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집에서 아이공부 봐주고싶고 그런데 현실은 맞벌이 해야할거같아요..넋두리에요..

mum 조회수 : 2,272
작성일 : 2013-10-01 15:07:05

실수령연봉 4200정도의 외벌이가정입니다..

 

시댁에서 도와주셔서 집은 다행히 있구요.

 

얼마전까지만해도 아이 학원안보내고.제가 배운걸로 아이 가르치고 밥해먹이고...

생활비 아껴가며 잘 살면 되겠지싶었는데...

 

정말 돈이 뭐라고, 가끔 위축되는 제 자신도 싫고

그냥 돈을 벌면 이런고민을 안할까? 몸은 좀 힘들더라도 나중을 위해서 낫지않을까.하는 생각이 막연히 드네요.

 

저는 부모님이 어려서 잠깐 맞벌이를 하셨는데 당시 외동딸이었고 봐주시는 조부모님도 안계셨고..

그때 당시 기억이 너무 싫어서 난 맞벌이 하지말아야지 생각했었어요.

 

근데 지금은 점차 생각이 바뀌어가는게..우리 아이도 어려서 엄마랑 좋은기억도 좋지만 나중에 번듯한 집한채 마련해주는걸 더 좋아하지는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요.

 

자아실현이 아닌 경제적인 이유로 저도 맞벌이를 해야할것같은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퇴근하고 집에 와서 또 아이보고 집 치울 생각하면 무섭기까지한데 그래도 적응되면 다 하는거겠죠 다른사람들처럼?

신랑이랑 가사분담은 주말외엔 안될거같아요. 신랑은 매일 11시에 끝나거든요.

 

저같은 상황이시면..맞벌이 하시겠나요?

주변분들은 어떻게 하고 계신지..솔직한 의견이 궁금해요.

돈도 돈이지만 아이 어릴때 엄마와의 유대관계, 정서가 더 중요하다고 느낀분들의 경험담도 궁금하구요.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IP : 112.148.xxx.11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0.1 3:11 PM (119.148.xxx.181)

    애가 몇살인지 모르겠는데,
    어차피 클수록 엄마가 공부 봐주는게 한계에 부딪힙니다.
    능력의 한계가 아니라 감정의 한계요.
    알바라도 해서 학원보내주는게 나아요. 딱 고만큼만 번다고 해도 말이죠.

  • 2. 근데요
    '13.10.1 3:12 PM (175.211.xxx.171)

    솔직히 돈 벌어서 더 해주고 이러면 좋지만..
    현실적으로 재취업하거나 취업해서 돈을 벌더라도
    현실은 100-200 사이이며 시간 빠듯하고 바쁜 사무직이거나
    단기적인 알바 자리만 많아요
    전문 라이센스와 하급 사무직 사이에 그럴듯한 일자리가 거의 없어요
    그러다 보니
    돈 100-150 벌려고 하루종일 나가서 앉아 있다보면
    놓치는게 너무너무 많습니다.
    물론 급여 300 이상하면 나가서 돈버는게 훨씬 남지만
    200 전후면 정말 남는 장사가 아닌 거 같아요.

  • 3. 글쓴이
    '13.10.1 3:20 PM (112.148.xxx.111)

    '근데요'님...전 고학력자가 아니고 게다가 신입으로 시작해야할것같아요. 있는거라곤 영어 좀 하는거..뿐인데, 그래도 남편연봉에 한달에 제 월급에 100만원이라도 더 적금하면 지금보단 훨씬 나아지리라 생각하는데..맞고틀린문제는 아니지만 정말 300이하면 그냥 집에 있는게 나을까요? ㅠㅠ .... 사실 지금 한달에 남편월급갖고 30만원 저축하기도 힘들거든요. 성과급/보너스야 거의 안쓰고 저축하긴하지만요 1년에 1500은 해야할것같은데....결혼 3년됐구요

  • 4. ?????
    '13.10.1 3:30 PM (218.238.xxx.159)

    어째서 저연봉에 한달 30만원 저축이 힘들어요?
    그리고 결혼3년이고 애가 몇살인데 지금 아이공부 걱정하고 있는거죠?
    님은 무슨일을 할수 있는데요? 고학력자가 아닌데 영어는 좀하는건 뭐에요??

