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생각하는 힘. 생각이 깊은 사람이 존경스러워요.

생각 조회수 : 4,970
작성일 : 2013-10-07 00:19:16

부끄럽게도 생각없이 살고 있습니다.

 

생각이 참 짧아요.

예를들어  저의 생각 패턴은

제 직업에 대해 좀더 개선해보고자 하는 고민이 들면

 

1.아...업무방식을 개선해야해. 난  잘못된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어.

2.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3.노력을 제대로 해야해.

4.어떤 노력?

5....

6...

 

이게 끝입니다.

항상 질문만 던져놓고 더이상의 발전이 없어요.

 

tv를 봐도 정치뉴스를 봐도 사회뉴스를 봐도

그 사실만 읽고 받아들일뿐

 

그것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정리해본적이 없습니다.

생각이 없고 생각이 짧습니다.

저의 주관이라는 것도 없고 삶의 가치관도 없어요.

 

책을 읽어도 글자만 읽는 것일뿐

읽은 책 내용을 곱씹어 보지 않습니다.

 

그래서 세뇌도 잘 됩니다.

웃긴건 세뇌에서 잘빠져도 나옵니다.

 

생각하는 힘이 너무 부족해서

도서관에가서 관련 책들이 있나 검색해 보니

의외로 많더군요..

 

생각하는 기술에 대해서요..

 

그런데 그 책을 본다고 좋아질까요?

 

어릴때만 해도 책 한구절 읽고 잠시 덮고 저 혼자만의 생각을 많이 한것 같은데

(그래서 책읽는 진도는 잘 나가지 않았지만..)

언제부턴가 생각이라는걸 안하고 되는데로 살고 있네요.

 

전 참 낯설게 들리는 이야기 중 하나가

"요즘 생각할게 많아서...시간이 없네..."

라는 표현입니다.

 

사고력.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 싶어요.

비판적 사고 합리적 사고 논리적 사고...

 

 

 

IP : 118.219.xxx.36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0.7 12:23 AM (223.62.xxx.56)

    조심스럽지만,
    생각많으신거같아요
    글도 나름조리있으시고,
    얕은분은아니신듯~

  • 2. shuna
    '13.10.7 12:29 AM (113.10.xxx.218)

    보통은 그런 생각조차 안하지 않나요?
    생각 많이 하시는거 같은데...

  • 3. 청매실
    '13.10.7 12:30 AM (125.128.xxx.7)

    ㅋㅋㅋ
    아닌것 같은데요.

    글 쓰신거 보니 논리력도 좋은 것 같고....

    재밌게 읽었구요.

  • 4.
    '13.10.7 12:46 AM (124.195.xxx.156)

    생각은 많은데 실천력이 부족해요;;
    성공한 사람들의 자기 이야기를 우연히 읽다보면 그때그때의 map을 잘 짜는 것 같더라구요.

    흥미있는 분야의 책을 가볍게 훑어보세요.그러다 맘에 드는 곳으로 가지치기가 되기도 하구요..
    어느 땐 책도 부질없어 보이는데 가끔씩 손에 들면 또 다른 세상을 만나는 기분이 들기도 하더라구요.

    보면 늘 끊임없이 배워야 하는 것 같아요.좀 알 것 같다 싶었으나 어느 날 문득 뒤돌아보면 내 어리석었던 면이 깨달아지기도 하고..
    그러더라구요.

  • 5. 앗^^
    '13.10.7 1:04 AM (118.219.xxx.36)

    생각지도 못했던 답글이 있어서 놀랐어요^^

    괜히 자신감이 생기는걸요.
    고맙습니다.


    전님처럼
    저도 어느날 문득 뒤돌아보면 어리석었던 생각들이 깨달아져서
    제대로된 사고력에대한 고민이 많았어요.

    생각의 지도를 짜봐야겠어요.

    답변 고맙습니다.

  • 6. 주절주절
    '13.10.7 1:19 AM (99.238.xxx.42) - 삭제된댓글

    위에 쓰신 걸로만 보면 생각의 흐름에서 왜? 가 빠져있습니다.
    현상은 인지하고 있는데, 이 현상이 생긴 원인에 대한 고찰이 빠져있습니다.
    이유를 알아야 긍 상응하는 개선책이나 대안이 대안이 나올 것 같습니다.

    위에 분들이 쓰신 것 같이 논리적, 합리적 사고는 이미 하고 계신 듯합니다.
    예를 든 내용으로 유추해보면 비찬적인 사고를 통해 건설적인 사고를 하고 싶으신 걸로 보입니다.
    현상 또는 현실은 잘 직시, 인지하고 계시니 이것을 잘 분석하고 분류하는 사고를 하시면 원하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원래는 다순한 사고체계를 갖고있지 않았다면, 요 근래의 일상이 복잡하거나 심란해서 단순하고 안정되고 싶은 심리적 기전이 있을 것도 같긴 합니다.

  • 7. 아...!
    '13.10.7 1:23 AM (118.219.xxx.36)

    왜?
    !!!


    정신이 번쩍 드네요.
    맞아요.
    왜!! 왜가 없었네요..


    정말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맞아요.왜!! 왜가 없었어.


