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래에도 고부갈등은 이어질까?

명절끝만세 조회수 : 2,578
작성일 : 2013-09-21 09:18:57

제가 명절 동안 형님들을 만나 이런저런 얘기를 들으면 느낀건데요..

 

사실 저는 아직 애가 어리고 젊어서 그런가 애보다는 내가 먼저라는 사고방식으로 살았는데...

 

중고딩, 대학생, 그리고 군대간 아들 둔 형님들을 보니...

 

앞으로도 이 고부갈등은 당분간 계속되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답니다.. 슬프죠..ㅠ.ㅠ

 

형님들 중 누군가 82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자세한 사연을 적지는 못하겠지만,

 

어쩜 그렇게 삶을 아들한테 올인하는지... 물론 아들 말고 딸한테도 올인하지요.. 다만 저는 어쩌다보니 조카들이 남자애들이 숫적으로 배는 더 많아서 이쪽 사례만 본것인데..

 

스무살 넘고 대학 다니고 군대까지 간 아들한테도 하나부터 열까지 어쩜 그렇게 헌신하는지... 막... 그 구체적인 사례를 말하고 싶으나 말은 못하겠고...암튼...제가 놀랄정도로 그렇더라구요...

 

요즘 대학생 아들 학점 빵꾸나면 교수님한테 학생도 아니고 학부모가 전화해서 우리 아들 학점 좀 잘 달라고 읍조한다더니..그게 먼얘기가 아니었어요...

아.. 심지어 어느 회사에 신입사원 엄마가 자식 잘 봐달라고 떡 돌린 미담??도 있어요.ㅎㅎ 자식 입사했다고.. 고맙다고 잘봐달라고 부서 전체에 떡을 돌렸다네요.. 어머님이..ㅎㅎ

 

이렇게 자식한테 올인하고 살다가, 어느날 갑자기 며느리 본다고 손을 탁 놓고 이제부터는 내아들 아니다, 며느리 남편이다 할수 있겠나 싶었어요. 전 못할거 같거든요...

그러니 앞으로도.. 이 극성 엄마들은 이어서 쭈욱 답답한 시어머니가 될거 같다는게 제 예상인거죠.

 

 

제가 집에가서 엄마한테 울 형님들이 그렇게 자식한테 한다.. 이런 얘기를 하니 요즘 엄마들이 한가해서 할일이 없어서 그렇대요.ㅡ.,ㅡ (울엄마 78세) 

예전에는 하도 일이 많아서 애들 낳아서 밥만 해먹이고 학교 보내면 지들이 알아서 공부하고 알아서 컸지... 지금처럼 일일이 쫓아다니며 키우지는 않았다고요.

그러면서 저더러 애들한테 너무 집착하지 말고 살래요. 시간 지나면 그거 다 쓸데 없는 짓이라고, 몸 건강할때 자기몸 챙기면서 살아서 안 아픈게 애들 도와주는거래요. 음...

IP : 124.56.xxx.5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요즘
    '13.9.21 9:21 AM (180.65.xxx.29)

    아들에게만 헌신하는줄 아세요 딸에게는 더 헌신합니다
    자식보다 내가 먼저다 하는 원글님이 특이하신거고
    앞으로 고부갈등을 넘어 장서갈등도 장난아닐겁니다 다들 귀한 아들 귀한딸 절대 내손에 벗어 나는거 참을수 없고
    그동안 딸 엄마가 참았다면 앞으로는 딸엄마가 나서서 이혼도 시키고 할겁니다

  • 2. 당연하죠
    '13.9.21 9:22 AM (14.52.xxx.59)

    고부갈등에 장서갈등에 명절이고 주말이고 장난 아닐거에요

  • 3. 주고받는 게 없으면
    '13.9.21 9:24 AM (49.183.xxx.63)

    슬슬들 포기하게 됩니다.

    받고는 안 해주려고들 하니 고부갈등은 계속 될 거고요.

    여자들이 시부모한테 돈은 주고 입은 닫아주길 바라는 한
    고부갈등은 영원.