  • 5. ㅇㅇㅇ
    '13.10.1 3:39 PM (221.164.xxx.106)

    집은 인구도 주는데..
    나중에 집값 떨어지면 지가 사거나 월세로 살거나 하면 되죠
    지금ㅈ ㅣㅂ이 제일 비싸서 지금 결혼하는 분들이 안습일 뿐

    어릴때 엄마랑 같이 안 있으면 커서도 대학가고 회사가고 시집가고 평생 못 만나요

  • 6. ㅇㅇㅇ
    '13.10.1 3:41 PM (221.164.xxx.106)

    님 출근하시면 옷 화장품값 차비 택시비 회사동료 경조사비 시터비 학원비 등등등..

    재벌놈들이 최저시급 동결시켜서 사무직 월급도 적잖아요

    십년 이십년전 부모들하고 지금 부모들은 또 달라야해요

  • 7. ..
    '13.10.1 3:41 PM (220.120.xxx.143)

    외동이면 외벌이로도 나쁘지않은듯한데요 집도 있다면 대출은 없는거고..

    저라면 아껴서 그냥 집에서 아이 학교갈때 아르바이트정도는 할것같아요

    종일 근무는 힘들것같고요

    전 지금 9~5시 근무하는데 집안일하고 일과 마치면 애들보다 더 일찍 자나봐요
    애들이 6,4살인데 아주 아주 힘들어요 6개월 지났는데 적응은 어림없구요..

    그치만 제 스스로 일을 다니다는건 저한테 상당한 자신감을 주긴합니다..
    그거하나만 보고 일해요 생계형 맞벌이긴 한데 쓰고보니 자아실현형인것같기도 하고 ㅎㅎ

  • 8. 워킹맘
    '13.10.1 4:00 PM (192.158.xxx.11)

    워킹맘으로서 저도 늘 님과 같은 고민을 해왔기에 제 생각을 말씀드리면...

    일을 결정하실때, 님께서 그 일에서 재미를 얻고 자아 실현할수 있는 일이면 추천이구요..
    단순히 돈벌이 수단으로.. 특히 나중에 딸아이의 경제적 풍요를 위해서.. 이런거면 약간 비추합니다.

    집도 있으시고 외벌이 4200이면 사실 세가족 생활 되는 금액이고.. 집에서 아이와 함께 유대를 쌓으며 정서적인 안정을 주는것도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교육비 많이 드는 시대지만 맞벌이 하면서 아이는 기계적으로 학원만 돌리는게 결코 아이 미래에 도움 안된다고 생각하구요..

    제 기준으로는 워킹맘으로써 자녀에게 물려줄수 있는건 금전적인게 아니라.. 엄마가 이렇게 열심히 자기 발전을 멈추지 않았고, 매사 열심이었다라는 그런 일상의 조각들 작은 하루하루가 쌓여서 아이가 매사 열심히 하고 훗날 자기 일을 가질때 그런 엄마의 모습이 알게 모르게 투영되는것이 큰 유산일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9. 그게
    '13.10.1 4:12 PM (175.211.xxx.171)

    워킹맘이지만 힘든 일이에요
    그리고 사실 아이들이 보는 엄마는 가정에서 전업으로 있던
    회사에 나가 일을 하던
    보는게 비슷해요
    전업으로 있다고 해서 그 엄마가 직장맘보다 더 열심히 살고 더 능력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건 아니에요
    워킹맘이지만 아이들과 대면하는 시간은 하루 두 세시간이 고작이고
    주말엔 내내 자고 쉬어야하는데 무슨 이미지를 뭘 어떻게 주겠어요
    타이틀이나 돈번다..이런 말로만의 정보는 아이들에게 오히려 부정적이에요
    아이들은 보일때의 엄마 평가가 다니까요
    평생 집에서 마루만 쓸고 닦고 밥 철저히 해주고 공부봐주는 엄마가 얼마나 어려운가요
    그래도 엄마가 나를 잘 돌봐주고 있다는 안정감을 준다면
    그건 엄청난 유산인거죠
    돈 벌고 많이 사줘도 찌든 애들 많아요
    엄마의 능력과 아이들의 능력은 전혀 별개에요. 엄마가 의사라고 아이들이 의사 아이들이 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만큼의 노력을 들이는 거겠죠.

