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른 집도 제사 지낼 때 성주상 차리나요?

슈르르까 조회수 : 9,961
작성일 : 2013-09-10 15:47:28

친정 아버지께서 둘째 아들이라 결혼 전에는 큰아버지댁에 가서 제사와 차례를 모셨는데요,

그 때는 성주상 없이 큰 상 하나만 차려 놓았었거든요.

시집 가보니 큰 상 옆에 성주상이라며 작은 상을 하나 더 차려 놓으시더군요.

집을 지키는 귀신을 대접하는 상이라고

큰 상보다 양은 좀 적게 차리지만 제수의 종류는 똑같이 올려요.

시어머니께서 제사 주관하실 때는 그냥 재미있는 풍습이구나 싶었는데

어머니 돌아가시고 제가 제사를 물려 받으니

차례 두 번, 제사 다섯 번 상 차리는 것도 힘든데

성주상 신경까지 쓰는 것이 영 마뜩치 않네요.

과일이며 떡도 두 배로 사야 해요. ㅜ.ㅠ

그래도 시댁 가풍이니 따르긴 따라야 하겠지만

문득 다른 댁들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해서요.

다들 제사 지낼 때 성주상 차리시나요?

성주상이랑 큰 상이랑 합쳐서 차리는 방법은 정녕 없는 건가요?

 

IP : 121.138.xxx.2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희도
    '13.9.10 3:53 PM (175.214.xxx.36)

    저희도 성주상 차려요..
    시집간지 얼마 안돼서 저도 이런걸 첨봤는데 차리더라구요.

    그런데 약간 반전인건..제사 상 자체를 엄청 간략히..차리세요
    4인 교자상 작은거 있짢아요..거기 딱 올라갈 정도? 그렇게 2개 차립니다.

    정식으로 성주상까지 차려대려면 진짜 너무 힘드실것 같아요-
    남편분이 장남이실테니 한번 의논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음식도 너무 많이 남을 것 같구요.....

  • 2. 저희는
    '13.9.10 4:11 PM (168.131.xxx.170)

    성주상은 보통 제사때는 안 차리고 명절때 차례상 지낼때만 차려요.
    제사상처럼 번듯한 제기말고 보통때 먹는 접시에 음식은 제사상에 올린데로 차리지만 왠지 더 캐주얼하게.
    근데 바닥에 물도 떠놓고 밥도 한공기 더 놓고 술은 처음 차릴때 부어놔두고 성주상 위치도 제사상이 거실이면 성주상은 안방에 차려놓는식이죠.
    그래서 차례 끝나고 이 성주상으로 식사해요.

  • 3.
    '13.9.10 6:25 PM (58.78.xxx.62)

    작은 상 하나 더 차려서 옆에 놓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3571 돌 바로 전인데..아기가 너무 부산스러워요. 밥에 손넣는거 그냥.. 1 아기 2013/10/03 699
303570 tv남조선 5 짜증 2013/10/03 531
303569 시댁이나 친정이나 다 짜증나요 10 ㅜㅜ 2013/10/03 2,809
303568 교학사 교과서 '위안부가 일본군 따라다녔다' 5 네오뿡 2013/10/03 725
303567 G-DRAGON 좋아하시는 분~~?? 25 .. 2013/10/03 3,529
303566 왕종근 와이프 , 가요 가수나 트롯가수로 12 오... 2013/10/03 18,442
303565 화장품만드는거 어디서 배우는게 좋을까요, 2 매끌 2013/10/03 458
303564 친구랑 장충동 가기로했는데 맛난 족발집..추천해주세요 2 친구랑 2013/10/03 653
303563 길찾기 서비스로 대중교통편도 검색 가능해요~ 3 ㅇㅇ 2013/10/03 1,902
303562 "금융민원에 대한 소비자들의 목소리를 금융감독원 및 보.. 제일v므찌다.. 2013/10/03 587
303561 호두과자와 어울리는 음료 추천해주세요~ (청소팀께 드리려고요) 11 정리꽝 2013/10/03 3,292
303560 블루재스민 초4랑 봐도 되나요? 8 2013/10/03 1,412
303559 막돼먹은 영애씨 의상 3 알사탕 2013/10/03 5,192
303558 도와주세요~남편 옷냄새~ㅠㅠ 10 스텔라 2013/10/03 4,394
303557 미드 더티섹시머니 이거 주제가 뭘까용. 5 .. 2013/10/03 1,001
303556 시네마천국 보고 왔습니다. 3 무리데쓰 2013/10/03 695
303555 랑방 옷은 어디 가서 구입할 수 있나요? 6 랑방 2013/10/03 2,181
303554 이나라보면 참 애국심교육은 잘시켜놓은거 같아요. 3 ... 2013/10/03 538
303553 식탁세트 버리는데 9천원 드네요 3 비싸다 2013/10/03 1,314
303552 대만이 실은 우리나라보다 잘산다고 하더군요. 18 ... 2013/10/03 6,404
303551 롤렉스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요 12 롤렉스 2013/10/03 4,498
303550 대단한 시집을 보고나니. 3 공기한가득 2013/10/03 1,983
303549 밀양 송전탑 관련 뉴스가 속보 4 밀양 2013/10/03 783
303548 탈모땜에 죽다 살았어요 ㅜ.ㅜ 25 ... 2013/10/03 7,212
303547 김포공항에서 진주가는 교통편 아시나요 2 bigjum.. 2013/10/03 1,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