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수학선행에 대해 공부의 신이 하는 말....

공신닷컴 조회수 : 4,264
작성일 : 2013-09-10 13:39:27

사람은 갈대와 같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변 상황에 너무 크게 흔들립니다.

여러분들의 주변 환경인 가족, 친구, 학교, 학원, 그리고 고등학생인 여러분들에게는 교육, 입시라는

하나의 큰 주제를 가지고 강하게 엮여있습니다.

그 중 가장 흔들리는 부분은 “남들은 어떻게 공부를 하느냐?”입니다.

 1994년 수능이 시작된 이후로 대한민국의 교육열은 점점 뜨거워졌고,

다들 “남들은 공부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것을 관심가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중 특히, 공부 잘하는 사람들의 비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자연스럽게 시작된 것이 바로 선행학습 열풍입니다.


 

공부 잘 하는 친구들은 현재 학교에서 배우는 과정을 너무 쉽게 이해하기 마련입니다.

그 이유는 물론 여러 가지겠지요.


 1. 머리가 좋다.

 2. 현재 학교에서 배우는 부분을 빨리 이해할 정도로 기초가 탄탄하다.

3. 이미 예습한 내용이다.


 여기에서 1번은 어쩔 수 없는 노릇입니다.

 왜냐하면 1번은 천부적으로 타고난 것이기 때문에 따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2번과 3번, 여기에서 사람들은 3번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미 예습하였다, 즉 선행학습을 하였다.

왜 2번을 집중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선행학습에 민감하게 되었을까요?


 

현재 자신이 기초가 탄탄한지는 쉽게 알 수가 없습니다.

단순히 과거 시험성적이 좋다는 것으로 기초가 탄탄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조차 그 당시에 선행학습이 잘 되었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선행학습은, “어디까지 배웠다.”라는 것으로 확실하게 구분됩니다.

선행학습의 정점을 달리는 과목인 수학에서,


 “난 고1인데 수학 1까지 배웠어, 수학2까지 배웠어”라는 것은 다른사람에게 열등감을 갖게 합니다.

어떤 두 학생이 성적이 비슷하다고 할 때, 한 학생이 훨씬 더 선행학습을 많이 한 상태라면,

선행학습을 하지 않은 학생은 그만큼 심각한 열등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렇죠. 이렇게 주변에 한명, 두 명 선행학습을 하게 되고 열등감에서 벗어나 우월감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갈대와 같은 사람들, 특히 학부모님들은 심각함을 느끼고

자신의 자녀들을 학원, 과외에 투입합니다. 현재 학부모님들과의 대화의 절반이상은 선행학습이야기입니다.


 

이것이 자연스럽게 학생인 여러분들에게 자연스럽게 옮겨지게 되고,

여러분들조차 선행학습이 안되어 있다면 상당히, 심각하게 뒤쳐졌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러한 감정을 심각하게 느끼게 될까요?


 

제 경험상 한 가지 예를 들추어 보자면, 중간, 기말고사 시험기간. 시험이 2~3주정도 남았을 때를 떠올려 봅시다.

선행학습이 된 친구들은 그때 수학공부를 하지 않습니다.

사회, 과학과 같은 주요과목중 암기과목에 속하는 과목들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시험기간과 같이 몸과 마음이 힘들고 걱정될 시기에,

우월하게 수학을 내팽겨치고 사회와 과학을 공부하고 있는 옆 친구를 보면 마음이 흔들리게 됩니다.


  “엄마, 나도 학원 보내줘. 수학 미리 안 배워 놓으니까 공부하기 너무 힘들어.”

결국, 이렇게 누구나 선행학습을 최우선시 여기는 현 상황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제가 자신있게 한 가지 말할 수 있는 것은 선행학습은 책임질 자신이 있을 때에만 하라는 것입니다.

왜냐면 제가 선행학습을 대한민국의 그 어떤 일반고 학생들보다도 많이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제가 입시에 성공하고 잘 된 것으로 느낀 것이지만, 절대 아닙니다.


  저는 고1 2학기 즈음, 이미 선행학습을 수학1까지 마쳤음에도,

라이벌이라고 여겼던 친구가 수학2까지 공부를 해놓았다는 사실에,

다른 학생과 다름없이 열등감을 느끼며, 선행학습을 시작했습니다.


  과외를 계속할 형편이 안되기에 딱 2달 과외를 했습니다.

2달만에 수학2와 선택 미분과 적분까지, 결국 이렇게 고등학교 모든 수학 교과과정을 마쳤습니다.


  저는 정말로 달콤한 우월감을 맛봤습니다. 그렇지만 겉으로 선행학습을 다했다고 말한건 아니었습니다.

단순히 다른 친구들이 10-나(수학 하)에서 삼각함수를 처음으로 공부하고 있을 때,

저는 선택 미분과 적분 정석책을 펴놓고 삼각함수의 미분을 고민하면서 풀어대는 제 자신에 우월감을 느꼈습니다.

정말로 기분이 좋았습니다.


  하지만 이런 나날이 반복되면서, 저는 선행학습의 목적이 우월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었는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정작 실속이 없었습니다.

제가 삼각함수의 미분을 멋있게 공부하고 있다고 앞으로 볼 기말고사의 삼각함수의 기초 내용을 다맞을 리가 없죠.


  전 심각함을 깨닫고 다른 과목을 공부할 여유가 없이 하루 종일 수학만 공부했습니다.

다른 친구들이 수학 10-나만 공부할 때 저는 수학1, 수학2 복습까지 병행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수학을 더 공부한 만큼 언어와 국어를 공부할 시간은 줄어들었고,

 언어는 고등학교 시절 내내 문제점으로 자리 잡았으며

뒤늦게 언어에 모든 시간을 쏟아 부었지만 저는 결국 수능에서 언어 90점을 넘기지 못했습니다.


