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세값이 왜이렇게 오르는거죠? 무섭네요

ㄹㅇ 조회수 : 4,133
작성일 : 2013-10-10 11:23:16
여기는 경기도 북부지역인데요. 살고있는집이 40평후반이예요. 내년이 2월이 전세 재계약인데 7,000이 올랐네요. 올려줄돈 5,000까지는 있는데 나머지 2,000은 방법이 없네요 ㅠㅠ 이사가려니 막 사춘기시작된 아이가 펄펄뛰고 이사안간다고 난리고 참 마음이 지옥이네요.ㅠㅠ 며칠전까지만 해도 이렇지 않았는데 갑자기 뛰었네요. 갈수록 죽어라죽어라하네요... 돈이 되어서 집을 사면 좋겠지만 대출 억대로 끼고 사자니 이자갚기에 세월다갈거 같고 뭔놈의 세상이 이모양인지..월급은 10년 넘게 동결 집값은 공튀어오르듯이 오르고 에휴
IP : 180.65.xxx.130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0.10 11:24 AM (112.186.xxx.243)

    저는 결혼 생각 하고 있는데 저도 돈 별로 없고 남자친구도 별로 없고..경기도에 살아야 되는데 전세가격이나 사는 가격이나 비슷비슷..
    어찌 살아야 하나...막막 합니다.

  • 2. ㅇㅇ
    '13.10.10 11:29 AM (116.37.xxx.149)

    서울 아닌데 한꺼번에 그렇게나 많이 올라요? 이년만에 그렇게 오르면 어찌 맞춰요 ㅠㅠ
    집은 안팔리고 전세값 오르고 .. 이러다 집값도 들썩이겠어요

  • 3. 궁금
    '13.10.10 11:32 AM (14.63.xxx.215)

    저희 단지도 2000세대가 넘는데 전셋값은 둘째치고 전세 차체가 씨가 말랐어요 그렇다고 집을 사는것도 아니고... 돈들이 어디서 나서 몇천씩 올려주고 그냥 사는건지.. 다들 대출인건지 ....

    그 많던 전세물건들 다 어디갔을까요???

    요즘은 통 이사하는걸 못봤네요 ;;

  • 4. 새옹
    '13.10.10 11:33 AM (112.187.xxx.160)

    요새 전세자금대출이 워낙 잘 되어있으니 그래요 부동산들도 그냥 대출받아 전세구하라고 부추기고..정작 대출받아 전세 산다고 그 대출 영원히 가는것도 아니고 언젠가는 갚아야하는건데 집값 떠 받치느라 전세값으로 올려버리는거죠

  • 5. ..
    '13.10.10 11:34 AM (115.41.xxx.191)

    그럼 이제 월세인거죠. 집값 비싸서 사지도 못하고 전세는 집값 따라잡고..
    돈 많은 사람들은 집 폭락하네 어쩌네 하면서 집 사는 사람 조롱하고 척척 전세금 올려주고(사실 그런 사람들이 전세값 올려놓음) 진짜 돈 없어서 전세 사는 사람들은 이제 월세로 몰리는거죠..

  • 6. 그게
    '13.10.10 11:36 AM (14.53.xxx.1)

    집을 안 사고 다들 전세로만 살려고 하니 그렇겠죠.

  • 7. 원글
    '13.10.10 11:36 AM (180.65.xxx.130)

    이사하려니 이사해서 없어지는 비용도 이삿짐센터 250(무조건 이렇게 부른다네요. 좀 큰평수라고) 부동산도 200가까지 줘야 할것 같은데..이래저래 5~600깨질거 같아요. 사실 2년 전에도 4000을 올렸는데 이년후인 몇개월후 또 7000을 올려야해요. 숨이 턱 막혀요. 아니 서울도 아니고 경기도 그것도 완전 북부예요. 집이 좀 좋은 단지라고 쳐도 7000은 너무 하다는 생각이 ㅠㅠㅠ 무리가되도 집을 살까 봤더니 집값도 4000이나 올랐네요. 한달 사이에 뭔일일까요 ??