    이런 표현 경박하지만
    대~~박!! 발견^^;;

    고맙습니다ㅠㅠ

  • 8. 애기배추
    '13.10.7 4:53 AM (84.31.xxx.126)

    요즘 제 최대 화두에요 제가 쓴 줄 알았네요 ㅠ 나름 방법으로는 생각하는 것도 습관이다! 어디가든 맹하게 있지말고 간판도 읽어보고 단어가 있음 어원도 생각해보고 이렇게 의식적으로 늘 생각이 깨어있자는 노력을 하긴 합니다 ㅠ

  • 9. ...
    '13.10.7 11:06 AM (118.38.xxx.244)

    주절주절// 핵심을 잘 집으셨네요.

    생각이 깊은 사람들의 필수공통이
    how,when 따위보다 why 에 집중합니다.

    왜 이럴까 ?
    왜 이렇게 얘기할까?
    왜 ,왜, 왜 ?

    여기에 집중해보면 자연히 근본을 보거나 탐구하게 되지요.
    현상 이나 과정 이 아니라 ....

    저는 옛날 중학교때, 삼각함수 배우면서
    그래서 그게 뭔데요 (사실은 왜 이걸 배우는데요?)
    라고 질문을 했다가

    살기어린, 그리고 갑자기 뒤통수를 맞은듯
    멍한 표정을 짓던 수학선생님의 눈빛을 보았죠.
    (너무 긴 이야기 이라 생략)

    지금도 가장 흔히 하는 질문이 왜요 ? 입니다

  • 10. 그걸 글로 쓰세요.
    '13.10.7 11:08 AM (58.236.xxx.74)

    저도 생각이 많아요,
    그런데 생각이 많은 건 흐르는 물에 새기는 거고,
    글로 쓰는 건 돌에 새기는 거래요.
    그 돌들에 써야 그 돌을 바탕으로 2층 3층 돌집을 올릴 수 있는 거예요.
    7개국어 하는 소녀 이야기를 책으로 읽은 적이 있는데 포스트잇에 의문점을 적어 방문에 붙여둔데요.
    그리고 방을 드나들면서 되는 안 되든 해결점을 생각해 본대요.
    그렇게 같은 생각을 6,7번 반복해서 하면 마지막엔 괜찮은 해결점이 나온다네요.

    왜 ? 도 중요하지만,
    끈질기게 생각한다,도 중요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7783 남재준 ”댓글사건은 일탈…선거개입 아니다” 9 세우실 2013/11/05 979
317782 美 NSA, 반기문 총장도...‘무차별 도청’ 1 정보 수집 .. 2013/11/05 777
317781 물 많이 먹으면 화장실 자주가고 배출양도 많은데 그냥 빠지는거지.. 2 바쁘다,, 2013/11/05 1,766
317780 대선개입 의혹 국발협, 노동부-환경부서도 안보교육 1 종북매도강연.. 2013/11/05 441
317779 남자는 여자외모..... 여자는 남자외모 안본다?? fdhdhf.. 2013/11/05 1,403
317778 백화점/홈쇼핑 3 김치냉장고 2013/11/05 948
317777 뭐 입고 외출할까요? 3 오늘같은날 2013/11/05 971
317776 새누리 “安 특검 운운, 다시 정쟁 씨앗 뿌려 3 환영 2013/11/05 516
317775 울산 계모, 뜨거운 물 뿌리고 다리뼈 뿌려뜨려.. 엉덩이근육 소.. 18 opus 2013/11/05 4,363
317774 국정원, 최근 5년간 2조원 넘는 활동비 타 썼다 2 치외법권 누.. 2013/11/05 591
317773 목사님들도 은사받으면 이름만 듣고도 그사람에 대해서 다 알수있나.. 42 신기해요 2013/11/05 2,081
317772 이 사진을 숨겨라 3 우리는 2013/11/05 1,191
317771 두아이의 외모차이 6 남매 2013/11/05 2,883
317770 죄송)오늘 오후2시에 대장내시경하는데ᆞᆢ 1 걱정 2013/11/05 784
317769 커피 머신기로.. 녹차라떼같은것도 만들수 있나요? 3 궁금 2013/11/05 886
317768 새치기의 최후 우꼬살자 2013/11/05 734
317767 초등1학년 알림장에 반친구가 쓴 말 제가 예민한건지요? 15 초1 2013/11/05 3,349
317766 검찰, 82쿡을 유명사이트로 봐 4 시민기자 2013/11/05 1,091
317765 코에 짜다가 생긴 자국... 3 피부 ㅠ 2013/11/05 1,324
317764 동치미 얼마나 오래두고 먹을수 있나요? 2 김치냉장고 2013/11/05 2,804
317763 초등 학예발표회 때 꽃다발 가져가나요? 4 학부모 2013/11/05 1,197
317762 KT ”무궁화 위성 헐값 매각 아니다” 반박 세우실 2013/11/05 576
317761 유튜브의 동영상 다운받는 방법이요~ 3 비프 2013/11/05 1,365
317760 어린이집 개별 면담 무슨 이야기 하죠? 1 직장맘 2013/11/05 1,206
317759 6살 딸아이....글자 쓰거나 읽은데 "관심".. 5 6살 2013/11/05 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