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기자는 이쯤 되어야,,,

기사 조회수 : 1,139
작성일 : 2013-10-03 12:58:20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31002171004427

 

 

[뉴스토마토 박수현기자] 검찰이 참여정부에서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된 대통령기록물 가운데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2일 발표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후임자가 대북관계 참고용으로 볼 수 있도록 국정원에 대화록을 남기기 위해 수십년간 밀봉되는 대통령기록물로 지정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화록 애초에 이관 안돼..'사초(史草) 실종' 없었다

검찰에 따르면 대화록은 참여정부에서 생산돼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된 기록물 755만건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명박 정부의 국가기록원에서 보관 중일 때 소실된 흔적 역시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그간 정치권이 '대화록은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는 대통령기록물'이라고 인지하고 있던 것과 배치되는 대목이다. 처음부터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지 않았으니 대화록은 애초에 '실종'된 적이 없는 것이다.

그간 대화록은 대통령기록물이며, 이들을 통째로 국가기록원에 넘겼다고 주장한 민주당과 문재인 의원은 이러한 사실을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대화록은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물관리시스템 팜스(PAMS)에는 지정 기록물이 아닌 관계로 이관되지 않았을 뿐이며, 청와대 e지원을 복사한 봉하 e지원은 반납 이후 줄곧 국가기록원이 보관 중이었으니 '사초(史草) 실종'이라는 말 자체가 틀린 것으로 확인된 셈이다.

◇'국정원본'과 삭제됐다는 '복구본', e지원 탑재 '복구본' 사실상 같아

검찰은 또 노 전 대통령이 퇴임 당시 봉하마을로 가져갔다 반납한 e지원 시스템에서 두 개의 대화록을 찾았다고 밝혔다.

하나는 초안과 같은 형태로 참여정부 시절 생산됐다 삭제된 걸 이번에 복구한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지 않은 것으로 봉하 e지원에 탑재되어 있었다고 한다.

"참여정부 당시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될 기록물로 분류가 안 됐다"는 검찰의 설명은 대화록이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되지 않아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된 사실 자체가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검찰은 지난 6월 남재준 국정원장이 공개한 대화록과 e지원에서 나온 두 개의 대화록에 대해 "문건이 거의 똑같다"면서 "차이는 있지만 내용의 차이는 아니다"고 전했다.

그렇다면 정상회담 직후 국정원이 녹음파일을 풀어 완성된 대화록은 노 전 대통령의 뜻에 따라 국정원과 봉하 이지원에 각각 보관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같은 문건으로 분석된다.

◇국정원에 남긴 이유는..후임자 참고용

노 전 대통령이 켕기는 부분이 있어 대화록을 삭제했다는 새누리당의 공세는 국정원에 대화록을 둔 점으로 볼 때 설득력이 없다.

노 전 대통령이 대화록을 없애려고 했다면 재직 시절 원장의 독대도 받지 않았던 국정원에 이를 남겨둘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특히 봉하 e지원에서 '복구본'과 '발견본'이라는 두 개의 대화록이 확인된 것도 주목된다. '국정원본'과 두 대화록의 내용이 거의 같고, '복구본'이 초안 형태라면 완성된 대화록이 필요할 뿐 초안이 불필요한 것은 당연하다.

노무현재단이 "최종본이 만들어지면 초안은 삭제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반응한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다.

재단은 "그럼에도 검찰이 삭제나 복구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흡사 의혹의 대상인 것으로 발표하고, 이를 일부에서 마치 대단한 의혹이 있는 것으로 몰아가는 정략적인 행태는 유감"이라고 강조했다.

그럼 노 전 대통령이 대화록을 대통령기록물로 지정하지 않고 국정원에 한 부를 둔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여기엔 "다음 대통령이 향후 대북관계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랬다"는 참여정부 관계자들의 공통된 진술이 대답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화록이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돼 국가기록원에 이관될 경우 노 대통령 이외에는 누구도 이를 볼 수 없다.

북한 최고책임자의 생각과 발언을 정리한 대화록은 몇십년간 밀봉되기보다는 후임 대통령도 함께 볼 수 있어야 한다는게 노 대통령의 의지였다고 한다.

그러나 정상간 대화록이라는 기록 자체의 비밀성도 유지해야 했던 노 대통령으로서는 국정원에 맡기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선 국정원 보관을 위해 지정기록물로 분류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기록관에도 보낼 수 없었다는 것이 대화록 논란의 진실인 것으로 보인다.

이런 방식으로 하면 대화록은 국가 최고 정보기관인 국정원이 보관하면서 후임 대통령이 필요할 때 언제든 참고할 수 있으면서도 지정기록물이 아니기 때문에 후임 대통령 등 열람자는 대통령 기록물관리법 위반의 혐의도 피할수 있게 된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이 같은 구상은 남재준 국정원장이 "국정원의 명예"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대화록을 전격 공개하면서 NLL 정쟁의 소지로 전락하고 만 셈이 됐다.

