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집에서 아이공부 봐주고싶고 그런데 현실은 맞벌이 해야할거같아요..넋두리에요..

mum 조회수 : 2,272
작성일 : 2013-10-01 15:07:05

실수령연봉 4200정도의 외벌이가정입니다..

 

시댁에서 도와주셔서 집은 다행히 있구요.

 

얼마전까지만해도 아이 학원안보내고.제가 배운걸로 아이 가르치고 밥해먹이고...

생활비 아껴가며 잘 살면 되겠지싶었는데...

 

정말 돈이 뭐라고, 가끔 위축되는 제 자신도 싫고

그냥 돈을 벌면 이런고민을 안할까? 몸은 좀 힘들더라도 나중을 위해서 낫지않을까.하는 생각이 막연히 드네요.

 

저는 부모님이 어려서 잠깐 맞벌이를 하셨는데 당시 외동딸이었고 봐주시는 조부모님도 안계셨고..

그때 당시 기억이 너무 싫어서 난 맞벌이 하지말아야지 생각했었어요.

 

근데 지금은 점차 생각이 바뀌어가는게..우리 아이도 어려서 엄마랑 좋은기억도 좋지만 나중에 번듯한 집한채 마련해주는걸 더 좋아하지는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요.

 

자아실현이 아닌 경제적인 이유로 저도 맞벌이를 해야할것같은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퇴근하고 집에 와서 또 아이보고 집 치울 생각하면 무섭기까지한데 그래도 적응되면 다 하는거겠죠 다른사람들처럼?

신랑이랑 가사분담은 주말외엔 안될거같아요. 신랑은 매일 11시에 끝나거든요.

 

저같은 상황이시면..맞벌이 하시겠나요?

주변분들은 어떻게 하고 계신지..솔직한 의견이 궁금해요.

돈도 돈이지만 아이 어릴때 엄마와의 유대관계, 정서가 더 중요하다고 느낀분들의 경험담도 궁금하구요.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IP : 112.148.xxx.11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0.1 3:11 PM (119.148.xxx.181)

    애가 몇살인지 모르겠는데,
    어차피 클수록 엄마가 공부 봐주는게 한계에 부딪힙니다.
    능력의 한계가 아니라 감정의 한계요.
    알바라도 해서 학원보내주는게 나아요. 딱 고만큼만 번다고 해도 말이죠.

  • 2. 근데요
    '13.10.1 3:12 PM (175.211.xxx.171)

    솔직히 돈 벌어서 더 해주고 이러면 좋지만..
    현실적으로 재취업하거나 취업해서 돈을 벌더라도
    현실은 100-200 사이이며 시간 빠듯하고 바쁜 사무직이거나
    단기적인 알바 자리만 많아요
    전문 라이센스와 하급 사무직 사이에 그럴듯한 일자리가 거의 없어요
    그러다 보니
    돈 100-150 벌려고 하루종일 나가서 앉아 있다보면
    놓치는게 너무너무 많습니다.
    물론 급여 300 이상하면 나가서 돈버는게 훨씬 남지만
    200 전후면 정말 남는 장사가 아닌 거 같아요.

  • 3. 글쓴이
    '13.10.1 3:20 PM (112.148.xxx.111)

    '근데요'님...전 고학력자가 아니고 게다가 신입으로 시작해야할것같아요. 있는거라곤 영어 좀 하는거..뿐인데, 그래도 남편연봉에 한달에 제 월급에 100만원이라도 더 적금하면 지금보단 훨씬 나아지리라 생각하는데..맞고틀린문제는 아니지만 정말 300이하면 그냥 집에 있는게 나을까요? ㅠㅠ .... 사실 지금 한달에 남편월급갖고 30만원 저축하기도 힘들거든요. 성과급/보너스야 거의 안쓰고 저축하긴하지만요 1년에 1500은 해야할것같은데....결혼 3년됐구요

  • 4. ?????
    '13.10.1 3:30 PM (218.238.xxx.159)

    어째서 저연봉에 한달 30만원 저축이 힘들어요?
    그리고 결혼3년이고 애가 몇살인데 지금 아이공부 걱정하고 있는거죠?
    님은 무슨일을 할수 있는데요? 고학력자가 아닌데 영어는 좀하는건 뭐에요??

