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릴때 엄마와 떨어져 사는 삶

슬픈하루 조회수 : 3,400
작성일 : 2013-08-17 09:50:07
아랫글에서 보니 대체로 어렸을적 엄마와 떨어져 살았던 분들이 엄마와 정이 별로 없네요.
저도 애기때부터 떨어져서 일곱살 때부터 엄마랑 살았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제가 눈치가 진짜 빠른데
그게 다 친척집에서 어렸을적 살았기 때문인거 같아요. 
옆에 있는 사람 기분 끝장나게 잘 맞추구요. 상대방이 싫어할짓 절대 안하고 또 상대방이 어떤 성격일지 진짜 말 몇마디 해보면
대충 답 나오더라구요. 이제 좋은 점 일까요?? 살면서 보니 잘 모르겠어요.. 가끔씩 눈치 없고 싶을때도 있는데 그게 잘 안되네요.

IP : 142.161.xxx.4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생각해보니
    '13.8.17 9:56 AM (183.109.xxx.239)

    그런거같아요. 엄마가 가게하느라 네살쯤 되는 동생을 이모집에 두달 맡겼는데 그 두달동안 동생이 엄마 얼굴도 잊어버리고 엄마가 데릴러 갔는데 이모뒤에 숨더라는,,,지금 동생보면 엄마한테 애정 별로없어요.

  • 2. 제니
    '13.8.17 10:00 AM (59.5.xxx.22)

    네살인데 두달만에 엄마 잊어버릴 정도면 평소에도 엄마랑 별로 가까이 지내지 않았나봐요

  • 3. 그게 득이죠..
    '13.8.17 10:05 AM (208.54.xxx.195)

    저두 시골에서 7살때까지 친할머니가 키워주셨고 국민학교에 가야하니 그때서야 서울 부모님 댁으로 가게 됬었죠..원글님 글 읽어보니 제 성격이랑 같아요..근데 제가 지금 외국 나와 살면서 제일 감사한게 그렇게 부모님하고 일찍 떨어져 산덕에 독립심이랑 생활력을 빨리 배웠던거 같아요..그래서 부모님께 감사해요..

  • 4. 아무래도
    '13.8.17 10:06 AM (183.109.xxx.239)

    장사하느라 정신없었으니까요 ㅋㅋ 집이 갑자기 기울어서 엄마가 정신없었으니까요.

  • 5. 그렇죠
    '13.8.17 10:09 AM (180.69.xxx.47) - 삭제된댓글

    어릴때 떨어져 살면 정이 없더라구요 서로에 성격도 다 모르고....

  • 6.
    '13.8.17 10:25 AM (74.72.xxx.110)

    저도 갓난쟁이때부터 외가쪽 식구들이 돌려가며 키워주셨죠. 부모님 맞벌이 하느라 외할머니, 둘째이모, 세째이모네 집을 전전. 저도 눈치 많이 보고, 누가 싫어하는 짓 하는거 못하고...엄마랑 좀 어색했어요. 강박적으로 독립적인것도 있고, 어리광 부려본 적 거의 없고요. 나이먹고 친구랑 애인한테 대신 어리광 부렸네요; 나와 다르게 좀 안정적인 동생 보면서(동생 어릴때는 한 몇년 엄마가 전업하셨어요) 아 차이가 이런거구나. 내 자식 갓난쟁이때 나는 내 품에서 키우고 싶다는 생각 많이 했던 것 같아요.

  • 7. 엄마의 정을 모르게 되는건
    '13.8.17 11:00 AM (180.182.xxx.153)

    불평불만이나 감사라는 단순한 마음가짐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어느순간 돌아보니 황무지에 홀로 서있는 그런 상황인 겁니다.
    감사한다고 해서 엄마가 갑자기 내 곁으로 날아오는 것도 아니고 불평한다고 해서 엄마가 멀어지는 것도 아니예요.
    그런 감정들을 깨닫기 이전에 이미 아이는 황무지에 홀로 버려져 있는 겁니다.
    불평과 감사의 감정만으로 엄마의 정을 말 할 수 있다는건 황무지에 버려진 적이 없다는 뜻이예요.
    단지 늘 곁에 있었던 엄마의 존재를 뒤늦게 깨달은 것일 뿐이죠.