  • 8. 원글
    '13.10.10 11:38 AM (180.65.xxx.130)

    8.28대책이 뭐길래 관심도 없어서 안봤더니만 난리도 아니네요. 전세값 집값 다뛰었으니 ㅠㅠ

  • 9. 벌써
    '13.10.10 11:42 AM (175.211.xxx.171)

    집값 벌써 올랐어요
    한 삼천씩 뛰었구요.. 전세 있는 아파트 이천 정도 뛴 매물은 어제 벌써 나갔더라구요
    가격만 뛰는게 아니라 매매가 되고 있어요 한 두 달 전부터..
    저희도 어째야할지..

  • 10. ...
    '13.10.10 11:43 AM (118.38.xxx.244)

    마지막 거품이 꺼지기 직전 이지요.

    본격적인 하강시작의 전조이지요

  • 11. 와국인들이 그런다죠.
    '13.10.10 11:51 AM (207.219.xxx.162)

    한국 전세제도 보면서요.
    왜 공짜로 다른 사람한테 집을 빌려주냐고요.
    은행이자도 형편없고 집값도 잘 안 오르는 이때 전세는 집주인한테는 아무 의미 없지요. 1억이 오른던 2억이 오른던.
    결국 한국도 월세제도로 갈수밖에 없습니다.
    이제 시작인거죠.

  • 12. 부동산
    '13.10.10 11:55 AM (182.211.xxx.7)

    거품 꺼지기 전초전이라 그렇죠.
    집 살 여력은 되나 안사고 전세를 택하는거죠.
    전세값 정도면 대출 조금 끼고 구매할수 있습니다.
    이러다가 깡통 전세 될날이 오겠죠.
    요즘은 돈 있는 사람보다 전세값 마련에 힘든 부류가 집을 많이 삽니다.
    멀지 않은 미래엔 전세가 없어지고 월세가 주를 이루고 결국 가진자들이 여러채의 집으로 또 돈을 벌게 되는거죠.

  • 13. 주인
    '13.10.10 11:58 AM (222.107.xxx.181)

    주인 입장에서도 계속 산다고 하면 복비 굳고
    나쁘지 않을테니
    시세는 7천이라도 5천에 쇼부 보세요.
    안될거 없을 듯하네요.
    재계약전에 부동산등기부등본 꼭 떼보시구요.

  • 14. 많이 오른 거 맞아요..
    '13.10.10 12:01 PM (218.234.xxx.37)

    제가 매수 염두에 두고 계속 네이버 부동산 보고 있는데, 제가 눈여겨 보고 있는 경기도 신도시, 올 봄에 1억 4천하던 전세가 지금 2억이네요. 매매가는 2억 3천~5천 내외, 매도 호가는 살짝 올랐어요. 2억 6천. 동쪽 신도시, 남쪽 신도시 다 그러네요. 매매가하고 3천만원 정도밖에 차이가 안나요.

    사둘까 싶다가도 지금 매도 호가는 집주인의 기대치 반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그냥 이번에도 넘깁니다.. 한 3개월 뒤에 다시 고민할 예정.

  • 15. 집주인 아니면 월세
    '13.10.10 12:06 PM (207.219.xxx.162)

    둘 중 하나가 될거에요.
    전세는 곧 없어질겁니다.
    집값이 안 오른다는 전제가 깔려도
    집주인도 월세도 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
    월세가 싫으신분들은 분위기 봐가며 집을 장만하시고
    집값하락의 위험부담이 걱정되시는 분들은
    월세를 각오하시길 바랍니다.
    전세는 과거추억의제도가 될겁니다.

  • 16. 핫한 대구
    '13.10.10 12:12 PM (1.214.xxx.162)

    대구는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자꾸 오르니 대출내서 집사신 분들 많으신거 같아요.
    대구는 타지역에 비해 아파트 값이 저렴했다는 이유로 지금 몇천씩 오른
    이 가격이 굳어질꺼라고 생각들 하시더라구요.
    전세물량이 없는건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다는 점과 가격이 내릴꺼라는 생각때메 구입은 미루나봐요.

