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애가 과목마다 꼭 두 세개 틀려요.

시험 조회수 : 1,391
작성일 : 2013-10-05 10:33:46
공부를 제대로 한 것도 아니고 안 한 것도 아니여.

나름 공부 했겠죠.

그런데 시험 보면 1개에서 3개 정도를 틀려와요.

점수는 배점 높은 것도 있어 96점부터 80 점대 후반까지 나와요.

이런 아이, 실수든 뭐든 실력일텐데, 이제 고등학교 올라가는데,

고 두 세개 안 틀리는 비법 같은거 있을까요?

매번 보면 안타까워서...
IP : 211.209.xxx.1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진28
    '13.10.5 10:36 AM (210.117.xxx.61)

    배점 높은 걸 틀린다는 것은 난이도가 있는 걸 틀린다는 건데 고등학교 가면 시험 난이도에 좌절하고 성적이

    잘 안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고등부 선행을 좀 빡시게 시켜야 할 듯 한데요;;;

  • 2. 우유
    '13.10.5 10:39 AM (39.118.xxx.94)

    반복과 심화가 덜 된 듯..
    100점과 90점의 차이죠

  • 3. 100점과
    '13.10.5 10:46 AM (180.65.xxx.29)

    1개틀리는건 하늘과 땅 같아요. 100점 맞는 애들은 그 한문제 때문에 얼마나 더 노력하는지 몰라요
    실수면 몰라도 매번 그런건 완벽하게 준비한 애와 아닌애 차이 같은데요

  • 4.
    '13.10.5 12:09 PM (211.48.xxx.230)

    아이가 시험에 긴장을 많이 해서 그럴수도 있어요
    몰라서라기 보다 100점에 대한 압박 때문에 그럴수도
    있어요 아이도 잘보고 싶겠죠
    100점과96점은 정말 대단한 차이입니다 100점을
    맞으려면 정말 많이 봐야합니다 완벽하게
    아이가 자기 생각에는 완벽하게 봤다고 생각하지만
    조금 부족한거죠 긴장도 많이하고
    덜렁대기보다 잘보려고 하니까 실수를 하는거 같아요
    딱 한번이라도 100점 맞으면 잘 맞는데 그게 어렵죠
    시험때 릴렉스 할수 있도록 엄마가 편하게 해주세요
    반복을 많이 하도록 조언해주시구요

  • 5. ㅇㅇ
    '13.10.5 12:21 PM (211.209.xxx.15)

    답지 낼 때 너무 쉬워서 이번건 100점이겠구나 하고 낸대요. 덜렁거린다는 얘기겠지요? 스스로 고쳐야 할텐데,

    많은 답변 얘기해 줄게요. 감사합니다.

  • 6. 공부의 깊이
    '13.10.5 2:19 PM (119.207.xxx.52)

    공부를 깊게 하지 않아서 그런 거에요.
    과목마다 그런 현상이 있다는 것은 단지 덜렁대는 성격 때문만은 아니에요.
    초등학교나 중1정도 저학년때는 80%정도 깊이로 공부해도 맞을 수 있도록 문제가 나옵니다.
    그러니까 100% 이해하고, 응용하고, 암기하지 못해도 대충 맞을 수 있는거죠.
    중학교 고학년부터 수능까지 올라갈 수록 변별력을 주기위해
    100% 완벽하게 알고있지 못하면 틀리는 문제가 꼭 출제됩니다.
    이런 문제들은 오히려 80~90% 정도만 알고있는 아이들이 딱 걸려들기 쉽게 함정을 파서 문제를 내기때문에,
    어설프게 공부한 아이들은 다 걸려들게 되어있어요.
    그래서 시험 볼 때는 쉽다고 하며 풀었다가 나중에 보면 틀리는 거에요.
    이런식으로 완전 열심히 공부한 아이와 적당히 열심히 공부한 아이를 가려내는 거죠.
    그래서 공부는 100% 완벽수준을 목표로 공부를 해야하고 이렇게 하는 아이들이 나중에 최상위권을 형성하고
    좋은 대학에 갑니다.
    그런데 아이에게 깊게 공부하라고 한다고 해서 다 스스로 할 수 있는건 아니에요.
    스스로 공부를 깊게 파고들어 할 수 있는 아이는 이미 전교권일 것이고,
    이런 아이를 공부머리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 못한 대부분의 아이들은 뭐가 깊이 있는 공부인지 몰라요.
    내가 이 단원의 내용을 다 아는가? 친구에서 설명할 수 있는가?
    잘 알고 있는 부분은 뭐고 아직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가?
    이런식의 스스로의 검증능력이 약해서 그런거에요. (이를 메타인지능력이라고 해요)
    이런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무조건 열심히 해라 한들 어디까지가 열심인지 잘 몰라요.
    또 열심히 한다해도 시간투자 대비 효율이 낮죠.
    내가 모르는걸 찾아내서 알도록 하는게 공부의 목적인데
    정작 모르는건 그냥 패스하고 아는 것만 주구장창 반복하는 엉터리 공부가 되기 쉬어요.
    그런 아이들은 옆에서 누가 도와주면 좋은데요,
    즉, 아이에게 공부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하는 방식이 제일 좋아요.
    아이가 설명을 할때 단지 아이가 단순 암기만으로 설명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계속 더 깊게 파고들어 가면서 추가적인 질문을 해서 아이가 대답을 잘하는지 점검을 해야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아~ 이건 설명할 수 있으니 아는 것이고 이건 대답을 못했으니 모르는 것이고
    그러니 이런이런 부분을 시험전에 더 보완해야겠다.
    이렇게 상당기간 훈련을 시키면 공부를 어느 정도까지 깊게 해야하는지 터득을 하기 때문에
    나중에 스스로 잘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머리가 지속적으로 훈련을 시키면 어느정도까지는 꽤 발달이 됩니다.
    그런데 문제가 이런 점검자 역할 또는 훈련자 역할을 누가 하느냐 인거죠.
    어려서는 부모님이 제일 좋은데,
    학년이 올라갈 수록 잘 모르고 귀찮으니깐 아이들을 보통 학원이나 과외로 보내죠.
    학원은 개인별로 점검을 꼼꼼히 해주는 저런 과정이 불가능하므로 당연히 패스.
    과외도 천차만별이라 그렇게 정성껏 해주는 과외샘 만나기도 어렵고. 참 어려워요.
    아, 그래도 현실적인 결론은,
    어머니나 아버지가 그런 역할을 해주실 수 있으면 제일 좋구요.
    그게 힘들면 주요 한두 과목 정도 좋은 과외샘 찾아서 일정기간 맡겨 훈련시키는 것도 방법이에요.
    또 아이들 중에 나중에 언제든 공부철이 들어서 성적 욕심, 대학 욕심이 생기면 어느정도 머리가 있는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을 마구마구 하면서 저런 과정으로 잘하게 됩니다.