  만약, 그때 우월감을 맛보기위해 선행학습을 하지 않고, 국영수를 균형 있게 공부해 나갔다면 이런일은 없었겠죠?


  하지만 최악의 상황을 면한 이유는,

 제가 선행학습을 한 것에 적어도 ‘책임’은 졌기 때문입니다. 선행학습에 책임을 진다는 것은

바로 선행학습을 한 내용을 적어도 혼자서 1번 이상 복습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학원과 과외의 손을 빌려 복습을 하는 것은 정말 의미 없습니다. 혼자서 공부해 보지 않는다면,

그것은 자기의 것이 되지 않습니다.


제가 책임을 지지 않았다면, 전 수학도, 국어도 모두 망치게 되었을 것입니다.


 실례로 과학고를 준비하다가 떨어진 한 친구는

 중학교 당시 고등학교 수학과정을 한 번 다 공부했음에도 자만에 빠져 선행학습에 책임을 지지 않았다가,

수능에서 수학 3등급을 받았습니다.


  ---------------------------------------------------------------------------------------------


  단 한순간의 우월함을 맛보겠습니까? 아니면,

실속을 챙겨 미래의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한 기초를 차근차근 쌓아내겠습니까?


  그것은 여러분들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출처] 공신닷컴 - 나의 멘토, 공신닷컴! - http://www.gongsin.com/bbs/board.php?bo_table=gongsin_column_bbs&wr_id=258768

IP : 115.90.xxx.15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3.9.10 1:53 PM (223.62.xxx.17)

    수학 선행...
    저역시 크게 공감하는 바입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 2. 공감..
    '13.9.10 7:33 PM (175.115.xxx.159)

    무지 공감합니다...
    혼자서 꼭 복습해야 한다는 말....

  • 3. 눈이사랑
    '13.9.10 9:01 PM (219.240.xxx.250)

    수학선행....요즘 저의 최대의 고민입니다. 머리로는 알면서 실천이

  • 4. ...
    '13.10.11 10:48 AM (222.106.xxx.84)

    좋은글 고맙습니다. 결국 공부란, 자기 수준에 맞게 소화 시키는게 중요한거 같아요.수학선행에 관한 경험 잘 들었습니다.

  • 5. antlq
    '13.10.11 6:59 PM (58.235.xxx.13)

    수학선행글 감사합니다.

  • 6. 네바
    '13.10.11 10:52 PM (211.178.xxx.142)

    저장해요 감사합니다.

  • 7. 곰곰
    '13.10.11 11:22 PM (211.109.xxx.72)

    감사합니다.

  • 8. ...
    '13.10.11 11:34 PM (125.183.xxx.30)

    좋은 글 감사...^^

  • 9. 눈이사랑
    '13.10.12 1:00 AM (219.240.xxx.250)

    수학선행 저장합니다

  • 10. 복진맘
    '13.11.14 2:17 PM (119.207.xxx.220)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2120 형식군은 시키는대로 노래춤 잘추네요 3 ㅇㅇ 2013/09/29 1,392
302119 젊은일본인 가을 페션~~~ 나나도 2013/09/29 1,064
302118 소풍 도시락 2 ..... 2013/09/29 991
302117 혼자있는데 불안할때 어떻게 하시나요 1 싱글 2013/09/29 1,261
302116 리틀스타님 우엉잡채중 우엉조렸는데요... 5 동글이 2013/09/29 1,860
302115 사진 구도 공부 너무 어렵네요.. 그전까진 필터기능을 써야겠어요.. 2 별별잉 2013/09/29 936
302114 의료용 저주파 치료기 아시는분 계세요? 요거 장기 사용해도 괜찮.. 2 ... 2013/09/29 11,380
302113 코스트코 고릴라랙 뭘로 덮으면 좋을까요?? 2 .. 2013/09/29 2,343
302112 8세- 퀵보드..사줄까요? 2 오로라리 2013/09/29 965
302111 인생은 어찌 즐기는 것인가요 13 인생 2013/09/29 3,512
302110 여의도 침 잘 놓는 한의원 추천해주세요. 1 한의원 2013/09/29 2,364
302109 재산세 납부하세요 5 에버린 2013/09/29 1,782
302108 야상점퍼, 박스티,가오리가 참 없어보이는 패션이라고한다면 36 ... 2013/09/29 7,820
302107 류수영 청원휴가? 2 진짜사나이 2013/09/29 3,910
302106 장터에서 햇밤 사신 분들 맛있으면 추천해주세요! 6 밤 먹고싶어.. 2013/09/29 1,035
302105 제가 당뇨 인가요? ? 7 무서워 2013/09/29 2,824
302104 이런 상사에대한 분.어떻게 풀어야할까요? 7 2013/09/29 1,415
302103 아놔 개 피곤하네 우꼬살자 2013/09/29 704
302102 노x진 수산시장 꽃게 살때 조심 14 꽃게 2013/09/29 7,162
302101 비 엄청 퍼붓네요 4 // 2013/09/29 1,780
302100 태조 이성계는 왜 그렇게 불쌍한 신세가 되었나요? 12 ..... 2013/09/29 4,237
302099 라스에 나온 인공위성 쏜 남자 5 2013/09/29 2,968
302098 박근혜는 결국 이렇게 ... 4 소피아 2013/09/29 1,432
302097 문컵 어떤가요? 23 고민 2013/09/29 3,742
302096 충치치료받았는데 원래 며칠 아픈가요?? 1 궁금해요 2013/09/29 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