  • 8. 흰둥이
    '13.8.17 11:58 AM (203.234.xxx.81)

    저희 엄마가 제게 늘 하시던 말씀이 "눈치가 있어야 절간에 가 젓국이라도 얻어먹는다" 뭐 그런 거였어요. 엄마는 늘 일해서 함께살던 이모가 본인 딸들과 저를 같이 키웠는데 눈치보이죠 이모고 엄마가 생활비를 다 대더라도...
    혼자 알아서 다 잘했고 굉장히 독립적이고 싹싹한 편이며 그런데,,, 그게 과연 누구한테 좋은 건지 모르겠어요. 알아서 분위기파악해 내 욕구 숨길 줄 알고 사람들에게 불편 안주고 사회생활 잘한다 하지만 그게 마냥 좋은 일만은 아니란 거 마흔 향해 가는 나이에 상담 받다가 이제 깨닫네요

  • 9. ...
    '13.8.17 12:16 PM (121.175.xxx.20)

    맞벌이하면 어차피 낮에 엄마가 없잖아요. 그럴 경우 할머니가 키워주시고 1-2주에 한번 얼굴보는 것과 낮에 보육시설에서 밤에 엄마와 보내는 것 중 어느 것이 좋을까요?
    전 아이를 키울 수 없는 상황에서도 꼭 아이를 낳는 부부들 보면 자신은 21세기에 살면서 자식에 대해서는 조선시대에 사는 것 같다는 마음도 들더라구요.

  • 10. 슬픈하루
    '13.8.17 12:23 PM (142.161.xxx.49)

    그게 득이죠님
    저랑 너무 같으시네요. 저도 외국 살아요...
    독립심이랑 생활력 빨리 배운것 맞는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0470 엠뷸런스를 대하는 독일의 운전자들.. 7 우꼬살자 2013/09/17 2,721
300469 한정식집 들깨드레싱? 궁금 2013/09/17 1,564
300468 남자친구 생일선물로 순금 제품 어때요?? 9 생일선물 2013/09/17 3,173
300467 저 무죄한 어미와 아이의 고통은 어찌할 건가 7 생활은 2013/09/17 3,071
300466 아무래도 하늘이 제 다이어트를 돕는듯 하네요 3 다이어트 2013/09/17 2,344
300465 인천공항 통행료 ?? 4 비행기 2013/09/17 5,169
300464 친정에 전화했다가 기분만 상했네요 2 보름달 2013/09/17 3,002
300463 김용판 ‘재판 유리한 기밀문서 빼내’ 논란...“외압 있을지도 1 적절치 않아.. 2013/09/17 1,398
300462 제사 물려받으니 넘 좋네요! 20 히힛 2013/09/17 9,086
300461 [사주관련질문]5행중 한 요소가 많으면..직업선택은어떻게하는게 .. 6 dd 2013/09/17 3,484
300460 배우자의 성격이나 행동이 좋게 변해질 가능성...? 10 살다보면.... 2013/09/17 2,783
300459 광주님들~치과병원 전대랑조대중 어디가더잘하나요?? 4 .. 2013/09/17 3,827
300458 문득 2 ,,,,, 2013/09/17 936
300457 세상에서 없어져야할 네가지 4 공공네적 2013/09/17 1,924
300456 카뮈 작품에 나오는 실존주의 철학이 뭔가요? 9 ... 2013/09/17 3,616
300455 인터넷으로 코스트코 이용하시는 지방 사시는 분~~ 어느 싸이트.. 2013/09/17 1,288
300454 마카로니 샐러드 맛있게 하는 비법 아시는 분 계세요? 4 물 생겨요 2013/09/17 3,875
300453 청바지 어디가 젤 나은가요? 5 청바지아줌마.. 2013/09/17 2,741
300452 세상의 모든부엌 보셨나요? 5 어제 2013/09/17 3,545
300451 회사 윗상사분들이 진심으로 좋은데 아부로 보일까요? 2 sara 2013/09/17 1,451
300450 꼬지전하실때 밀가루 한쪽에만 묻히시나요? 10 꼬지전 2013/09/17 2,123
300449 런던 히드로공항에서 택시이용질문드려요 10 런던이요.... 2013/09/17 3,138
300448 2007년 박근혜 후보 사생아 의혹 감찰한 적 있나?” 2 진실 규명해.. 2013/09/17 2,783
300447 동아> ‘채군의 아버지 전상서’ 칼럼에 분노의 패러디 쇄도.. 6 짖어보라, .. 2013/09/17 2,300
300446 내년부터 대체휴일제면 설부터 해당되지 않나요? 1 이해안돼 2013/09/17 3,150