  • 17. ...
    '13.10.10 12:35 PM (118.42.xxx.151)

    정부가 조정을 해줘야 하는데...
    이눈치 저눈치 보느라...
    말뿐인 전월세 대책만 내놓고...
    실제는 방관 내지는 방치상태...
    솔직히 말하면...
    정부 관료들 본인도 기득권이기 때문에
    서민정책보다는 집값 조절을 통한 집주인쪽 이득에 손을 들어주려 하겠죠...
    정부는 공평해야 하는데..-_-

  • 18. .....
    '13.10.10 3:03 PM (116.127.xxx.127)

    대구는 외지인이 투기로 사서 값을 올려놔서 그래요. 뉴스에도 나왔구요.
    포항도 마찬가지 ... 부동산에서 다 울산이니 부산이니 이런데서 집 사러 와서 산다고 합니다.
    거품이 언제 꺼질지는 모르겠지만 투기바람입니다.

  • 19. .....
    '13.10.10 3:04 PM (116.127.xxx.127)

    누가 먼저 나가 떨어질지 한번 해 보자는거지요.ㅣ

  • 20. 돈 있는 사람이
    '13.10.10 7:23 PM (211.33.xxx.237)

    위에 정답있네요.
    돈 있는 사람은 골라서 전세 살고, 돈 없는 서민들이 대출내서 내집에서 살겁니다.
    월세 사는 사람들은 한마디로 가난한 사람들~~
    이렇게 세부류가 될겁니다.
    원글님도 결국에는 전세금을 올려주든가, 대출내서 내집 장만하시든가 해야겠죠.
    월세살이는 피하세요.

  • 21. ㅇㅇ
    '13.10.10 8:54 PM (223.62.xxx.59)

    평수를 줄여서 아예 매매해서 이사를 가고 싶은데 이제막 중학교 들어가는 사춘기아이 이사얘기만 나와도 펄펄뛰네요. 암튼 이집은 매매와 전세의 갭이 2억 정도이다보니 사기에는 너무 큰 부담이라 고민고민 어찌해야할지 재계약전에 어찌 되겠죠 ㅠㅠ 암튼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4467 외국사시던분들 한국오셔서... 11 궁금증 2013/11/01 3,038
314466 직딩엄마... .. 2013/11/01 500
314465 브런치메뉴로 아침먹었는데 7 2013/11/01 2,432
314464 세슘 검출 일본 사료 시중 만 톤 유통 [단독YTN] 4 육류도안돼?.. 2013/11/01 1,077
314463 여러분 주위나 예전에 딸부잣집 많았나요? 8 엘살라도 2013/11/01 1,607
314462 상속자들에 대한 공감 기사 12 ㅇㅇ 2013/11/01 3,594
314461 날 싫다는 남편 1 남편 2013/11/01 1,583
314460 당신의 미국 이민이 망하는 다섯 가지 이유 51 2013/11/01 27,104
314459 밑에 유치원 도와달라고 글쓴님 16 붉은망토차차.. 2013/11/01 3,184
314458 중학생들이 추구하는 바는 뭘까요?? 5 00 2013/11/01 1,129
314457 변정수씨가 티브이에 나온걸 봤어요. 11 변정수씨 2013/11/01 6,693
314456 해외에서 물건 결제, 무슨 방법이 제일 쌀까요? 13 질문 2013/11/01 1,112
314455 삼십대 처자. 탈모 병원 다녀왔어요. 13 극복하고싶다.. 2013/11/01 5,174
314454 외국계 보험회사 퇴직 연령이 어떻게 되나요..? 1 ... 2013/11/01 874
314453 운동하는데, 종아리가 굵고 딴딴해져요.ㅜ 8 운동 2013/11/01 2,761
314452 시 제목을 찾고있는데요... 5 응응 2013/11/01 566
314451 아마존이나 이베이에서 구입한 DVD.. 9 질문이요.... 2013/11/01 1,207
314450 이건 몸살도 아니고.. 뭘까요..? 3 이게모야 2013/11/01 990
314449 몸에 주사기 자국처럼 빨간 자국 있으신분??? 9 이런분계세요.. 2013/11/01 1,862
314448 상속자 vs 비밀 오늘의 진검 승부 결과 4 /// 2013/11/01 2,956
314447 한인2세(초등생) 볼만한 TV프로그램 형제맘 2013/11/01 334
314446 비밀 이 농약같은 드라마~~~ 4 흔들려 2013/11/01 1,990
314445 상속자 박형식군 3 ㅇㅇ 2013/11/01 2,569
314444 계모는 답이 없는 듯해요. 47 ... 2013/11/01 12,834
314443 대학원 진학하신 분 추천서 여쭤볼게요 10 ㄷㄷ 2013/11/01 4,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