이 영국 안에서 지점을 개설할 수 있게 규제를 풀기로 했는데요, 이 지점들은 영국에 있지만 중국 법에 따라서 규제를 받고, 중국 당국의 감독을 받도록 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런던을 위안화 거래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영국의 뜻이 반영된 것입니다. 중국한테는 위안화가 국제 통화로서의 지위를 얻게 돼서 좋고, 영국한테는 금융산업을 더 키울 수 있어서 좋게 됩니다.

- 영국에 들어서는 중국 은행까지 중국 당국이 감독하는 건 상당히 파격적이네요?

그렇습니다. 그만큼 영국이 중국 투자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요, 사실 작년 5월에 영국 총리가 티베트의 정시적 지도자 달라이라마를 만난 일 때문에, 영국과 중국의 관계가 나빠졌습니다. 중국의 투자를 끌어 와서 경제를 살려야 되는 영국이 중국이 가장 싫어하는 부분을 건드려서 1년간 끙끙 알았는데요, 결국 지난 6월에 캐머런 총리가 ‘다시는 달라이 라마를 안 만나겠다’고 백기를 들면서, 겨우 관계를 회복했습니다. 과거에 프랑스 대통령하고 독일 총리도 달라이라마를 만났다가 중국의 강력한 반발을 사서 결국 백기를 들었던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1665
IP : 115.126.xxx.9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4510 Literacy place로 수업하는 화상영어 업체 아시나요? ㅜㅜ 2013/11/01 386
    314509 막돼먹은 영애씨가 제일 재밌어요 9 ... 2013/11/01 1,856
    314508 대통령 뺏기고 댓통령 들어앉았지만 16 ㅇㅇ 2013/11/01 1,022
    314507 내년봄 지방선거전후로 민주당없어지겠지요? 7 투표민주주의.. 2013/11/01 751
    314506 지성의 비서로 나오는 광수청년은 어떻던가요 6 비밀에서 2013/11/01 1,211
    314505 백화점 겨울 정기세일 언제쯤 할까요? 2 000 2013/11/01 3,190
    314504 조윤희 이뻐요.... 14 이쁘다잉 2013/11/01 3,219
    314503 어제 자게에서 추천했던 책인데요 2 책 제목 2013/11/01 951
    314502 세탁기를 건조까지 해서 돌리면 6 세탁기 2013/11/01 1,106
    314501 작은방확장시 전창을 반창으로 확장하신분 계신가요?? 3 ~~ 2013/11/01 3,550
    314500 오랜만에 피자헛에 가요. 피자 추천해주세요. 4 ㅎㅎ 2013/11/01 1,477
    314499 아침이랑 저녁만 먹어도 건강에 문제 없을까요? 1 bloom 2013/11/01 749
    314498 고3 아들 병원에 데려 가야겠지요? 10 엄마 2013/11/01 2,544
    314497 아침부터 찬송가 틀어놓는 옆사람.... 8 m,.m;;.. 2013/11/01 924
    314496 품질이 다를까요? 3 품질 2013/11/01 505
    314495 고딩 아들과의 입씨름 2 아들 바라기.. 2013/11/01 916
    314494 걷기할때 음악만 들을수 있는 앱 알려주세요 1 시작 2013/11/01 980
    314493 촉촉한 클렌져 없을까요? 너무 당겨 죽겠어요 8 79스텔라 2013/11/01 2,085
    314492 부담스런 남편의 질문.. 3 &&.. 2013/11/01 977
    314491 인터넷 면세점에서 키드로 510불을 사버렸어요ㅠ 관세내나요? 18 2013/11/01 2,711
    314490 돌출입으로 팔자주름과 입이 원숭이상인데 교정하면 팔자주름이 .. 2013/11/01 1,805
    314489 갤3 폰뱅킹하려는데 자꾸 키패드가 사라져요 ㅜㅜ 1 아시는분 2013/11/01 575
    314488 무료로 운세, 사주보는 사이트가 있네요.. 제주도1 2013/11/01 6,086
    314487 카카오톡 친구 목록에서 없어진거 5 크롱 2013/11/01 2,481
    314486 사귀는 친구마다 떠나네요 친구 2013/11/01 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