  • 5. ㅇㅇㅇ
    '13.10.1 3:39 PM (221.164.xxx.106)

    집은 인구도 주는데..
    나중에 집값 떨어지면 지가 사거나 월세로 살거나 하면 되죠
    지금ㅈ ㅣㅂ이 제일 비싸서 지금 결혼하는 분들이 안습일 뿐

    어릴때 엄마랑 같이 안 있으면 커서도 대학가고 회사가고 시집가고 평생 못 만나요

  • 6. ㅇㅇㅇ
    '13.10.1 3:41 PM (221.164.xxx.106)

    님 출근하시면 옷 화장품값 차비 택시비 회사동료 경조사비 시터비 학원비 등등등..

    재벌놈들이 최저시급 동결시켜서 사무직 월급도 적잖아요

    십년 이십년전 부모들하고 지금 부모들은 또 달라야해요

  • 7. ..
    '13.10.1 3:41 PM (220.120.xxx.143)

    외동이면 외벌이로도 나쁘지않은듯한데요 집도 있다면 대출은 없는거고..

    저라면 아껴서 그냥 집에서 아이 학교갈때 아르바이트정도는 할것같아요

    종일 근무는 힘들것같고요

    전 지금 9~5시 근무하는데 집안일하고 일과 마치면 애들보다 더 일찍 자나봐요
    애들이 6,4살인데 아주 아주 힘들어요 6개월 지났는데 적응은 어림없구요..

    그치만 제 스스로 일을 다니다는건 저한테 상당한 자신감을 주긴합니다..
    그거하나만 보고 일해요 생계형 맞벌이긴 한데 쓰고보니 자아실현형인것같기도 하고 ㅎㅎ

  • 8. 워킹맘
    '13.10.1 4:00 PM (192.158.xxx.11)

    워킹맘으로서 저도 늘 님과 같은 고민을 해왔기에 제 생각을 말씀드리면...

    일을 결정하실때, 님께서 그 일에서 재미를 얻고 자아 실현할수 있는 일이면 추천이구요..
    단순히 돈벌이 수단으로.. 특히 나중에 딸아이의 경제적 풍요를 위해서.. 이런거면 약간 비추합니다.

    집도 있으시고 외벌이 4200이면 사실 세가족 생활 되는 금액이고.. 집에서 아이와 함께 유대를 쌓으며 정서적인 안정을 주는것도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교육비 많이 드는 시대지만 맞벌이 하면서 아이는 기계적으로 학원만 돌리는게 결코 아이 미래에 도움 안된다고 생각하구요..

    제 기준으로는 워킹맘으로써 자녀에게 물려줄수 있는건 금전적인게 아니라.. 엄마가 이렇게 열심히 자기 발전을 멈추지 않았고, 매사 열심이었다라는 그런 일상의 조각들 작은 하루하루가 쌓여서 아이가 매사 열심히 하고 훗날 자기 일을 가질때 그런 엄마의 모습이 알게 모르게 투영되는것이 큰 유산일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9. 그게
    '13.10.1 4:12 PM (175.211.xxx.171)

    워킹맘이지만 힘든 일이에요
    그리고 사실 아이들이 보는 엄마는 가정에서 전업으로 있던
    회사에 나가 일을 하던
    보는게 비슷해요
    전업으로 있다고 해서 그 엄마가 직장맘보다 더 열심히 살고 더 능력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건 아니에요
    워킹맘이지만 아이들과 대면하는 시간은 하루 두 세시간이 고작이고
    주말엔 내내 자고 쉬어야하는데 무슨 이미지를 뭘 어떻게 주겠어요
    타이틀이나 돈번다..이런 말로만의 정보는 아이들에게 오히려 부정적이에요
    아이들은 보일때의 엄마 평가가 다니까요
    평생 집에서 마루만 쓸고 닦고 밥 철저히 해주고 공부봐주는 엄마가 얼마나 어려운가요
    그래도 엄마가 나를 잘 돌봐주고 있다는 안정감을 준다면
    그건 엄청난 유산인거죠
    돈 벌고 많이 사줘도 찌든 애들 많아요
    엄마의 능력과 아이들의 능력은 전혀 별개에요. 엄마가 의사라고 아이들이 의사 아이들이 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만큼의 노력을 들이는 거겠죠.