  • 10. 일단
    '13.10.1 4:58 PM (110.9.xxx.2)

    아직 아이가 없는거죠??? 제가 아까 원글님이 결혼한지 이제 3년차라고 본 것 같은데????
    귀신에 홀렸나??? 댓글 하나 달았다 지우셨죠????

    위에 ??? 님이 댓글 다신거 보니 제가 잘못 본건 아닌것 같네요.

    원글님 좀 이상해요. 돈을 벌고 싶었으면 아이 태어나기 전인 지금까지 바짝 벌었어야죠.
    결혼 3년차 되도록 놀아놓고 아직 아이도 안 낳았는데, 아이를 위해서 돈을 버네 마네...

    아이 태어나면 3-4년은 무조건 육아 하면서 집에 있는게 돈 버는겁니다. 그걸 몰라서 지금 그러시나요?

  • 11. 집에서
    '13.10.3 9:03 PM (1.241.xxx.31)

    4200이면 애들 가르키는데 힘들지 않나요??
    다행히 지원 받는것도 있고 재테크도 좀 하고 있어서 괜찮다지만
    정 힘들면 아르바이트라도 하심이~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5598 [10.4선언 6주년 특별행사] 오인동 박사님의 BOOK 콘서트.. bomber.. 2013/10/02 370
305597 버스커버스커 가을밤 들어보셨어요 6 버스커 2013/10/02 1,861
305596 직계가족끼리 할만한 인천 돌잔치장소 2 둘째맘 2013/10/02 997
305595 만귀비라고 처음 검색해봤는데..황제랑 19살 차이나는 2 mkl 2013/10/02 1,863
305594 호감가는 사람과 대화후 시들해진 경험 10 실망 2013/10/02 5,108
305593 남편이 헹주삶은냄비에 라면끓여먹었어요 20 온유엄마 2013/10/02 4,702
305592 포인트 활용만 잘해도 돈이 세이브 되네요 2 셉템버 2013/10/02 1,151
305591 상체살 빼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11 다이어트 2013/10/02 4,066
305590 정말고민하다 제머리로는판단이서질않아요 집문제 2013/10/02 597
305589 저 같은 분 계세요? 4 애플파이 2013/10/02 1,385
305588 저희 아파트 이번 주에 7천 회복했습니다. 6 참고하세요... 2013/10/02 3,747
305587 사법연수원 건 보면 느껴지는게 15 결론발표되었.. 2013/10/02 3,279
305586 알아듣기 힘든 아나운서 발음 ... 2013/10/02 848
305585 생방송 - 장준하특별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팩트TV(촛불) 1 lowsim.. 2013/10/02 623
305584 말많은남자 결혼상대로 어떤가요? 23 만남 2013/10/02 8,780
305583 커브스 창업하면 보통 얼마정도 벌 수 있나요? 1 커브스다니는.. 2013/10/02 4,387
305582 몸이 너무 차요 특히 손발이 .. 6 평생다이어터.. 2013/10/02 1,935
305581 젊어서 하기 좋은 것 무엇있을까요 3 키다리아가씨.. 2013/10/02 772
305580 프로폴리스 중 타블렛이 효과가 젤 미미한가요 2 효과 2013/10/02 1,458
305579 주택과 아파트의 생활비 차이가 많이 나는지요 7 두통 2013/10/02 2,220
305578 박원순 "용산미군기지 오염조사..안되면 1인시위라도&q.. 1 샬랄라 2013/10/02 759
305577 너무 일방적인 세입자. 답답해 미치겠어요. 20 집주인 2013/10/02 4,283
305576 사람을 찾습니다. 그리움 2013/10/02 750
305575 조용하고 야심한 새벽에 경비아저씨랑 무슨 얘길 할까요? 12 vv 2013/10/02 3,098
305574 귀촌에 성공하신분 계신가요?? 8 기쁨의샘 2013/10/02 2,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