박수현 기자 parksoo9@etomato.com

ⓒ경제전문 멀티미디어 뉴스통신 뉴스토마토
IP : 121.174.xxx.19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기사.
    '13.10.3 1:02 PM (121.174.xxx.196)

    여기저기 하도 귀신처럼 물고 뜯고 늘어져서 간만에 진지한 자세?로 기사를 읽어봤습니다.
    이 글.. 제가 보기엔 맞는 것 같습니다. 평소 노대통령의 인품으로 보아서 후임대통령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던 거 같습니다..

    국가기록원에 가면 대통령일지라도 몇십년 열람할 수 없으니 국정원에 보내서 필요할 때 수시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그 분만의 배려인 듯 합니다............그 깊은 뜻을 ,,봉황의 깊은 뜻을 뱁새는 알 수 없다,,
    로 보입니다. 그런데 제발 그 분,,잠 좀 자게 하면 좋겠어요, 어쩜 이렇게 갈기갈기 찢어놓는지..
    천벌을 받을 인간들 쎄고 쎘어요,, ㅠㅠㅠㅠ

  • 2. per
    '13.10.3 1:13 PM (175.223.xxx.17)

    정말 명쾌하게 정리 잘된 기사네요. 이해하기도 쉽고
    많은 사람이 봤으면 하네요

  • 3. 111
    '13.10.3 1:48 PM (119.192.xxx.251)

    많은 사람이 봤으면 하네요.222

  • 4. 마이쭌
    '13.10.3 2:13 PM (223.62.xxx.44)

    제발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습니다 제발........

  • 5. ...
    '13.10.3 2:20 PM (118.38.xxx.220)

    제일 진실에 가까운 기사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9453 (급질)지금ktx로서울가요..날씩궁금 4 대한아줌마 2013/10/19 616
309452 기사 잘못쓰면 나한테 맞는다? 샬랄라 2013/10/19 739
309451 송파구나 강남 서초구중에 괜찮은 교회 있을까요? 12 코코 2013/10/19 2,119
309450 윤석열 수사팀 "국정원, 5만5천여 댓글 공작".. 샬랄라 2013/10/19 728
309449 슈스케5 임순영 탈락 아쉽네요 16 시청자 2013/10/19 2,398
309448 어디서 배운 버릇이냐고? ㅎㅎㅎ 1 가을 2013/10/19 831
309447 미국 단기거주에 대해 궁금해요. 다녀오신 분이나 미국거주하신 분.. 12 미국 2013/10/19 1,943
309446 혹시 김광석씨 기일이 가까웠나요? 6 ㅇㅇ 2013/10/19 1,186
309445 살다살다 이렇게 좋은팝송은 처음인듯 . . 97 무한반복중 2013/10/19 36,331
309444 남자는 80먹어도 애네요 ㅋ 2 326 2013/10/19 1,662
309443 티아라 저질들이... 7 채널돌리고싶.. 2013/10/19 3,886
309442 김용건 하정우 너무 보기 좋네요 16 멋짐 2013/10/19 15,974
309441 82 쿡에 그릇 뒤집어 상표 보는 여자들 무척 많은 모양이에요... 34 진짜 2013/10/19 4,175
309440 오늘 나혼자 산다 이성재씨 대학방문기 보고 펑펑 울었어요 4 // 2013/10/19 4,675
309439 3개월된 우리아기 4 내맘에 초코.. 2013/10/19 1,134
309438 아이땜에 너무 놀랐어요 26 .. 2013/10/19 10,310
309437 월동 준비... 암막 커튼이 나을까요 아님 뽁뽁이가 나을까요 7 커텐 2013/10/19 2,819
309436 우리도 사랑일까 지금 해요. 1 kbs1 2013/10/19 954
309435 카스에 친구딸이 지 엄마 욕을 써 놨어요 4 카카오 2013/10/19 2,778
309434 묵은지로 할 수 있는 요리 뭐가 있을까요? 4 요리조리 2013/10/19 1,524
309433 이제 스케일링도 의료보험이 되나요? 3 fdhdhf.. 2013/10/19 1,810
309432 고민이네요. 모임만 다녀오면 11 soo 2013/10/18 4,327
309431 애들 홍삼 먹일때 어느정도 텀둬야하나요? 2 ... 2013/10/18 810
309430 ebs에 지금 노틀담의 곱추 시작해요~~ 2 나비 2013/10/18 680
309429 사랑과 전쟁 배우들.. 6 ,,, 2013/10/18 5,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