  • 10. 일단
    '13.10.1 4:58 PM (110.9.xxx.2)

    아직 아이가 없는거죠??? 제가 아까 원글님이 결혼한지 이제 3년차라고 본 것 같은데????
    귀신에 홀렸나??? 댓글 하나 달았다 지우셨죠????

    위에 ??? 님이 댓글 다신거 보니 제가 잘못 본건 아닌것 같네요.

    원글님 좀 이상해요. 돈을 벌고 싶었으면 아이 태어나기 전인 지금까지 바짝 벌었어야죠.
    결혼 3년차 되도록 놀아놓고 아직 아이도 안 낳았는데, 아이를 위해서 돈을 버네 마네...

    아이 태어나면 3-4년은 무조건 육아 하면서 집에 있는게 돈 버는겁니다. 그걸 몰라서 지금 그러시나요?

  • 11. 집에서
    '13.10.3 9:03 PM (1.241.xxx.31)

    4200이면 애들 가르키는데 힘들지 않나요??
    다행히 지원 받는것도 있고 재테크도 좀 하고 있어서 괜찮다지만
    정 힘들면 아르바이트라도 하심이~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5570 홈쇼핑에서 홍보하는 무료체험 5일 정말인가요? 5 소심녀 2013/10/02 1,679
305569 집에서 닭봉 튀김 해보려는데요 4 처음 2013/10/02 1,243
305568 프라이머리 노래 좋네요.. 10 .... 2013/10/02 1,670
305567 10여년 만에 취직했는데,,떨려 죽겠어요 7 에휴 2013/10/02 2,427
305566 얼굴 이마에 오돌도돌하게 뭔가 많이 났어요... 3 ... 2013/10/02 1,948
305565 요새 모기 때문에 미치겠어요. 9 분화구 2013/10/02 1,612
305564 호텔에서 돌잔치를 했는데 완전 바가지쓴거 같아요.ㅠ.ㅠ 2 바가지 2013/10/02 3,069
305563 광화문쪽으로 한가롭고 커피 맛있는 집 추천 부탁드려요. 7 ^^ 2013/10/02 1,683
305562 아이를 안는 방법도 나라마다 다른 가봐요 10 .... 2013/10/02 2,064
305561 눈꺼풀 안쪽에 물집 같은게 있어요 4 ??? 2013/10/02 10,597
305560 눈밑떨림이 거의 7개월째 이어지고있어요 11 따우닝 2013/10/02 4,316
305559 유부남들이 어떻게 업소 이용하고 바람피우는지 궁금한분들 1 ㅇㅇㅇ 2013/10/02 5,616
305558 남편이 싫은건 아니지만... 6 모찌 2013/10/02 1,810
305557 컴퓨터 본체 버릴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anfro 2013/10/02 2,200
305556 급) 발톱이 부러졌어요 ㅠ.ㅠ 5 so 2013/10/02 3,798
305555 기질적으로 예민한 아이는 바이올린을 시키는게 잘못된걸까요... 9 ..... 2013/10/02 3,839
305554 미국 셧다운은 왜? 7 미쿡 2013/10/02 3,549
305553 6분만에 삭제된 내용은? 검사협박이유.. 2013/10/02 1,010
305552 피임약 노원... 자꾸 삽입하다보면 부작용은 없을까요? 2 확실한피임 2013/10/02 7,238
305551 오리엔탈 드레싱이요 글글 2013/10/02 711
305550 토익ㅡㅡ시험접수 어디서하나요? 1 영어 2013/10/02 808
305549 수원고속버스터미널에서 군포 산본동 가는 길 아시면 4 결혼식 2013/10/02 2,508
305548 감사합니다. 19 속상 2013/10/02 3,693
305547 수학/체육 한개씩 틀렸다고 징징거리는 아들 5 igo 2013/10/02 1,652
305546 중고 바이올린 살때 주의점 좀 알려주세요 6 바이올린입문.. 2013/10/02 3,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