  • 4. ..............
    '13.9.21 9:28 AM (182.208.xxx.100)

    요즘,,모두 자식들한테,올인하는데,,,더 심하면 심했지,덜 하지 않을 겁니다,,그 자식들이,부모 안보겟다고 해서,,연 끊는 집이 많겠죠

  • 5. ...
    '13.9.21 9:28 AM (118.42.xxx.151)

    어머니들의 자식사랑(?) 집착(?)은 계속 될지 몰라도, 며느리들이 앞으로는 시어머니라고 해서 꿈뻑 죽어지내고 맞춰주는 일 없을거에요..
    어머니들이 아무리 극성 떠셔도, 며느리가 콧방귀도 안뀌면 다 소용없는짓 아닐까요??
    암튼...요즘 여자들 중에도 헬리콥터 맘이니 뭐니 자식 쫓아다니면서 통제하는 아줌마들이 미래 고부갈등 일으킬 예비시모감 있어보이긴 하는데...그닥 그 수가 많진 않을거 같아요..
    자기 노후대책하기 바쁜 세상인데요..자식에 올인하고 나중에 낙동강 오리알 신세 안되려면 쓸데없는 집착은 일찌감치 버려야죠...아들한테든 딸한테든..

  • 6. 이제
    '13.9.21 9:33 AM (14.52.xxx.59)

    며느리들도 돈 안줄거고
    시부모도 노예 만들려고 작정한거 아니면 돈 안 풀거에요
    서로 안주고 안받으며 욕만 무지하게 하는 세상이 올겁니다

  • 7. @_@
    '13.9.21 9:57 AM (39.119.xxx.105)

    아마 앞으론 고부가 커뮤니티에서 서로. 썰전을 벌이겠죠

  • 8. ...
    '13.9.21 10:23 AM (218.234.xxx.37)

    미국이나 유럽도 고부갈등 - 사위/장모.장인 갈등은 여전히 있잖아요. 그건 절대 안 풀리죠. 금쪽같은 내 아들, 내 딸 고생시키는 거 아닌가 촉을 곤두세우고 있으니까.

    다만 우리나라는 땅덩어리가 좁은 까닭도 있고 전통 때문에 부모가 자식을 너무 오래 끼고 살아요.
    스무살이 아니라 직장 잡고 좀 지나면 독립해야 하는데 경제적인 이유로든 다른 이유로든 끼고 살아요.
    (아마 외국에서 30살 내외의 독신 남녀가 몸 건강한 부모님 집에 산다고 그러면 루저 취급 받을 듯)

    가까운 데서 살고, 끼고 사니까 계속 부딪칠 수밖에 없는 듯해요.
    예전에 tv의 아침 방송에서 본 말인데 며느리가 하는 말이, 남편이 대학 때문에 따로 나와서 살고(지방서 서울로) 서울서 직장 다니고 그러다 결혼하니까 시어머니가 떠나보내는 훈련이 되어 있더라 하는 말을 했는데 저는 그 말이 참 맞다고 생각해요. 아들딸이 10년 가까이 부모와 떨어져 살면, 부모도 자식을 은연중에 독립된 성인으로 여기게 되거든요. (집에서 계속 끼고 살면 어릴 때부터 달라진 게 없는 어리기만 한 내 자식이고..)

    아들이든 딸이든, 직장 다니면 독립하는 세태가 되면 조금은 줄어들 거에요. (그래도 보상 심리 있는 분들은 안바뀌시겠지만.. 딸이나 아들을 통해서 인생을 살려고 하는 분들요)

  • 9. 앞으로는 고부갈등
    '13.9.21 10:30 AM (211.234.xxx.81)

    없을거예요. 요즘은 며느리들이 끌려다니지를 않잖아요. 일년에 서너번 가는 사람들도 많고.아들이랑 손주 얼굴이라도 구경하려면 며느리 눈치 안볼수 없죠.

  • 10. ..
    '13.9.21 10:49 AM (218.52.xxx.214)

    세상 종말까지 어느식으로든 고부갈등, 장서갈등은 있을거에요.
    지금처럼 시어머니가 갑이 아닌 며느리가 갑인 고부갈등의 형태라도요.