  • 7. ㅇㅇ
    '13.10.5 2:43 PM (211.209.xxx.15)

    공부의 깊이...긴 글 정말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겠네요. 깊이 있는 공부 안 하는거 같긴 해요. 제가 도움이 되면 좋겠는데 받아줄지. 노력해 봐야겠어요.

  • 8. 베이글
    '13.10.5 3:54 PM (221.158.xxx.150)

    저도 정성어린 글 감사합니다

  • 9. parkeo
    '13.10.5 5:13 PM (115.143.xxx.11)

    저도 감사..
    항상 깊게 많은 양을 공부하는 우리딸이 성적은 그래도 큰 차이가 안나는것 같다고 투덜될때 학년이
    올라갈수록 빛을 볼수있을꺼라 다독거려 주었었는데 제 생각이 맞았었던것 같아 안심되기도 하네요..

  • 10. 답글
    '13.10.5 10:28 PM (180.65.xxx.30) - 삭제된댓글

    댓글좋아서 아이랑 함께 보려구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4877 김건희 볼케이노 마담이었다 이거 사진 봤어요? .. 18:28:30 122
1744876 잼프가 민주당 대표일때 테러 당한거 재수사 원해요. 1 .. 18:23:09 113
1744875 아효 달걀 배송 깨져서 왔네요 3 ........ 18:21:30 220
1744874 조연급 배우들 잘되는게 보기 좋아요 2 ... 18:20:27 239
1744873 주말부부 의외의 좋은점 4 ... 18:20:11 329
1744872 노안 치료제 나왔네요 5 삶의 질이 18:16:38 701
1744871 1월1일~6일..해외여행지 추천해주세요. ... 18:16:00 71
1744870 넷플릭스 청춘의 덫 있어요 1 Suo 18:15:54 142
1744869 이 벌레의 정체가 과연 뭘까요? 6 .. 18:13:31 248
1744868 암종양 2 18:12:49 393
1744867 사랑과 평화-장미 2 뮤직 18:12:31 97
1744866 파프리카, 오이, 토마토, 오이고추 뭐 해 먹을까요 5 도움좀 18:12:15 165
1744865 워치를 사면 핸폰 안들고 런데이앱 러닝 가능한가요? 3 러닝 18:10:33 172
1744864 이렇게 변하면 성형수술 하시겠어요?(영상) 12 성형 18:10:01 540
1744863 제가 진상에 강한 타입인 이유를 알았네요 5 ㅇㅇ 18:08:53 626
1744862 김은혜 나경원등 1 아직도 할말.. 18:06:18 304
1744861 네이버 병원 리뷰 조심 3 12345 18:05:08 593
1744860 3년된 새 빌라이고 주인이 회사이면... 2 ,,, 18:02:12 468
1744859 누군가 조국 묘사했던 글 13 인상깊은표현.. 17:59:56 800
1744858 남편 심리를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1 ... 17:59:56 393
1744857 자영업 폐업자 수 100만명... 6 ........ 17:59:17 805
1744856 성심당 별로네요 16 ... 17:59:07 1,154
1744855 80대 시어머니 습관 처럼 늘 하시는.말씀 6 말버릇 17:52:05 1,325
1744854 물어보살 보다가 궁금해서... 1 ... 17:51:20 301
1744853 고급 아이스크림 최강 맛 뭐가 있을까요 11 냠냠 17:48:09 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