  • 11. 시험기간
    '13.9.21 11:16 AM (42.82.xxx.29)

    82쿡에서도 여전히 이혼한집 자식 들이는거 디게 싫어하잖아요..얼마전에도 댓글달리는거 보면서 허걱했었던 기억이 나요..근데 지금 그런글을 다는 사람들의 자식들이 결혼할 시대는 이혼이 엄청 증가할건데..다들 앞일은 생각안하고 사는구나 싶더군요 외국처럼 동거문화가 정착되어서 미리 살아보고 결정하는것도 아니라서 상대적으로 차마내는 힘이 약한 현재 세대들은 못견디는 일이 많을겁니다.일단 여자가 남자집안으로 들어간다는 의식변화.남녀의 동등한 일적분배 이런것들이 이루어져야하는대 실제 지금 중고딩 키우는 엄마들의 마인드가 이정도까진 앞서지 않은것 같아요..

  • 12. destiny
    '13.9.23 7:11 AM (119.149.xxx.181)

    옛날에는 며느리나 친젓부모님이 일방적이다시피 참아왔기 때문에 그나마 덜 표면화되었지만 앞으로는 며느리는 물론 친정부모들도 참고 살라고 하는 사람이 별로 없을 듯 해요.

    아마 부부싸움이 사돈간 싸움으로 커질 가능성도 많고 갈등구조가 더 다양해질 듯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7379 목동아파트 오래 살다가 최근 새 아파트로 이사가신 분 계세요? 9 이사 2013/10/14 3,475
307378 통증의학과 의사가 가족들 모두와 섬마을에 무료진료 다니는 프로 4 ..... 2013/10/14 1,532
307377 대입 면접 대비 할수있는 학원 추천해주세요 고3맘 2013/10/14 693
307376 앞머리 기르고 싶은데요 4 자국 2013/10/14 1,248
307375 중학교 배정시 주소지 등본 확인...별거중 1 ... 2013/10/14 4,599
307374 조두순이 그 사고난 교회 전도사였고 그 때 판사가 선교회 소속였.. 13 아시는 분 .. 2013/10/14 6,448
307373 예쁜모자 많이 파는 메이커나 쇼핑몰 어디인가요?^^ ........ 2013/10/14 660
307372 해커스 토익 리스닝 질문이요ㅜㅜ ㅜㅜ 2013/10/14 550
307371 정말 한복은 어깨가 좁아야 이쁘네요 6 역시 2013/10/14 2,832
307370 40세 부부 실비 보험이 하나도없어요. 어디 부터 알아봐야 할까.. 9 sue 2013/10/14 1,942
307369 인터넷면세점 기간 문의드립니다 1 현아 2013/10/14 1,120
307368 박근혜, 국정원 경찰만이 아니다...보훈처 덕도 봤다 as 2013/10/14 693
307367 중국인들은 삼계탕을 좋아할까요? 5 대접 2013/10/14 1,218
307366 굴소스 냄새가 소독약냄새면 잘못산거죠? 2 ㅇㅇ 2013/10/14 1,527
307365 맥도날드는 새기름을 쓸까요? 8 정말 2013/10/14 1,877
307364 옥수수알 구입하는 게 나을까요? 6 옥수수차 2013/10/14 1,044
307363 건강보조제품 먹으면 죄다 부작용이에요 ㅜ 4 ㄴㄴㄴ 2013/10/14 2,898
307362 밖에 날씨 어떤가요 1 ㅡㅡ 2013/10/14 574
307361 국민연금 대탈출’ 시작됐다”…하루 최대 478명 탈퇴 1 대규모 미납.. 2013/10/14 1,655
307360 그냥 마음이 복잡해서... 3 전세사는사람.. 2013/10/14 1,072
307359 브랜드급으로 사려고 할때 어디가 제일 저렴한가요? 7 40대 2013/10/14 1,669
307358 광주분들 계세요? 13 광주광역시 2013/10/14 1,402
307357 세종시 부동산에 대해 3 모두희망 2013/10/14 1,259
307356 보테가 베네타 크로스백 쓰시는분 어때요?? 6 어떨까요? 2013/10/14 3,494
307355 볶음밥할때 양파, 감자만 넣어도 맛있을까요? 11 ㅇㅇ 2013/10/14 2,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